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세의 기술과 사회변화 (등자와 쟁기가 바꾼 유럽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중세사
· ISBN : 978898904721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5-12-3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중세사
· ISBN : 978898904721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5-12-30
책 소개
최근 몇 십 년 동안 중세사 연구자들이 거둔 중요한 연구 성과는 서양 중세의 역동성을 발견한 것이다. 그렇다면 그 변화를 이끌었던 것은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 린 화이트는 '등자, 쟁기, 물레방아와 시계'를 이러한 변화의 주인공으로 지목한다.
목차
옮긴이의 말
머리말
제1장 등자, 기마 충격전, 봉건제, 기사
1. 봉건제의 기원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그 비판
2. 등자의 기원과 전파
3. 기마 충격전과 봉건적 생활의 성격
제2장 중세 초기의 농업 혁명
1. 쟁기와 장원 제도
2. 말의 이용
3. 삼포 윤작제와 영양의 개선
4. 유럽 중심의 북방 이동
제3장 기계 동력과 장치에 대한 중세의 탐구
1. 동력원
2. 기계 설계의 발전
3. 동력 기술의 개념
주
찾아보기
책속에서
등자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기수의 자리가 불안정했다. 재갈과 박차는 기수가 말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등자가 없는 단순한 안장으로도 기사의 자리가 상대적으로 안정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전투에서는 제약이 많았다.
등자가 없는 시대의 기수는 주로 기동력 있는 사수 또는 투창병이었다. 말을 타고 칼을 휘두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등자 없이 기수가 적에게 칼을 힘껏 휘두르면 낙마했기 때문"이다. 등자가 발명되기 전에는 창을 크게 휘두를 수 없었고, 어깨와 이두박근의 힘으로만 충격을 가해야 했다.
등자는 훨씬 효과적인 전투를 가능하게 했다. 이제 기수는 창을 겨드랑이에 끼워서 적에게 돌진하며, 팔의 힘이 아니라 자신과 돌진하는 말의 체중을 함께 실어서 상대방에게 타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 - 본문 17쪽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