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8898920563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4-02-20
책 소개
목차
1장 들어가며
2장 개념의 조작 : 이론적 검토
1. 사회주의 개혁·개방론 검토
2. 두 가지 개념과 하나의 분석틀
3장 체제내 개혁 : 위기의 정체에서 건설의 정치로
1. 체제내 개혁의 1단계 : 위기와 대응
1) 경제 위기와 정치적 과도기
'사회주의 붕괴와 계획의 실패'
'정치적 과도기 : 붉은기 사상'
2) 경제정책을 둘러싼 내부 논쟁 : 주체노선의 승리
3) 사회적 이완 현상의 확대와 부분적 개혁정책의 요구
2. 체제내 개혁의 2단계 : 개혁과 주체의 이중전략
1) 국가 체제의 정비
2) '개건'과 '개선' : 북한식 개혁 담론
3) 선군저치와 천리마 운동 : 주체노선의 고수
4) 강성대국론 : 김정일 시대의 '우리식 사회주의'
4장 체제의 개혁 : 자본주의와의 동거
1. 자본주의 국가로의 확대 전략
1) 북한 외교전략의 변화 : 전방위 외교전략
2) 미국을 고립시키기 : 북한의 돌파작전
3) 신 북방 삼각동맹 체제의 건설 : 냉전형 대립구도의 파괴
[보론] 미국의 경제봉쇄와 북한의 대응 - 과제
2. 경제관리개선조치와 개방 특구 정책 : 강제된 선택으로서 '이중전략'
1) 배경과 목적
'개건과 개선의 한계'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 내용과 목적'
2) 분배적 효율성의 추구 : 현물배급체제에서 화폐배급체제로
'부분적 시장화'
'분권화와 자율성 강화'
'물자배급체제에서 화페배급체제로'
3) 개방 특구의 설치 : 자본주의와의 동거
'대외 개방의 준비 - 법과 제도의 정비'
'자본주의와의 동거 - 4각벨트의 개방'
3. '실리 사회주의' : 개혁 체제의 이데올로기
1) 자력갱생 개념의 변화
2) 실리 사회주의 : 주체와 실리의 결합
5장 북한 개혁·개방 전략의 특징과 이론적 의의 : 전망과 과제
1. 이중전략의 특징과 전망
2. 몇 가지 제안
참고문헌
자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