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강재형의 말글살이

강재형의 말글살이

(상식과 이치로 보는 우리말 특강)

강재형 (지은이)
기쁜하늘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강재형의 말글살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강재형의 말글살이 (상식과 이치로 보는 우리말 특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8896446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8-05-17

책 소개

방송프로그램 〈우리말나들이〉시조새로 유명한 MBC 아나운서 강재형의 책이다. 저자는 입사 후 한 인터뷰에서 “걸어 다니는 표준말이 되겠습니다.”라고 할 만큼 새내기 시절부터 말과 글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

목차

추천의 글 1_우리 말글에 대한 애틋한 사랑 이야기입니다
추천의 글 2_바른 언어생활이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들어가는 글_방송하며, 공부하며, 말글살이 하며

제1장 말과 삶이 뒤섞이는 말글살이
_인생과 더불어 가는 우리말

갈등은 푸는 것|박물관은 살아 있다|[끈키다]|목소리 성형|낱말장|온 누리 두루 흐림|우울한 한국어|통음|멀쩡함|용수철|전설의 마녀|봄|간절기|복 받으셨다 하니|언니|새 학기|삯|밥약|명량|목로주점|모이|물때|8월의 크리스마스|아랫집 딸도 영애다|봄날은 온다|아언각비(雅言覺非)

제2장 맛있는 우리말
_음식과 관련한 우리말

김치|에너지 음료|명-태|돔|오징어 1|오징어 2|문어발|조개|차지다|다대기와 닭도리탕|풋닭곰|풋-|얼룩빼기 황소|쇠고기|삼겹살|갈비찜/닭찜|깻잎|염지|식해|담그다-담다|퍼드레기|보름달|鬱島項(울도항)과 懷石(회석)

제3장 밖에서 들어온 우리말
_낯설지만 많이 쓰는 외래어, 한자어

나체팅|와이로|빛깔 이름|땅꺼짐|안전문/망사문|뽁뽁이|비오토프|나들목-조롱목|마탄의 사수|영란은행|美國/米國|시보리 1|시보리 2|정보무늬|중동|해독/치유|신장-콩팥|지.라.시|재플리시 1|재플리시 2|화성돈|해장|팜므파말|잔떨림제거|카울|무용지물

제4장 이해하기 쉬워야 할 공공 언어
_뜻과 의미가 명확해야 할 우리말

대박|개구라|CCTV|5678님|간판 문맹|네가지/싸가지|내빈/위빈|나-본인-저|사회 지도층|-분|선정/지정|방금|동통|救命胴衣(구명동의)|수어|‘야전’과 ‘야자’|엘씨디로?|성-이름|누구/아무|수상/시상|-시- 1|-시- 2|○○○ 의원입니다|표준 언어 예절|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참공약|말다듬기위원회|방송 자막|윤석열

제5장 따라하면 좋은 방송 언어
_일상어와 같아 본보기가 되는 우리말

아나운서의 말 한마디|인사말 지침서|‘히우지자네이루’의 ‘범실’|자막에도 격(格)이 있다|청마(靑馬)|발음 틀리면 벌금 50위안|‘인민’과 ‘동무’|‘열(10)’은 짧다

제6장 살아 있는 스포츠 용어
_외래어가 난무해서 헷갈리는 우리말

겨울 올림픽|마린 보이|쿵후 판다|육상대회|死守(사수)|야구|야구공 뜨기|징크스|슈퍼볼|ㅅ퍼세이브|응씨배|휘거|튀르키예

제7장 투박하지만 정감 있는 토박이말
_사라지고 있는 살가운 우리말

함함하다|아무개|-지기|나발/나팔|오른쪽|닭 볏|깃|꼬까울새|처리뱅이|안갚음|태어나다|하룻강아지|포뢰|한글박물관|고명딸|경텃절몽구리아들|개쓰레기|좋은 발음|지슬|배뱅이

제8장 명확한 말글살이를 위한 바루기
_일상 속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표피|복약 설명서|수입산|카키색|다른 그림 찾기|등-용문|집행유예 ‘육 개월’|공공칠/영영칠|쉐보레?|로마자 표기|[방ː사썽]|승자총통(勝字銃筒)|가(價)의 발음|‘호프=맥주’?|연륙교|광안리|내비게이터|카이사르|헤로인|시해|위탁모|희생자|되갚음|드론|시들다-시듦|푸껫|정정 보도|염두|육/륙|퍼센트/퍼센트포인트|레스쿨제라블|사리|X-mas|3M

제9장 곱씹어 볼 우리말
_헷갈리고 모호해서 쓸 때마다 되짚어 볼 우리말

뒷담화|백열|사전이 틀렸다|한글, 오해와 진실|네가 더 ‘낳다’?|‘살인 진드기는 억울하다|’아카시아‘가 ’아까시나무‘이다|기림비|행각과 순방|[땅거미]와 [김ː밥]?|세노야|폭탄주 빚기, 문답|의사/열사|지지지난|탄신일|영업시운전|어기여차|수능 듣기 평가|국어영역|현수막|전공의|갹출/각출|24시|염장|닭의어리|방방곡곡|베짱이|센티

찾아보기

저자소개

강재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불광동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마치고, 같은 대학 언론대학원에서 방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1987년부터 문화방송 아나운서로 일하고 있다. 방송언어 연구와 바른 우리말 방송에 이바지하여 2008년 한글학회의 ‘우리말지킴이’ 선정, 2013년 아나운서들이 시상하는 ‘아나운서대상’ 수상, 2014년 ‘한국어문상 대상’ 수상, 2020년 한글날에 ‘한글발전유공’으로 국민포장을 수훈했다. 현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별위원회 위원, 법무부 교화방송자문위원회 위원장이다. 문자를 바탕으로 추상 작품을 만드는<텍스토그램>(TexToGram)(2016), <동주_2021>(2021) 등의 전시 작업을 하는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퀴즈아카데미>, <장학퀴즈>, <새미기픈물>, <늘푸른 인생>, <테마기획 정보뱅크>, <스포츠 하이라이트>, <생방송화제집중> 등의 TV프로그램과 <MBC뉴스>를 진행했으며 <베이징올림픽>을 비롯한 온갖 중계방송과 <오늘의 스포츠>, <가요스포츠>, <FM문화가이드> 같은 여러 라디오 프로그램을 거쳤다. 우리말 에세이 <애무하는 아나운서>, <방송화법>, <강재형의 말글살이>, <카레이싱 이야기>, <F1의 모든 것>, <아나운서 말하기 특강> 등을 펴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능성 음료’라는 게 있다. 마시면 ‘살이 빠지고’,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되며’, ‘에너지를 공급해 준다’며 선전하는 음료이다. 기능성 음료 중에 ‘에너지 음료’가 가장 많이 팔렸다는 소식을 들었다. ‘에너지 음료’의 칼로리는 110kcal 안팎으로 일반 청량음료와 비슷한 수준이니 ‘에너지 공급’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다. ‘에너지 음료’가 여느 것과 다른 점은 카페인이 들어 있다는 것이니 ‘각성 음료’라 하는 게 성질에 더 맞는다. ‘각성 음료’라 하면 ‘에너지’라는 말에 넘어가 ‘카페인 흡입’하는 청소년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_〈본문 65쪽 중에서, 제2장 맛있는 우리말〉


‘얼룩배기’와 ‘얼룩백이’는 얼룩빼기의 잘못이다. ‘-빼기’는 ‘그런 특성이 있는 사람이나 물건’ 또는 ‘비하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곱빼기, 밥빼기(동생이 생긴 뒤에 샘내느라고 밥을 많이 먹는 아이), 코빼기(‘코’를 속되게 이르는 말), 악착빼기(몹시 악착스러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처럼 쓰인다. 얼룩빼기는 ‘겉이 얼룩얼룩한 동물이나 물건’이니 얼룩빼기 황소는 얼룩소의 하나이다. ‘얼룩 황소’가 왠지 이상하게 들린다면, 황소를 털 빛깔이 누런 누렁소로 잘못 알고 있기 때문이다. 황소는 큰 수소이다. 황소에는 얼룩빼기도 있고 검은 것도 있는 것이다._〈본문 86쪽 중에서, 제2장 맛있는 우리말〉


문화방송이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소개한 ‘싱크홀’은 외국의 불가사의한 현상을 엮어 전한 ‘남의 얘기’였다.(2010년) 서울방송이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괴구멍 미스터리, 싱크홀의 정체는?’을 다루면서 비로소 ‘한국도 싱크홀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2012년) 기사 검색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국내 언론에 ‘싱크홀’이 등장한 때는 2010년이다.(네이버) 나라 밖 소식으로 이따금 알려지기 시작한 ‘싱크홀’은 국내 발생이 늘기 시작한 2012년 이후 기사 빈도가 늘어났다. 최근 ‘제2롯데월드’ 공사 현장 근처 사고로 “수도권 주민 95%, ‘싱크홀 무서워’”하는 세상이 되었다.
‘싱크홀(sink hole)’이 낯설 때, 매체들은 ‘순식간에 땅이 푹 꺼져 버리는(현상)’, ‘멀쩡하던 땅이 갑자기 꺼져 생기는 구멍’, ‘(땅이) 가라앉아 생긴 구멍’, ‘지반이 붕괴되는 (현상)’, ‘거대 구멍’, ‘움푹 팬 웅덩이’, ‘지반침하’ 따위의 설명을 붙였다. 명사인 원어를 설명적으로 다루거나, 웅덩이(움푹 파여 물이 괸 곳)처럼 풀이가 적절하지 않은 것도 있다. ‘땅꺼짐’은 어떨까. 널리 쓰이고 있고(14만 2,000건, 구글), 정부 발표문에도 나오는 표현이다.(‘물 관리 종합 대책’, 1996년 8월)_〈본문 107~108쪽 중에서, 제3장 밖에서 들어온 우리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