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언어철학/분석철학
· ISBN : 978898900732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7-10-2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제1부 구조
1장 철학적 앎
1. 근원과 반성
2. 현상과 개념
3. 발견과 논리
2장 철학적 방법
1. 경험과 언어
2. 앎과 언어
3. 서술과 분석
4. 언어현상학과 언어철학
5. 현상학과 실존주의
6. 현상학과 인문사회과학
7. 현상학과 해석학
3장 철학적 해명
1. 삶의 세계와 삶의 양식
2. 의미화의 구조
3. 철학적 해명
제2부 전개
4장 현상학
1. 후설과 인식
a.명증성의 추구
b.의미대상과 초험적 자아
c.상호주관성
2. 하이데거와 존재학
a.존재의 문제
b.인간존재
c.존재와 시
3. 사르트르와 실존주의
a.실존과 자유
b.자기기만
c.타인과의 관계
d.개인과 사회
4. 메를로-퐁티와 지각
a.인식
b.언어
c.야생적 존재
d.예술적 진리
5장 분석철학
1. 무어와 상식
a.철학적 동기와 방법
b.관념론비판
c.상식과 철학
2. 러셀과 논리학
a.과학적 철학
b.논리원자주의
c.철학적 과학
3. 카르납과 실증주의
a.실종원칙
b.이상언어
c.경험주의의 독단성
4. 비트겐슈타인과 일상언어
a.그림으로서의 언어
b.언어의 용도의미
c.언어의 한계와 신비
마무리│철학의 종말
주요 참고도서 목록
사항색인
인명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철학적 앎은 대상에 대한 인식도 아니요 언어의 의미에 대한 논리적 밝힘만도 아니다. 그것은 대상과 그것을 두고 얘기하는 언어와의 관계, 즉 존재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앎이다. 우리는 이러한 철학적 앎을 인식이나 분석이라기보다 해명으로 부르는 것이 마땅할 것 같다.-p96 중에서
철학이 순전히 언어의 문제, 언어의 개념을 밝히는 학문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물론 분석철학 전반에 대해서 과연 그러한 철학관이 만족스러운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극도로 부분적인 개념이나 문제를 총괄적인 문제와의 관계를 별로 염두에 두지 않고 단편적 문제를 현미경적으로 다루고 있는 오늘날의 분석철학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의문이 생긴다.-p24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