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식불교의 거울로 본 하이데거

유식불교의 거울로 본 하이데거

권순홍 (지은이)
길(도서출판)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39,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식불교의 거울로 본 하이데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식불교의 거울로 본 하이데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마르틴 하이데거
· ISBN : 978898767199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08-09-16

책 소개

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론과 존재시성(存在時性)의 분석론으로 나뉘어 있는 기초존재론의 구성에 준해서 두 개의 마당에서 대화를 전개한다. 아뢰야식의 작용에 대한 분석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근원적 시간을 따로 분석할 때보다 아뢰야식을 거울로 삼아서 분석함으로써 이 시간의 구조, 시간화 운동의 양태들을 더욱더 명료하게 드러낼 수 있다.

목차

머리말 7

제1장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유식불교 13
1. 대화에서 유의해야 할 점 18
2. 대화를 감도는 선율들 31

첫 번째 마당 : 근원적 시간과 아뢰야식
제2장 근원적 시간의 '어떻게'와 아뢰야식의 '어떻게' 67
1. 본질 없는 근원적 시간과 자성 없는 아뢰야식 68
2. 우주 만법의 근본으로 본 근원적 시간과 아뢰야식 78
3. 근원적 시간의 자기변양과 아뢰야식의 능변 작용 108
4. 근원적 시간의 순간성과 아뢰야식의 찰나멸 123
5. 근원적 시간의 각시성과 아뢰야식의 상속 133

제3장 아뢰야식의 연기설과 근원적 시간의 탈근거적 힘 149
1. 연기법의 몇 가지 특징들 150
2. 아뢰야식의 인연과 근원적 시간의 선천성 158
3. 아뢰야식의 소연연과 존재자의 중복성 175
4. 아뢰야식의 증상연과 현-존재의 선천적 가능성으로 본 근원적 시간 190
5. 아뢰야식의 등무간연과 근원적 시간의 각시성 213
6. 연기의 평등과 존재자 전체 너머로 비상하는 근원적 시간 223

두 번째 마당 : 현존재의 실존성과 삼성설
제4장 실존의 비본래성과 변계소집성 237
1. 삼성설의 얼개와 그 특징 239
2. 구생기 법집과 구생기 아집 247
3. 변계소집성과 아법의 실체화 254
4. 실존의 비본래성과 현존재의 실체화 261
5. 중생의 아집과 비본래적 현존재의 아집 281

제5장 실존의 본래성과 의타기성 293
1. 만법의 실상으로 본 의타기성과 실존의 근원으로 본 본래성 294
2. 현존재의 양심 현상과 보살의 청정한 지혜 301
3. 의타기성과 식의 상속 318
4. 실존의 본래성과 현존재의 자기부단성 338
5. 시간의 개별성과 현존재의 무아 361

제6장 차이와 열반 379

참고문헌 417
찾아보기 422

저자소개

권순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나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하이데거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1987)와 박사학위(1997)를 받았다. 현재 군산대 역사철학부 철학전공 교수로 있으며, 2012년 『유식불교의 거울로 본 하이데거』로 제4회 대한철학회 운제철학상을 수상했다. 논문으로 「실유 대 실존: 토마스의 실유의 형이상학과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 「하이데거와 타인의 문제」, 「현대 기술과 도시적인 삶의 일상성: 영화 ‘중경삼림’이 보내는 두 가지 철학적 메시지」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유식불교의 거울로 본 하이데거』((도서출판 길, 2008) 등이 있다. 역서로는 『헤게모니와 혁명: 그람시의 정치이론과 문화이론』(월터 L. 아담슨, 학민사, 1986), 『서양철학사』(윌리엄 사하키안, 문예출판사, 1989), 『사유란 무엇인가』(마르틴 하이데거, 도서출판 길, 2005), 『HOW TO READ 하이데거』(마크 A. 래톨, 웅진지식하우스, 2008),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 1』(게오르그 루카치, 아카넷,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하이데거에 의하면, 현존재는 현-존재일 뿐이다. 요컨대 현존재는 그의 존재에서 모든 존재자에게 열려 있는 빈 공간으로 실존한다. 거기에는 현-존재의 열린 공간을 가리거나 가로막는 본질, 영혼, 자아, 인격 등등과 같은 인간의 형이상학적인 자성이 없다. 사실 영원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치부되는 영혼이나 자아는 현존재를 세계의 열린 공간을 향해서 닫아버리는 개방성의 장애물에 불과하다고 보아야 마땅하다. 하이데거가 그것들을 전재성의 양태로 간주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불교적으로 말해서 현존재는 무아 또는 아공(我空)이라고 할 수 있는데, 영혼이나 자아와 같은 장애물이 없는 까닭이다. 물론 영혼이나 자아가 없다고 해서 현존재의 존재가 결핍되어 있거나 허무하거나 하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자성이 없기 때문에, 현존재는 모든 존재자를 현(Da)의 열린 공간으로 받아들이고 나아가서 존재자로 하여금 현상하도록 그 열린 공간으로 자신을 기투(企投)한다고 보아야 한다. (97~98쪽, '제2장 근원적 시간의 '어떻게'와 아뢰야식의 '어떻게'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