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작가론
· ISBN : 978898853782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6-09-29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Ⅰ. 전후비평과 이데올로기
1. 연구사 비판 및 문제제기
2. 연구방법 및 논의의 방향
Ⅱ. 문학비평의 입지
1. 전후의 한국사회와 문학의 좌표설정
2. 전후문단의 제도적 구축과 문단권력의 변화
(1) '예술원 파동'에 따른 문학단체의 양립
(2) 문학 매체의 경합과 전후문단의 재편
3. 전후감각의 대두와 신세대 문인들의 출현
Ⅲ. 문학관과 현실인식
1. 비평의 인식론적 기원
(1) 인식론적 아비투스 - 상황극복과 현실초극 의지
(2) 역사인식론 - 발전론적(progressive) 세계인식
2. 현실주의적 문학관과 민족적 주체성의 확립
(1) 세계전망의 에토스 - 저항정신과 행동주의
(2) 민족문학의 이념과 주체 - 민족, 평민, 대중
3. 비평의 기능 - 문학적 전망의 창현(創現)과 설정
Ⅳ. 비평적 주체정립 담론의 전개양상
1. 현실주의 시론의 제창과 50년대 시단 비판
(1) 현실주의 시론의 이념- 시와 역사적 현실의 공진화
(2) 현대시의 순수감각 비판- 현실격리의 진공성
(3) 모더니즘의 내재적 비판과 현대시의 전망
2. '초극의 니힐리즘'과 현실의 행동성 촉구
3. 계승적 세대의식과 전통론의 방향 제시
(1) 계승적 세대의식과 신세대의 문학사적 의무
(2) 전통과 현대에 대한 주체적 인식과 전망 설정
4. 현실참여의 문학 - 1960년대 비평으로의 이월
Ⅴ. 최일수 문학비평의 비평사적 의의
1.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제창과 비평의 정치성 복원
2. 전통과 모더니티에 대한 성찰적 개념 규정
3. 비평의 정론성과 미적 자의식의 불균형
Ⅵ.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가장 이해할 줄 아는 사람만이 그 본질을 가장 옳게 비판할 줄 알고 또 가치평가를 올바르게 할 줄 안다는 사실은 그 비평적 대상을 부정하거나 긍정하기에 앞서서 이를 본질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비평의 자세를 말하는 것이며 그 이해력은 어디까지나 대상에 동조하거나 타협하는 형태가 아니라 보다 비평과 작품과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대립해주는 하나의 합칙성(合則性)을 말하는 것이다. - 본문 139쪽에서
최일수의 문학론은 간명하게 말하면 '현실주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학관은 전후의 현실에서 주류가 될 수 없었다. 그것은 최일수 개인의 문제이기보다는, 전후사회를 근저로부터 규정했던 극단화된 반공주의와 냉전의식에 기인한다. 그 냉전의식과 반공주의란 상황구속적인 이데올로기였고,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중압을 초극하고 보다 바람직한 미래전망을 추구하는 최일수의 현실주의 문학이념은 유토피아 의식을 보여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 본문 30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