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8900733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3-10-15
책 소개
목차
상권
들어가며: 유럽_과거를 담은 현재
머리글: 유럽 통합의 꿈과 현실
유럽의 문화사를 쓰는 문제에 관하여
몇몇 개념에 관하여
이 책의 구조와 활용에 관하여
감사의 말
제1부 새로운 생존 방식
1장 '유럽' 이전: 농경과 정착의 사회로
아프리카와 지중해 동부에서의 발원 혹은 유럽 문화의 비유럽적 기원
농경, 신전, 국가의 출현
침략, 정복, 변화: 첫번째 물결
[기원전 17세기의 바빌론: 함무라비 법전]
유럽의 시작: 마지막 빙하시대 이후
침략, 정복, 변화: 두 번째 물결
'변방' 문화로서의 이스라엘의 종교 및 국가 형성
'변방' 문화로서의 페니키아의 무역과 문자
'변방' 문화로서의 그리스의 민주정치와 그 한계
'병방' 문화로서의 유럽의 켈트족 사회
'유럽의 탄생'과 그리스의 '세계관': 자신의 문화를 정의하는 법
알렉산더 대왕의 세계
2장 로마와 그 제국: 문화적 통합의 효과와 한계
알프스 산맥과 지중해 사이, 에트루리아와 그리스 세계 사이: 초기 로마의 팽창
미공식 제국으로부터 공식적 제국으로
[2세기경의 로마: 법률체계 및 법적 사회 - 로마의 기여]
로마의 문화
로마제국과 그 너머의 세계
3장 잃어버린 제국과 이룩한 제국: 기독교와 로마제국
유태인 세계의 발전: 기독교의 기원
유태인/이방인에서 크리스천으로: 나사렛 예수와 그 제자들의 역할
로마제국의 종교들
'구제불능 불법자들'의 종파
[기원후 180년의 카르타고: 기독교에 대한 찬반논쟁]
로마적이면서도 기독교적인 제국을 향하여
4,5세기의 로마와 그 인근 지역: 정치적 제국의 분열과 상실 - 문화적 제국의 생존
제국과 언어
제2부 새로운 형태의 신앙
4장 하나의 종교로
기독교적 세계관: 기독교 및 유럽 문맥 속에서 고전 문화의 존속
[5547년 시나이 산: 코스마스가 기독교 우주구조론을 설명하다]
만인을 위한 하나의 종교: 기독교와 유럽의 융합
새 제국의 발흥: 프랑크 방식의 통치술과 기독교 논쟁들
문화와 응집: 카롤링거 왕조 시대 혹은 '최초의 르네상스'를 형성한 이념과 교육의 역할
수도원의 영향
5장 지중해 주변의 세 세계: 서부 및 동부 기독교 왕국과 이슬람
6세기 이후의 대결과 접촉
예언자의 세계: 이슬람
사람들 가운데 있는 신의 왕국: 정교회의 세계
지구의 먼 한쪽 구석: 로마 기독교 세계
십자군: 서부 기독교 세계와 대립하는 이슬람 및 동부 기독교 세계
[1095년 11월 26일 클레르몽에서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십자군을 요청하다]
6장 하나의 세계, 다양한 전통들: 엘리트 문화와 대중 문화 - 범세계적 표준과 지역적 변형
유럽의 '봉건적' 정치체제
교회와 초기 국가
경제 및 기술의 변화와 초기 국가
강해진 국가 - 강해진 통치자?
도시와 초기 국가
하나의 기독교 세계인가, 기독교 국가들의 세계인가?
엘리트 문화와 대중 문화: 범세계적 규범과 지역적 변형
[1378년 런던: 제프리 초서가 자신의 세계를 묘사하다]
대학의 중요성
막간 1400-1800년경의 유럽의 세계들
촌락들의 세계
도시들의 세계
촌락과 도시는 전혀 다른 세계인가?
도판목록
인명색인
하권
제3부 새로운 인간관 및 세계관
7장 새로운 사회: 변화하는 유럽의 인간관
고전 문화의 부활과 휴머니즘의 태동
비잔티움을 잃고 유럽을 얻다: 이탈리아 휴머니즘의 전개
휴머니즘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로
[1538년 로마: 이탈리아의 예술에 관한 미켈란젤로의 대화]
휴머니즘과 르네상스: 이탈리아와 그 너머
8장 새로운 사회: 더 확대된 유럽의 세계
경제 및 과학기술의 변화와 '근대' 국가의 확고한 성립
필사본에서 타자본으로
화약과 나침반
[1625년 헤이그: '국제법'에 대한 후고 그로티우스의 설명]
교회와 국가: 종교적 단일성의 붕괴
인쇄술, 독서, 학교: 대중을 위한 교육인가?
단일성과 다양성: 문화혁명으로서의 인쇄술
유럽과 변경: 민족의식과 문화적 자긱인식
9장 새로운 사회; 15세기 이후의 유럽과 더 확대된 세계
'오래된' 세계와 '더 오래된' 세계
'구' 세계와 '신' 세계
'콜럼버스의 교환'
[16세기 초 유럽: 아메리카 정복과 그 결과에 대한 견해]
유럽의 거울에 비친 아메리카의 이미지
영토확장이 미친 여타의 문화적 결과
10장 새로운 사회: 이주, 여행, 유럽의 문화보급과 통합
이주, 여행, 문화
타의적 여행: 이주의 문화적 의의
세 가지 형태의 문화적 여행
- 사업상의 여행: 상인과 은행가
- 외교상의 여행: 대사와 정치가
- 교육적 여행: 학생, 학자, 예술가
[1644-5년 로마의 겨울: 존 이블린이 영원한 도시를 방문하다]
여행의 실상
여행의 유용성
세계주의의 발전과 문화적 통합 요소로서의 여행
11장 새로운 사회: 지식인 공화국 - 분열된 세계에 대항하는 고매한 가상 세계
지식인 공화국: 조화에 대한 탐색
지식인 사회와 종교적 관용의 이상: 이론과 실제
[1580년 보르도 근처의 몽테뉴 성: 몽테뉴의 유럽과 '타자'에 대한 명상]
지식인 사회와 적: 국가의 문화정책 혹은 문화의 정치적 이용
지식인 사회 혹은 가상 세계의 의사소통
지식인 사회와 정신의 '내적 소통': 세 가지 예
12장 새로운 사회: 휴머니즘에서 계몽주의로
'이성'과 '계시' 사이의 휴머니즘과 경험주의
과학적 경험주의에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비전으로
[17세기 초 유럽: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견해]
휴머니즘에서 계몽주의에 이르기까지: 긴 여명
계몽주의와 낭만주의는 상반된 개념인가?
제4부 새로운 형태의 소비와 통신
13장 유럽의 혁명들: 자유와 소비는 만인을 위한 것인가?
물질 문화와 과시적 소비: 18세기 말까지의 소비자 변화과정
생산과 재생산: 18세기 말까지의 경제·인구 변화
사회·문화적 변화과정: 18세기 말까지의 엘리트 형성
두 개의 '혁명': 문화혁명으로서의 정치적 혁명과 경제적 혁명
[파리, 1789년 8월 27일: '인권선언'의 문화적 중요성]
도시·산업 문화: 시간의 규제와 소비
14장 진보와 그에 대한 불만: 민족주의, 경제성장, 그리고 문화적 확신의 문제
혁명과 그 여파
민족주의의 요소들: 19세기의 정치 문화
새로운 엘리트, 새로운 문화보급의 메커니즘, 새로운 문화의 출현
[바젤, 19세기 중반: 야콥 부르크하르트, 당대 문화를 비판하다]
돈과 시간, 상품과 여가: 소비 문화를 향하여
15장 유럽과 다른 세계
유럽과 팽창하는 유럽 세계
유럽과 라틴아메리카는 단절된 관계인가?
'구' 세계와 '신' 세계: 자유의 환상으로서의 북아메리카
자본주의와 소비주의: 자유냐 노예냐, 진보냐 퇴폐냐
[뉴욕, 1909년: 허버트 크롤리, '미국식 생활의 약속'을 해석하다]
유럽과 '아메리카': 문화적 공생 또는 '서양'의 성장
'어둠의 속'으로: 유럽과 아프리카
'구' 세계(old world)와 '고' 세계(older world)
16장 '서양의 몰락' - 꿈의 상실: 19세기에서 20세기까지
과학: 실증주의와 증가하는 상대주의
[베를린, 1877년: 하인리히 슈테판은 독일 최초의 전화 서비스를 축하하다]
도피하는 유럽, 살아남는 유럽
세기말의 의식: 비관주의와 낙관주의
양차 대전 사이의 세계
17장 새로운 유럽을 향하여
과학, 문화, 사회
2차 세계대전 이후: 해체와 재건
시간 대 돈의 문화
'가장'에서 '월급쟁이'로 - 집단적 정체성에서 개인적 정체성으로
정체성의 차원들 - 통신으로서의 문화: '익명의 대중사회'를 향하여
[1960년대 이후의 유럽, 대중음악 - 고급 문화?]
나오며: 유럽 - 현재와 미래
도판목록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