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아 브로카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의 브라운대학 역사학 교수. 청 제국 말기의 역사를 연구하며 근대 초 이전의 중국 서적사 가 전문 분야다. 저서 『문화 산업: 청조 및 공화국 시기의 쓰바 오 도서 무역Commerce in Culture: The Sibao Book Trade in the Qing and Republican Periods』은 중국 남부 지역의 출판 산업과 유통망이 도서 문화에 미친 영향을 다룬 연구서다. 중국 서적 사 논문집 『청 제국 말기의 인쇄 및 도서 문화Printing and Book Culture in Late Imperial China』(2007)를 저우 지아롱周佳榮과 공 동 편집하고 『목판본에서 인터넷까지: 서기 1800~2008년 중국 전환기 출판 및 인쇄 문화From Woodblocks to the Internet: Chinese Publishing and Print Culture in Transition, circa 1800 to 2008』(2010)를 크리스토퍼 A. 리드와 공동 편집했다.
펼치기
카이윙 초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 홍콩에서 태어났다. 중국 대륙에서는 그를 ‘저우치룽’이라 부르지만, 홍콩 출신인 그는 광동어 발음에 따라 자신의 이름으로 ‘초우 카이윙’을 고집한다. 홍콩침회대학(香港浸會大學,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홍콩신아연구소(香港新亞硏究所, New Asia Institute of Advanced Chinese Studies)에서 역사학 전공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데이비스 분교(U.C. Davis) 역사학과에서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일리노이대학(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역사학과·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 겸 같은 대학 부설 스펄록박물관(Spurlock Museum)의 큐레이터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 책 『예교주의』 이외에도, 『초기근대중국의 출판, 문화, 권력』(Publishing, Culture, and Power in Early Modern China), 『중화제국 후기의 인쇄와 출판문화』(Printing and Book Culture in Late Imperial China, 공편), 『유가의 상상속의 경계: 중화제국 후기의 텍스트, 주의, 관습』(Imagining Boundaries of Confucianism: Texts, Doctrines, and Practices in Late Imperial China, 공저), 『근대 동아시아의 독립국가 건설하기』(Constructing Nationhood in Modern East Asia, 공저), 『근대중국의 국가, 근대성, 문화적 생산: 5·4운동 패러다임의 탈중심화』(Nation, Modernity, and Cultural Production in Modern China: Decentering the May-fourth Paradigm, 공저) 등이 있으며, 명·청시대의 사상사, 문화사, 출판인쇄사 방면을 주제로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조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공부했다(문학박사). 상명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교수). 한국중국소설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조관희 교수의 중국사』(청아), 『조관희 교수의 중국현대사』(청아), 『소설로 읽는 중국사 1, 2』(돌베개), 『청년들을 위한 사다리 루쉰』(마리북스). 『후통, 베이징 뒷골목을 걷다』(청아), 『베이징, 800년을 걷다』(푸른역사), 『교토, 천년의 시간을 걷다』(컬쳐그라퍼) 등이 있고, 루쉰(魯迅)의 『중국소설사(中國小說史)』(소명출판)와 데이비드 롤스톤(David Rolston)의 『중국 고대소설과 소설 평점』(소명출판), 자오위안런(趙元任)의 『중국어문법』(한국문화사)을 비롯한 다수의 역서가 있으며,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지은이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홈페이지(www.amormundi.net)로 가면 얻을 수 있다.
펼치기
박계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박사. 저서로 『명청대 출판문화』(공저), 『곤충인문학서설-동아시아편』(공저)가 있고, 역서로 『역사에서 허구로-중국의 서사학』(공역), 『우초신지』(공역), 『당음비사』(공역) 『강남은 어디인가』(공역)등이 있으며, 「소송사회의 필요악 訟師 - 明淸代 文言小說 속에 나타난 訟師의 형상과 법률문화」, 「明末 福建 建陽지역의 公案小說集 출판과 법률문화 - 余象斗의 공안소설집 출판을 중심으로」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효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 중문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베이징대학 동방어문학부 초빙교수를 지냈고, 현재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중국학전공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문화적 시각, 한중 관계 및 비교문화적 측면에서 전통시기 중국의 서사를 주로 연구해 오고 있다.
옮긴 책으로 <중국과거문화사>, <팔고문이란 무엇인가>, <중국 명청시대 과거제도와 능력주의 사회>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수호전 별에서 온 영웅들의 이야기>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한·중 지식인 사회와 그 윤리 ― 과거제도와 관련하여」, 「명청소설과 팔고문」,
「『유림외사』평점評點의 구조론 시탐: 팔고문법과의 관련성 탐색을 중심으로」,
「과거제도의 관점에서 본 한중소설 시론」, 「『홍루몽』과 과거科擧 문화」 등이 있다.
펼치기
김광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푸단대학(復旦大學) 박사. 현재 ‘중국 고대 문헌의 형성과 전승’이라는 관점에서 중국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군서치요 연구」, 「사라진 중국책, 중국에서 살아남다」, 「“도광양회” 이데올로기의 출생과 성장」, 「제환공은 왜 조말을 살려두었나」, 「송양공을 위한 변명」 등의 논문이 있으며, 『대학연의(하)』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김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 박사. 저서로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 형상』(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중국문학 속 상인 세계』(공역) 등이 있다. 「명말청초 중단편 白話소설 삽도의 博古器物 도안 연구」 , 「明末 동성애소설 『宜春香質』・ 『弁而釵』 삽화의 서사 재현과 玩物로서의 특징 연구」 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김진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및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리건대학교(University of Oregon)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의 17~18세기 소설에 나타나는 사상사적 담론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한 논문으로 “The Material Reconstruction of Rituality in ‘Jiang Xingge Reencounters His Pearl Shirt’”, “Beheaded Meanings and Anonymous Signifiers: Forms of Truth and Conditions for Its Emergence in Late Ming Court Case Fiction”(근간)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