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89449744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제I장_ 통일에 대한 논의
1. 통일의 당위성
2. 통일에 대한 찬반 이유
제Ⅱ장_ 남북한의 통일정책 비교
1. 북한의 통일정책
1) 연방제통일방안
2) 북한의 통일정책 변화
2. 남한의 통일정책
1) 민족공동체통일방안
2)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
3. 통일 환경과 정책의 비교
제Ⅲ장_ 남북한의 주변 4강 외교정책
1. 동아시아의 국제정세
1) 북한 핵과 주변 4강
2) 동아시아 지역 위협과 중국의 굴기
3) 미국의 중국 포위전략
4) 코로나19와 제조업 자국주의
2. 북한의 외교정책
1) 중국 외교
2) 미국 외교
3) 러시아 외교
4) 일본 외교
3. 남한의 외교정책
1) 미국 외교
2) 중국 외교
3) 일본 외교
4) 러시아 외교
제IV장_ 분단국가들의 통일 사례 연구
1. 독일
1) 얄타회담과 포츠담회담
2) 서독의 동방정책
3) 라이프치히 월요시위
4)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통일과정
5) 통일의 견인차
6) 통독의 명암과 위상변화
2. 베트남
1) 남 · 북베트남 분단과 전쟁
2) 독립전쟁의 영웅들
3. 예멘
1) 분단 과정과 두 개의 예멘
2) 합의통일과정
3) 미완의 통일
4. 대만 문제
1) 대만의 역사
2) 분단의 계기
3) 통일 이슈
5. 분단국가들의 통일 교훈과 한국의 통일
제V장_ 한국의 선진화 통일전략
1. 통일에 대한 비전과 역량 구축
2. 국론통일과 통일 운동
3. 적극적 외교활동
4. 통일교육
5. 남북 교류협력
6. 선진화 통일추진기구의 설치
제Ⅵ장_ 통일 시나리오
1. 북한의 위협론과 붕괴론
2.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맺는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나 세계 11위의 경제대국이 되었고 선진국의 문턱에 와 있다. 이제 우리는 분단국가라는 오명을 떨치고 통일한국의 기치를 높이 들어야 할 시점을 맞고 있다. 다시는 스스로 비하하거나 패배주의의 늪에 빠져서는 안 된다. 민족의 역량을 결집한다면 큰 혼란 없이 능히 통일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 한민족의 통일은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 민족의 의지와 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튼튼한 국방, 견실한 경제, 그리고 통일을 염원하는 민족정기의 기치를 드높여야 한다. 이 책은 통일을 연구하고 고민하는 학도는 물론, 민족의 항구적인 평화와 번영을 염원하는 국민의 지침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이 한민족 선진화 통일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데 미력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더없는 영광이 될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