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평광기 2

태평광기 2

이방 (엮은이), 김장환, 박계화, 이민숙, 이영섭, 박성혜, 김선 (옮긴이)
학고방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5,000원 --25%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태평광기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평광기 2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문학 > 중국고전-산문
· ISBN : 978898763517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01-03-30

목차

추천의 말 / 전인초(全寅初) 5
추천의 말 / 정재서(鄭在書) 8
옮긴이의 말 / 김장환(金長煥) 11
권제26 신선26
섭법선(葉法善) 27
형화박(邢和璞) 42
권제27 신선27
당약산(唐若山) 49
사명군(司命君) 57
현진자(玄眞子) 62
유백운(劉白雲) 64
권제28 신선28
치감(치鑒) 69
승계허(僧契虛) 78
권제29 신선29
구천사자(九天使者) 89
십선자(十仙子) 92
이십칠선(二十七仙) 94
요홍(姚泓) 97
이위공(李衛公) 101
권제30 신선30
장과(張果) 109
적건우(翟乾祐) 119
팔범형(八凡兄) 123
권제31 신선31
이하주(李遐周) 131
허노옹(許老翁) 133
이각(李珏) 143
장전소(章全素) 148
권제32 신선32
왕가(王賈) 155
안진경(顔眞卿) 164
권제33 신선33
위엄(韋엄) 177
신원지(申元之) 181
마자연(馬自然) 184
장거군(張巨君) 193
권제34 신선34
배씨자(裴氏子) 199
최위(崔위) 203
권제35 신선35
성진인(成眞人) 223
백엽선인(栢葉仙人) 225
제영(齊映) 228
왕사랑(王四郞) 231
위단(韋丹) 235
풍대량(馮大亮) 238
권제36 신선36
서좌경(徐佐卿) 245
척발대랑(拓跋大郞) 247
위방진제(魏方進弟) 252
이청(李淸) 254
권제37 신선37
위선옹(韋仙翁) 267
양월공제(楊越公弟) 272
양평적선(陽平謫仙) 274
매약옹(賣藥翁) 277
엄사칙(嚴士則) 279
권제38 신선38
이필(李泌) 285
권제39 신선39
유안(劉晏) 315
최희진(崔希眞) 322
위노사(韋老師) 325
마양촌인(麻陽村人) 326
자심선인(慈心仙人) 329
권제40 신선40
파공인(巴공人) 335
장구겸경(章仇兼瓊) 337
석거(石巨) 339
이산인(李山人) 341
도윤이군(陶尹二君) 344
허작(許작) 352
양운외(楊雲外) 353
두종(杜悰) 354
남악진군(南岳眞軍) 355
권제41 신선41
설존사(薛尊師) 359
왕노(王老) 363
흑수(黑수) 366
유무명(劉無名) 371
권제42 신선42
하지장(賀知章) 379
소영사(蕭穎士) 381
이선인(李仙人) 382
하풍(何諷) 384
황존사(黃尊師) 385
배로(裴老) 387
이우(李虞) 392
하후은자(夏候隱者) 394
권동휴(權同休) 395
권제43 신선43
윤진인(尹眞人) 401
노산인(盧山人) 404
설현진(薛玄眞) 409
우도(于濤) 412
권제44 신선44
전선생(田先生) 419
목장부(穆將符) 423
방건(房建) 425
소동현(蕭洞玄) 427
권제45 신선45
가탐(賈耽) 437
정약(丁約) 439
구도사(瞿道士) 445
왕경(王卿) 447
형산은자(衡山隱者) 451
매진군(梅眞君) 453
권제46 신선46
백유구(白幽求) 459
왕태허(王太虛) 467
왕자지(王子芝) 470
유상(幽商) 474
권제47 신선47
당헌종황제(唐憲宗皇帝) 481
이구(李球) 487
송현백(宋玄白) 493
허서암(許棲巖) 495
위선준(韋善俊) 500
권제48 신선48
이길보(李吉甫) 505
이신(李紳) 508
백락천(白樂天) 512
헌원선생(軒轅先生) 515
이원(李元) 519
위경재(韋卿材) 521
권제49 신선49
반존사(潘尊師) 527
이하(李賀) 529
장급보(張及甫) 531
정책(鄭冊) 532
진혜허(陳惠虛) 535
온경조(溫京兆) 540
권제50 신선50
숭악가녀(嵩岳嫁女) 549
배항(裴航) 566

저자소개

이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태평광기≫의 편찬에는 모두 13명의 학자가 참여했는데 이방(李昉)이 그 대표자다. 이방(925∼996)은 송(宋)나라 초기의 학자로, 자는 명원(明遠)이고 심주(深州) 요양(饒陽: 지금의 河北省에 속함) 사람이다. 오대(五代) 후한(後漢) 건우(乾祐) 연간(948∼950)에 진사(進士)가 되었고, 후한과 후주(後周)에서 벼슬했으며, 송대에 들어와 우복야(右僕射)·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냈다. 일찍이 칙명을 받들어 ≪태평광기≫를 비롯하여 ≪태평어람(太平御覽)≫·≪문원영화(文苑英華)≫·≪구오대사(舊五代史)≫의 편찬을 이끌었다. 문집 50권이 있다. 그 밖의 참여자는 호몽(扈蒙), 이목(李穆), 서현(徐鉉), 송백(宋白), 장계(張?), 왕극정(王克貞), 조인기(趙隣幾), 오숙(吳淑), 여문중(呂文仲), 탕열(湯悅), 동순(董淳), 진악(陳鄂)이다.
펼치기
김장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 남북조 지인 소설 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방문학자,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방문학자를 지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이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중국 문학의 흐름》, 《중국 문학의 향기》, 《중국 문학의 향연》, 《중국 문언 단편 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 집석 연구(魏晉世語輯釋硏究)》, 《동아시아 이야기 보고의 탄생 - 태평광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 연극사》, 《중국 유서 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 역대 필기(中國歷代筆記)》, 《세설신어(世說新語)》(전 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 4권), 《세설신어 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 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 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 8권), 《태평광기초(太平廣記鈔)》(전 16권), 《봉신연의(封神演義)》(전 9권), 《당척언(唐摭言)》(전 2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속제해기(續齊諧記)》, 《선험기(宣驗記)》, 《술이기(述異記)》, 《소림(笑林)·투기(妬記)》, 《고금주(古今注)》,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원혼지(寃魂志)》, 《이원(異苑)》, 《원화기(原化記)》, 《위진세어(魏晉世語)》, 《조야첨재(朝野僉載)》(전 2권),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소씨문견록(邵氏聞見錄)》(전 2권), 《옥당한화(玉堂閑話)》, 《당궐사(唐闕史)》 등이 있으며,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박계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박사. 저서로 『명청대 출판문화』(공저), 『곤충인문학서설-동아시아편』(공저)가 있고, 역서로 『역사에서 허구로-중국의 서사학』(공역), 『우초신지』(공역), 『당음비사』(공역) 『강남은 어디인가』(공역)등이 있으며, 「소송사회의 필요악 訟師 - 明淸代 文言小說 속에 나타난 訟師의 형상과 법률문화」, 「明末 福建 建陽지역의 公案小說集 출판과 법률문화 - 余象斗의 공안소설집 출판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민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고전소설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서적 읽는 것을 좋아해서 틈틈이 중국 전통 시대의 글을 번역해 출간하고 있다. 특히 필기문헌에 실려 있는 중국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한자 콘서트』(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임진기록』(공역), 『녹색모자 좀 벗겨줘』(공역), 『열미초당필기』, 『영환지략』(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청주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연세대학교에서 청대 학자 장학성章學誠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전통 학술과 고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전통 문화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중국 송대에 나온 소설모음집인 『태평광기太平廣記』 번역에 참여했고, 청대 황권皇權과 학계의 역학관계를 다룬 양녠췬의 『강남은 어디인가-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 번역 작업에도 참여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