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사전략/무기
· ISBN : 9788986377538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7-1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Chapter 1 치명적인 비수(匕首), 북한 미사일
1. 북한이 미사일에 집착하는 이유
5차례 결행한 핵실험
‘국방에서의 자위’천명한 김일성
옥수수 200만 톤을 한 해 미사일 발사 비용으로 쓴 셈
2. 북한이 감춘 속셈
북한의 탄도미사일
북한 탄도미사일, 어디까지 가나?
* 추진제 기술
* 재진입체 기술
* 클러스터링 기술
* 유도 기술
Chapter 2 세계의 미사일
1. 순항미사일의 세계
전쟁을 알리는 신호탄
‘토마호크’에서 ‘하푼’까지
쫓고 쫓기는 미국과 러시아
미국 견제 받은 한국의 미사일 개발
2. 단점 많아도 경제적인 탄도미사일
사상 첫 탄도미사일은 독일의 V-2 로켓
절대 강자는 미국
세계 최초의 ICBM‘R-7 Semyorka’
눈부시게 비약하는 중국
동남아시아의 신흥 강국, 인도
다연장 로켓의 효시, 조선시대 신기전(神機箭)
보이지 않는 위협,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Chapter 3 미사일 잡는 미사일
1. 미사일 방어체계의 역사
8개국만 방어체계 구축
2.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
탐지 체계의 발전
사드 개발에 박차를 가한 미국
3. 한국의 미사일 방어체계
맞춤형 억제 전략의 조기 수립
북한 미사일 요격이 어려운 한국군의 저층 방어
Chapter 4 미사일은 어떻게 움직이나
1. 고대인들이 만든 미사일
중국 금나라에서 사용했던 ‘비화창(飛火槍)’
거함(巨艦) 거포(巨砲) 시대의 산물
실전에 사용된 최초의 탄도미사일 V-2
2. 미사일을 움직이는 핵심기술들
미사일의 몸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미사일의 핵심은 탄두
제어시스템
유도장치
핵전자기파(NEMP) 기술
부록 1. 순항미사일 보유 현황
부록 2. 탄도미사일 보유현황
부록 3. 북한의 탄도미사일ㆍ장거리 로켓 발사현황
부록 4. GBI 발사시험
부록 5. SM-3 발사시험
부록 6. THAAD 발사시험
책속에서
북한에 미사일은 외화 획득이 가능한 자산이다. 현재 탄도미사일은 세계 약 39개국 이상이 비대칭 전략의 일환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들 미사일의 상당 부분이 중국, 러시아 및 북한을 통해 공급되었다. 특히 북한은 1980년대 중반부터 탄도미사일 확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1987년부터 2009년까지 중국, 러시아 및 북한을 통해 수출된 약 1천190기의 탄도미사일 중 40% 이상은 북한이 수출한 것이다. 북한은 미사일 수출을 통해 축적한 경제적인 이익을 토대로 2009년 이후에도 미국 주도의 강력한 UN 대북제제 국면에 흔들림 없이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북한은 이란, 파키스탄, 시리아, 이라크 등 다양한 나라에 탄도미사일을 수백 기 이상 판매했다. 30여 년 동안 세계 탄도미사일 시장을 주도해왔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서방에서 ‘스커드’라고 부르는 계열의 북한 화성 6호(Scud-C)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미사일계의 베스트셀러이다.
한 나라의 미사일 개발은 국제정세와 주변국의 안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변국의 견제를 받게 된다. 그로 인해 미사일의 개발은 개념 설계단계에서부터 철저히 비밀에 붙여진다. 특히 한국은 미사일 개발에 있어 미국의 제약을 받아야했다. 1979년 조인한 ‘한미 미사일 지침’은 당시 미국의 의지를 거스르기 힘든 자구책이었지만 우리 스스로 발목을 잡은 것이기도 했다. 이 지침으로 우리가 개발하는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는 180km로 제한됐다. 반면 순항미사일은 사거리 제한이 없었다. 다만 탄두중량은 500kg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탄도미사일과 동일했다. 이런 조건 아래 현무-III의 개발이 가능했다.
현무-III는 개발단계에서부터 철저히 베일에 쌓여있었다. 이름도 다양하게 불려왔다. 개발단계에서는 ‘독수리’로 불렸고, 시간이 지나면서 ‘천룡’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실전 배치하면서 ‘현무’라는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사드 미사일의 운용고도는 공기가 거의 없는 구간인 고도 40km~150km로, 이 구간에서는 빛의 산란이나 굴절 등이 없어 적외선 탐색기가 최고의 성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사드의 적외선 탐색기는 일정 고도 이상 오르지 않으면 공기저항에 의해 스스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탄두의 탐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미국은 1995년 사드의 첫 시험발사를 시작한 이래 2015년 11월까지 모두 27차례 발사시험을 수행했다. 그 중 요격시험은 모두 20회 중 14회 성공하여 명중률 70%를 얻었다. 미국은 2008년, 첫 사드 포대를 텍사스의 포트 블리스에 배치했고, 2013년 북한의 IRBM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괌에 1개 포대를 배치했다. 또한 NATO의 MD를 위해 터키와 이스라엘에 사드 레이더를 배치했으며, 미군이 주둔하는 해외 파병지에도 사드를 배치할 계획이다. 주한미군은 2017년 4월 한국에 사드 포대를 배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