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 ISBN : 978898767199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08-09-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7
제1장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유식불교 13
1. 대화에서 유의해야 할 점 18
2. 대화를 감도는 선율들 31
첫 번째 마당 : 근원적 시간과 아뢰야식
제2장 근원적 시간의 '어떻게'와 아뢰야식의 '어떻게' 67
1. 본질 없는 근원적 시간과 자성 없는 아뢰야식 68
2. 우주 만법의 근본으로 본 근원적 시간과 아뢰야식 78
3. 근원적 시간의 자기변양과 아뢰야식의 능변 작용 108
4. 근원적 시간의 순간성과 아뢰야식의 찰나멸 123
5. 근원적 시간의 각시성과 아뢰야식의 상속 133
제3장 아뢰야식의 연기설과 근원적 시간의 탈근거적 힘 149
1. 연기법의 몇 가지 특징들 150
2. 아뢰야식의 인연과 근원적 시간의 선천성 158
3. 아뢰야식의 소연연과 존재자의 중복성 175
4. 아뢰야식의 증상연과 현-존재의 선천적 가능성으로 본 근원적 시간 190
5. 아뢰야식의 등무간연과 근원적 시간의 각시성 213
6. 연기의 평등과 존재자 전체 너머로 비상하는 근원적 시간 223
두 번째 마당 : 현존재의 실존성과 삼성설
제4장 실존의 비본래성과 변계소집성 237
1. 삼성설의 얼개와 그 특징 239
2. 구생기 법집과 구생기 아집 247
3. 변계소집성과 아법의 실체화 254
4. 실존의 비본래성과 현존재의 실체화 261
5. 중생의 아집과 비본래적 현존재의 아집 281
제5장 실존의 본래성과 의타기성 293
1. 만법의 실상으로 본 의타기성과 실존의 근원으로 본 본래성 294
2. 현존재의 양심 현상과 보살의 청정한 지혜 301
3. 의타기성과 식의 상속 318
4. 실존의 본래성과 현존재의 자기부단성 338
5. 시간의 개별성과 현존재의 무아 361
제6장 차이와 열반 379
참고문헌 417
찾아보기 422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는 현-존재일 뿐이다. 요컨대 현존재는 그의 존재에서 모든 존재자에게 열려 있는 빈 공간으로 실존한다. 거기에는 현-존재의 열린 공간을 가리거나 가로막는 본질, 영혼, 자아, 인격 등등과 같은 인간의 형이상학적인 자성이 없다. 사실 영원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치부되는 영혼이나 자아는 현존재를 세계의 열린 공간을 향해서 닫아버리는 개방성의 장애물에 불과하다고 보아야 마땅하다. 하이데거가 그것들을 전재성의 양태로 간주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불교적으로 말해서 현존재는 무아 또는 아공(我空)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영혼이나 자아와 같은 장애물이 없는 까닭이다. 물론 영혼이나 자아가 없다고 해서 현존재의 존재가 결핍되어 있거나 허무하거나 하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자성이 없기 때문에, 현존재는 모든 존재자를 현(Da)의 열린 공간으로 받아들이고 나아가서 존재자로 하여금 현상하도록 그 열린 공간으로 자신을 기투(企投)한다고 보아야 한다. (97~98쪽, '제2장 근원적 시간의 '어떻게'와 아뢰야식의 '어떻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