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중세사
· ISBN : 9791128868283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목차
제1부 이슬람 침입 이전의 유럽
제1장 게르만족 침입 후 서유럽 세계에서 지중해 문명의 존속
1. 게르만족 침입 이전의 ‘로마 세계’
2. 게르만족 침입
3. ‘로마 세계’의 게르만족
4. 서방의 게르만족 국가들
5. 유스티니아누스(527∼585)
제2장 게르만족 침입 후 사회경제적 상황과 지중해 항해
1. 인신과 토지
2. 동방 세계와의 교류. 시리아인과 유대인
3. 내륙 상업
4. 화폐 및 화폐유통
제3장 게르만족 침입 후 지적 생활
1. 고대의 전통
2. 교회
3. 예술
4. 사회의 세속적 성격
결론
제2부 이슬람과 카롤링거 왕조
제1장 지중해에서 이슬람의 팽창
1. 이슬람의 침공
2. 서지중해의 폐쇄
3. 베네치아와 비잔티움
제2장 카롤링거가(家)의 쿠데타와 교황권의 방향 전환
1. 메로빙거 왕조의 쇠퇴
2. 카롤링거 궁재(宮宰)들
3. 이탈리아, 교황, 비잔티움. 교황권의 방향 전환
4. 새로운 제국
제3장 중세의 개막
1. 사회경제적 조직
2. 정치조직
3. 지적 문명
결론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1.
로마 제국의 가장 현저하고 근본적인 특징은 지중해적 성격이다. 로마 제국의 동부는 그리스적이고 서부는 라틴적이었지만, 로마 제국 전체는 공통적으로 지중해적 성격을 띠었고, 그럼으로써 통일성을 유지했다. 로마인들이 ‘우리들의 바다’라고 부른 그 내해(內海)는 사상·종교·상품의 통로였다.
2.
게르만족보다 그 수가 많지 않았던 아랍인들이 게르만족과는 달리 정복한 문명 선진국의 주민들에 동화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오직 한 가지다. 게르만족은 로마 제국의 기독교에 반대할 그 어떤 것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아랍인들은 새로운 종교에 의해 고무되었다. 그들의 동화를 막은 것은 바로 이것이며, 이것뿐이었다. 왜냐하면 종교 이외의 다른 분야들에서 아랍인들은 피정복민의 문명에 대해 게르만족과 마찬가지로 편견을 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들은 놀랄 정도로 신속하게 그런 문명에 자신들을 동화시켰다.
3.
그 어떤 것도 수 세기 동안 유지되었던 고대와 지중해 질서의 대변동을 샤를마뉴 제국의 탄생보다 더 명확하게 드러내 주지는 않는다. 이 제국의 탄생은, 한편으로는 동방과 서방의 분리로 교황의 권위가 서유럽에 한정되었다는 사실에, 다른 한편으로는 이슬람의 에스파냐와 아프리카 정복으로 프랑크인의 왕이 기독교적인 서방의 지배자가 되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마호메트가 없는 샤를마뉴는 상상할 수도 없다고 말하는 것은 엄연한 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