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시론
· ISBN : 9788988286852
· 쪽수 : 210쪽
· 출판일 : 2002-11-20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3. 연구 방법과 범위
제2장 설화의 재연
1. 설화 수용의 일반적 패턴
1) 전경화
2) 동일화
3) 율격화
2. 인물을 통한 재구술
1) '죽은 누나'의 재생 : 김소월의 <접동새>
2) 일편단심의 비극 : 김영랑의 <춘향>
3) 춤과 웃음의 해학 : 서정주의 <처용훈>
4) 기다림의 한 :조지훈의 <석문>
3. 사건 재구술
1) 꽃과 미의 은유 : 서정주의 <수로부인>시편
2) '서러운 웃음'의 미학 : 박재삼의 <흥부부부상>
제3장 설화의 확장
1. 인과적 확장
1) 매의 눈물 : 서정주의 <무제>
2) 불의 재생: 서정주, 김춘수의 '지귀설화'시편
3) 일편단심의 변주 : 박재삼의 <춘향> 시편
4) '옥중 수난'의 극대화 :전봉건의 <춘향연가>
5) 사회 비판의 메신저 : 송수권의 <춘향이 생각>
2. 비유적 확장
1) 끊어진 오작교 : 김소월의 <춘향과 이도령.>
2) 환원되지 않는 한 :박재삼의 <포도>
3) 풍요로운 익살 : 서정주의 <소자 이 생원네 마누라님의 오줌기운>
4) 곰나루에 선 아사달 : 신동엽의 '백제계 설화'시편
5) 현실비판의 거울 : 이승하의 <우패가를 읽는 밤>
제4장 설화의 전환
1. 모티프의 변용
1) 신화적 세계로의 통로 : 서정주의 <춘향> <사소>시편
2) 되풀이되는 가락자의 굴레 : 강은교의 <춘향이의 꿈노래>
3) 화냥기 같은 사랑의 생명력 : 송수권의 <남원운문>
4) 낙천적 생사관 : 박제천의 <월명>
5) 신화의 세계, 세속의 세계 : 김춘수의 <처용> 시편
2. 인물 패러디
1) 민중적 투사로의 변신 :최하림의 <춘향비가>
2) 햄릿적 욕망의 대변자 : 윤석산의 <처용의 노래>
3) 향락적 물신주의의 전형 : 황지우의 < >
4) 산업공단 근로자의 열꽃들 : 정일근의 <취재수첩.16>
3. 모형 해체
1) CM, 전자오락, 섹스: 황지우의 < >
2) 미군부대 주변의 제비꽃 : 이하석의 <처용의 딸>
3) 헝겊조각인가, 역신인가: 문정희의 <처용 아내의 노래>
제5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