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일본을 찾아서 1

현대 일본을 찾아서 1

마리우스 B. 잰슨 (지은이), 김우영, 강인황, 이정, 허형주 (옮긴이)
이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일본을 찾아서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일본을 찾아서 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87608518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06-01-19

책 소개

공정하고 폭넓은 시각이 돋보이는 이 책은 1600년부터 현재까지의 일본 사회에 대해 쾌도난마와 같은 설명을 들려준다. 저자 마리우스 잰슨은 50년이 넘는 일본사 연구작업의 정수만을 뽑아 이 필생의 역작을 완성했고, 책이 출판된 지 이틀 만에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이 책은 잰슨의 '백조의 노래'가 되었다.

목차

1권

머리말
감사의 말

1장 세키가하라 전투
1. 센고쿠의 배경
2. 새로운 센고쿠다이묘
3. 천하 통일자 : 오다 노부나가
4. 도요토미 히데요시
5. 아즈치.모모야마 문화
6. 세키가하라 전투의 수혜자 : 도쿠가와 이에야스

2장 도쿠가와 국가
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집권
2. 다이묘의 서열화
3. 도쿠가와 막부의 구조
4. 번(藩)
5. 중심과 주변 : 막부와 번의 관계
6. 도쿠가와 '국가'

3장 대외관계
1. 배경
2. 조선과의 관계
3. 서양의 여러 나라
4. 쇄국정책
5. 나가사키의 네덜란드인
6. 중국과의 관계
7. '쇄국'이라는 문제

4장 신분집단
1. 조정
2. 사무라이 지배계층
3. 농촌의 삶
4. 조닌
5. 하위 신분
6. 신분과 기능

5장 도시화와 교통
1. 참근교대제
2. 교통망
3. 조카마치
4. 에도 : 매혹적인 중심도시

6장 서민문화의 발전
1. 지배계급의 개명
2. 서적과 식자
3. 오사카와 교토
4. 겐로쿠 문화

7장 교육.사상.종교
1. 교육
2. 유교의 보급
3. 학자와 학문
4. 중국이라는 문제
5. 국학
6. 난학 또는 양학
7. 종교
8. 서민 교화

8장 변화.저항.개혁
1. 인구
2. 지배자와 피지배자
3. 민중의 저항
4. 막부의 대응

9장 개국
1. 러시아
2. 서유럽
3. 중국으로부터의 소식
4. 페리 내항
5. 내부에서의 전쟁
6. 지사

10장 막부의 멸망
1. 정치적 내러티브
2. 개항장
3. 서양 체험
4. 그 밖의 일본인들
5. 사람들이 기억하는 메이지 유신
6. 도쿠가와 막부는 왜 멸망했는가?

11장 메이지 혁명
1. 배경
2. 합의에 이른 과정
3. 중앙집권화를 향하여
4. 실패한 문화혁명
5. 전세계에서 지식을 구함
6. 유신연합의 붕괴
7. 승자와 패자

1권 지은이 주

2권

12장 메이지 국가의 건설
1. 마쓰카타 경제
2. 정치참여 투쟁
3. 이토 히로부미와 메이지 헌법
4.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제국군대
5. 모리 아리노리와 메이지 교육
6. 요약 : 메이지 지도자들

13장 일본제국
1. 선거
2. 메이지 헌법하의 정치
3. 외교정책과 조약 개정
4. 청일전쟁
5. 제국주의 외교
6. 한국 병합
7. 국가와 사회

14장 메이지 문화
1. 복고!
2. 문명개화! 입신출세!
3. 그리스도교
4. 정치와 문화
5. 국가와 문화

15장 전간기(戰間期)의 일본
1. 정당내각을 향한 발걸음
2. 세계 속의 일본
3. 경제적 변화

16장 다이쇼 문화와 사회
1. 교육과 변화
2. 도쿄제국대학 법학부
3. 다이쇼 청년 : '문명'에서 '문화'로
4. 여성
5. 노동
6. 농촌마을의 변화
7. 도시의 문화
8. 전간기

17장 중일전쟁
1. 전쟁의 발단 : 만주사변
2. 만주국 : 제국의 동점(東漸)
3. 군인과 정치
4. 국체명징운동과 복고주의
5. 경제 : 복구와 자원
6. 좌파의 전향
7. 관리경제를 위한 계획
8. 중일전쟁과 고노에의 '동아 신질서'

18장 태평양전쟁
1. 도쿄에서 바라본 세계정세
2. 메이지 체제 개편 시도
3. 워싱턴 협상
4. 일본국민과 전쟁
5. 진주만 공습에서 원폭 투하까지
6. 20세기 역사에서 태평양전쟁의 의의
7. 메이지 국가의 해체

19장 요시다 시대
1. 항복 후 일본의 사회적 정황
2. 개혁과 재건
3. 경제부흥계획
4. 정치와 샌프란시스코 조약
5. 샌프란시스코 체제
6. 지식인과 요시다 체제
7. 전후의 문화

20장 독립 이후의 일본
1. 정치와 1955년 체제
2. 경제대국으로의 부상
3. 사회변화
4. 시험에 얽매인 인생
5. 세계 속의 일본
6. 세기말의 일본

2권 지은이 주

더 읽을거리
화보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마리우스 B. 잰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2년 네덜란드에서 출생하여 미국 매사추세츠 주에서 성장기를 보낸 네덜란드계 미국인 사학자. 프린스턴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워싱턴대학교를 거쳐 1960년부터 1992년까지 모교인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일본사 교수로 재직하였다. 20세기 후반 일본사 연구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 아시아학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미국의 일본사 연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미국 외교협회 회원을 역임하였으며, 1991년에는 일본학사원 명예회원으로 추대되었고, 1999년에는 외국인으로는 최초로 일본 정부로부터 문화공로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0년 12월 10일 타계했으며, 주요 저서로 『현대 일본을 찾아서(The Making of Modern Japan)』, 『일본과 세계의 만남:격동의 200년(Japan and its World: Two Centries of Change)』, 『일본의 근대화와 지식인(Changing Japanese Attitudes Toward Modernization)』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우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과 코넬대 대학원에서 인류학을 전공했다. 현재 번역가로 활동하면서 역사학과 인류학 분야의 책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다. 대표적인 역서로는 『조상의 눈 아래에서』,『전염병의 세계사』, 『세계의 역사 1, 2』, 『중세의 사람들』, 『멩켄의 편견집』, 『문화의 숙명』,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등이 있다.
펼치기
강인황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2006년 현재 도서출판 이산의 대표로 있다. 옮긴 책으로 <아프리카의 역사>, <쾌락의 혼돈>, <현대 일본을 찾아서>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2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컴퓨터엔지니어로 일했다. 한겨레 「이코노미 21」에서 객원기자와 미국통신원으로 일했다. 이후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며 2006년 현재 아이오와 주립대학 역사학과 과학기술사 박사과정에 중에 있다. 옮긴 책으로 <수학 천재 튜링과 컴퓨터 혁명>, <할례, 포경수술, 성기훼손-세계에서 가장 논쟁이 된 외과수술의 역사>, <현대 일본을 찾아서> 등이 있다.
펼치기
허형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2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국제학 대학원에서 중국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현재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과정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메이지 유신이라는 드라마는 대개 승자와 패자의 관점에서 다루어져왔다. 양편 모두 사무라이들이며, 몇몇 모험적인 공가가 여기에 추가된다. 그러나 이런 관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나머지 동포들을 각성하지 못한 존재, 즉 유학자들이 자주 말하듯이 우민(愚民)으로 취급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우민'은 다양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졌고 사실 어리석지도 않았다. 일본 전역에는 사무라이 당국과 마을사람들의 중개자로서 마을과 구역을 위해 일하는 계층이 존재했는데, 이들의 집안은 대개 어느 정도의 재산과 나름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무수히 많은 촌역인들이 사실상 체제를 움직이게 한 실무자들이었다. 이들에게는 글을 읽고 쓸 줄 알고 책임감이 강하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대표하는, 다시 말하면 자신들이 '보호해주는'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기도 하고 불신을 당하기도 했다. 이들은 세금을 징수하는 일도 했으므로 세금을 내는 입장에 있던 사람들에게는 꼭 필요하면서도 믿지 못할 존재였던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