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변증론

변증론

아리스토텔레스 (지은이), 김재홍 (옮긴이)
길(도서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변증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변증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아리스토텔레스
· ISBN : 9788987671987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08-07-14

책 소개

기본적으로 논변의 규칙을 정하는 핸드북이다. ‘토피카’는 진리를 찾아가는 대화술로서의 플라톤적인 변증술을 넘어 대상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문제에 관심을 둔다. 여기에 덧붙여 대화하는 상대방을 공격하고 또 자신의 입장을 방어하는 일련의 책략이 담긴 저작이다.

목차

옮긴이의 말 009
참고문헌 015
일러두기 019

제1권
제1장 이 논고의 목적과 대상 029
제2장 이 논고의 세 가지 유용성에 대해 035
제3장 제안된 방법의 한계 037
제4장 논의의 주제와 구성 요소 038
제5장 네 가지 술어에 대한 설명 040
제6장 술어들을 구별해서 취급할 수 있는 여지에 대해 044
제7장 ‘같음’의 여러 의미 ; 수에서, 종에서, 유에서 046
제8장 술어들의 구분에 대한 두 가지의 확증 방식 048
제9장 10개의 범주와 술어들의 관계 049
제10장 변증술적 명제들 051
제11장 변증술적 문제들 054
제12장 변증술적 추론 ; 귀납과 추론 057
제13장 논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네 가지 도구 058
제14장 명제의 확보 059
제15장 의미의 다의성을 탐지하는 방법 062
제16장 유사한 유들의 종차에 대한 검토 072
제17장 유사성의 탐구 072
제18장 의미.종차.유사성의 고찰에 대한 유용성 073

제2권
제1장 보편명제와 특칭명제, 부수성에 입각한 문제의 난점, 두 가지 잘못 079
제2장 부수적 문제들과 관련된 토포스들 081
제3장 의미의 모호성과 관련된 토포스들 086
제4장 여러 토포스들 090
제5장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규칙들 094
제6장 여러 논변의 사례들 096
제7장 반대들로부터 이끌어낸 토포스 099
제8장 대당관계에 입각한 토포스들 103
제9장 동위어와 굴절어를 사용하는 토포스 106
제10장 사물의 유사성과 정도의 차이에 기초한 토포스들 109
제11장 덧붙임의 관점으로부터의 논의 111

제3권
제1장 여러 토포스들 117
제2장 서로 수반하는 것들 간에서 이루어지는 선택 기준들 124
제3장 두 술어들 간의 비교 평가의 기준 132
제4장 가치를 표명하는 단적인 술어들에 대한 앞의 규칙의 적용 136
제5장 속성 정도의 크기에 따른 비교 137
제6장 여러 토포스들의 사용 139

제4권
제1장 유와 고유속성과 관련된 여러 토포스들 Ⅰ 149
제2장 (제1장에 이어) 유와 고유속성에 관련된 여러 토포스들 Ⅱ 156
제3장 반대, 유와 종, 굴절어와 동위어를 사용하는 토포스 163
제4장 관계의 동일성, 생성과 소멸, 사물의 능력과 사용, 상태의 대립과 그 결여, 모순 대당관계, 관계, 굴절 등과 관련된 여러 토포스들 168
제5장 상태와 현실태, 유와 종에 관련된 여러 토포스들 175
제6장 유와 종, 정도, 유와 종차의 구분과 관련된 여러 토포스들 183

제5권
제1장 네 종류의 고유속성 193
제2장 고유속성이 적절하게 주어졌는지 검사하는 방법들Ⅰ 197
제3장 (제2장에 이어) 고유속성이 적절하게 주어졌는지 검사하는 방법들 Ⅱ 205
제4장 말해진 것이 참된 고유속성인지를 가리는 토포스들에 대해 212
제5장 고유속성을 잘못 부여하는 경우들에 대해 221
제6장 대당의 여러 방식으로부터의 규칙들 229
제7장 굴절어, 유사한 관계, 동일한 관계, 생성과 소멸, 이데아와 관련된 토포스들 234
제8장 정도의 관점에서의 토포스와 같은 정도로 속하는 고유속성들을 비교하는 토포스 240
제9장 존재하지 않는 것에 고유속성을 부여하는 것과 고유속성을 최상급으로 규정하는 경우에 대해 246

제6권
제1장 정의에 관한 다섯 가지의 논의 251
제2장 불명확성을 피하는 방법 253
제3장 정의를 장황하게 서술하는 것에 대해 256
제4장 정의가 그 본질을 규정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 260
제5장 정의에서 유의 사용에 관한 토포스들 266
제6장 정의에서 종차의 사용에 관한 토포스들 270
제7장 정의를 검사하는 여러 방법들 281
제8장 관계적인 말들의 정의를 검사하는 토포스들 284
제9장 정의하기 위한 토포스들 289
제10장 다른 여러 토포스들 293
제11장 복합어의 정의를 검사하는 토포스들 296
제12장 정의를 검사하는 토포스들 299
제13장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진 정의를 취급하는 방법 303
제14장 정의를 검사하는 여러 토포스들 308

제7권
제1장 ‘같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들을 취급하는 토포스들 315
제2장 앞 장에서 주어진 토포스들은 정의를 확립하는 데가 아니라 논파(파괴)하는 데 유용하다 321
제3장 정의를 확립하는 토포스들 321
제4장 가장 유용한 토포스들에 대한 언급 327
제5장 정의의 확립과 파괴 ; 정의를 구성하는 요소들 327

제8권
제1장 변증술적 방법의 실제적 수행에 대해 337
제2장 (2)귀납에 대해 346
(3)반론들 348
(4)불가능한 것을 통한 추론 350
(5) 질문의 형식으로 내놓는 것에 대한 여러 가지 권고 351
제3장 변증술적 논의에서의 여러 곤란한 점들에 대해 353
제4장 질문에 답변하는 방법 ; 질문자와 답변자의 구실 358
제5장 훈련과 검토를 위한 논의에서의 규칙의 결여 358
제6장 질문 받는 것에 대해 362
제7장 질문은 명확하고 하나의 의미를 담고 있어야 한다 364
제8장 반론과 반증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365
제9장 입론을 방어하는 방법 366
제10장 거짓 논의의 해소책 367
제11장 논의와 관련된 여러 비판들에 대해 369
제12장 논의의 명확성 ; 논의의 오류?논의의 거짓을 검토하는 방법 377
제13장 선결 문제의 오류 ; 반대인 것들의 요구 379
제14장 변증술적 논의의 훈련과 연습 381

해제 ‘이야기 터’를 마련하기 위한 시도와 탐구 방법의 모색 389
연보 476

저자소개

아리스토텔레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리스 북동부 칼키디케 반도 스타게이로스(Stageiros) 출생. 별칭으로 ‘스타게이로스의 사람’으로 불렸다. 마케도니아의 왕 아뮨타스 3세의 시의(侍醫)였던 아버지 니코마코스 덕에 어린 시절 펠라의 궁전에서 수준 높은 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했다. 17세가 되던 기원전 367년 아테네로 간 그는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 들어가 플라톤이 죽는 347년경까지 20년 동안 플라톤 문하에서 학문에 정진한다. 플라톤이 죽고 그의 조카 스페우시포스가 아카데미아의 새 원장이 되자 몇몇 동료와 아테네를 떠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42년 마케도니아의 필립포스 왕에 의해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의 교육을 위탁받은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알렉산드로스가 아시아 원정을 준비하던 335년 아테네로 돌아온 그는 아폴론 신전 경내에 뤼케이온이라는 학원을 설립한다.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고, 아테네에 반 마케도니아 기운이 감돌기 사작하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를 떠나 어머니의 고향 칼키스로 갔고, 이듬해에 세상을 떠난다. 그의 저술들을 주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논리학적 저작으로 『범주론』, 『명제론』,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토피카』, 『소피스트적 논박에 대하여』 등이, 이론철학적 저작으로 『자연학』, 『형이상학』, 『혼에 대하여』 등이, 실천철학적 저술로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에우데모스 윤리학』, 『대도덕학』 등이 전해진다. 또한 언어학적 철학 저작인 『수사술』과 예술 이론적 저작인 『시학』이 전승되었고, 생물학 관련 작품으로 『동물 탐구』, 『동물의 부분들에 대하여』, 『동물의 운동에 대하여』 등도 전해진다.
펼치기
김재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숭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서양고전철학을 전공해 1994년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방법론에서의 변증술의 역할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 ‘고중세 철학 합동 프로그램’에서 철학 연구를 한 후,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지냈다. 2008년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과 관동대학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로<그리스 사유의 기원>(살림, 2003),<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공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에픽테토스 ‘담화록’>(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정신의 발견>(브루노 스넬, 까치, 2002), <엥케이리디온>(에픽테토스, 까치, 2003),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공역, 아카넷, 2005), <그리스 사유의 기원>(장-피에르 베르낭, 도서출판 길, 2006), <니코마코스 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공역, 이제이북스, 2006), <소피스테스적 논박>(아리스토텔레스, 한길사,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하나의 주장을 뒤엎으려는 사람은 상대방이 고유속성 안에 모든 것에 속하는 어떤 이름을 부여하고 잇는지 어떤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사실상 그 주어가 다른 어떤 것들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고, 정의의 경우에 그런 것처럼 여러 고유속성에서 말해지는 것도 분리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때문이 이 고유속성은 올바르게 규정될 수 없을 것이다. 가령 "하나이기 때문에 논의(이성, 로고스)에 의해 흔들릴 수 없는 믿음"을 '앎'의 고윺속성으로서 내세우는 사람은 무엇인가 이런 종류의 것, 즉 모든 것에 속하는 "하나"를 고유속성을 규정하는 말 가운데 사용하기 때문에 앎의 고유속성을 올바르게 규정할 수 없다. (203쪽, '제5권'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