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8898760836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4-04-16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시각, 근대 그리고 원시적 열정
"한 편의 뉴스영화가 근대중국사를 바꿨다": 오래된 이야기를 다시 말하기
문학이라는 기호를 탈중심화하기
원시적 열정의 출현
'신녀'
'학제성' 시대의 중국영화
1960년대 중국의 초상화
'자연으로의 회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영화에서의 시각성
여성의 장소
'중국'이라는 기호를 탈중심화하기
2부 몇 편의 현대중국영화
1장 오래된 우물 파기: 사회적 환상으로서의 노동
미래... 국가의 무익함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국가
낭만적 사랑의 불모성
사회적 환상이라는 노동
2장 고대의 평원은 말이 없다: 음악, 영화제작 그리고 새로운 중국영화에서 사회변화의 개념
'제3세계' 영화비평에서의 사회변화 페러다임
이미지라는 문제
음악이란 무엇인가?
여성이 균형을 깨뜨릴 때
부분적 방어, 문화의 위기 그리고 조합
3장 남성 나르시시즘과 국민문화: 천카이거의 '아이들의 왕'에서의 주체성
1부: 우회로
2부: 아직 가지 않은 길
4장 표층의 힘: 장이머우 영화의 저항
새로운 민족지의 요소들
구체성의 탐구
환상으로의 접근: 장이머우와 천카이거
이데올로기 비판에 깊이 배어 있는 습관들
동양의 오리엔탈리즘 또는 문화간의 노출벽
3부 민족지로서의 영화 혹은 포스트콜로니얼 세계에서의 문화간 번역
인류학적 상황의 교착
보여지는 것의 중요성
번역 그리고 기원의 문제
'문화적 저항'으로서의 번역
제3항
쇠약, 유동성 그리고 세계의 우화화
아케이드의 불빛
지은이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저자는 중국영화 안에서 원시적인 것이 머무르는 장소로 여성, 자연, 어린이에 주목한다. 1930년대 롼링위 주연의 무성영화부터 1960년대 문화대혁명기 마오쩌둥과 홍위병의 모습으로 상징되는 '중국'의 이미지를 거쳐, 1980년대 천카이거와 장이머우 등의 영화를 공동체, 국가, 일, 학습, 사랑, 혁명, 젠더 등과 같은 범주과 뒤섞이는 교차점으로 읽으려고 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문화비평에서 빠지지 않는 다양한 화두와 수많은 사상가들의 담론을 진지하면서도 정교하게 이용하면서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문화적.정치적 상황을 포함시켜 영화를 읽고 있다. 영화제작과 유통이라는 국제영화시장에서의 권력구조의 문제에도 문제를 제기한다. 미국 내 언어학연구자와 문학연구자 분야에서 권위있는 협회인 근대언어협회(MIA)에서 가장 우수한 연구에 수여하는 제임스 러셀 로웰 상을 수상했다. 아시아 관련서나 영화라는 대중문화를 다룬 책에 이 상이 주어지기는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