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89721475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05-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약어표
들어가며
제1장 꾸란에서 이해된 그리스도교: 만남 - 오해 - 대결
1. 무함마드의 신학적 전제: 신적 계시의 일치
2. 자신의 부각을 통한 유다인 및 그리스도인들로부터의 분리
3. 무함마드와 그리스도인들
4. 비이슬람 소수인들, 특히 이슬람 국가에 사는 그리스도인의 법적 지위
1) 피보호민의 의무
2) 피보호민의 권리
3) 피보호민의 배제
제2장 북아프리카에서 스페인으로: 이슬람의 전진
1. 분열된 그리스도교
2. 이슬람의 북아프리카 침입과 그리스도교의 몰락
제3장 이슬람의 침입에 대한 서구의 첫 번째 반응
1. 무지와 논쟁
2. 군사행동: 십자군과 재정복
1) 예루살렘으로 향한 십자군
2) 스페인의 재정복
제4장 페트루스 베네라빌리스: 최초의 라틴어역 꾸란의 발안자
보론: 꾸란의 자기 이해와 주장
1. 최초의 라틴어역 꾸란의 형성사
1) 페트루스 베네라빌리스의 긴급대책
2) 꾸란의 라틴어역 프로젝트
2. 케톤의 로베르투스에 의한 꾸란 번역
1) 형식상의 침해
2) 내용적인 결함
3) 첫 라틴어역 꾸란의 가치, 그리고 중세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상호이해를 위한 기여
제5장 이슬람과 프란치스코회.도미니코회의 대결
1.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와 그의 발의
2. 토마스 아퀴나스: <신앙의 근거들>
1) <신앙의 근거들>의 집필 시기
2) <이교도 논박 대전>과의 친근성
3) 방법론적 고찰
4) 무슬림의 이의제기에 대한 응답
5) <신앙의 근거들>의 영향사
6) <신앙의 근거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3. 몬테 크루치스의 리콜두스: 꾸란 논박
보론 1: 페냐포르트의 라이문두스
보론 2: 트리폴리의 길렐무스 - 십자군 파병국을 위해 활약한 외교관
보론 3: 라이문두스 마르티
1) <사라센인의 법에 대한 논박>
2) 결론: 논쟁적이고 변증적인 저작
4. 라이문두스 룰루스: 대화에서 논쟁으로
1) 일치에 대한 갈망
2) 그리스도인과 무슬림의 '대화를 위한 해석학': 기반으로서의 이성
3) 평화적인 대화에서 전투적인 논쟁으로
4) 신앙의 강요와 신앙의 자유 사이에서
제6장 쿠자누스와 루터의 꾸란 이해 및 비판
1. 쿠자누스: <꾸란의 감별>
1) 변증론적 저작으로서의 <꾸란의 감별>
2) 논쟁적인 문서로서의 <꾸란의 감별>
3) <꾸란의 감별>의 문헌적 원천
4)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꾸란 해석
5) 그리스도교적 삼위일체 신 개념으로의 인도
6) 신앙에 관한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무슬림과의 대화 가능성과 한계
2. 마르틴 루터의 이슬람 이해
1) "지금 투르크인들이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오기 때문에..." ― 오스만투르크의 위협에 대한 두려움
2) 정치적 권력으로서의 이슬람에 대한 루터의 신학적 반론
3) 종교적 권력으로서의 이슬람에 대한 루터의 신학적 반론
4) 이슬람과의 신학적 대결에서 결정적으로 그리스도교적인 것
5) 이슬람에 대한 루터의 관심: 회고
6) 요약
제7장 계몽의 시대
1. 이성의 극대화와 인간성이라는 기준
보론: '만족스럽지 못한 계몽'
2. 하드리안 레란트: <무함마드의 종교에 대하여>
3. 레싱: <현자 나탄>
4. 종교이해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제8장 '식민주의의 그늘에 가린 선교'
제9장 이슬람에 관한 역사적.비판적 연구의 시작
제10장 접근과 분리 사이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영역
옮긴이의 말
원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슬람과 그리스도교의 관계로 말하자면, 16세기 근대로의 과도기에 이 양자의 관계는 그야말로 치열한 대결의 과정으로 점철되었다. 그 원인은 한편으로 오스만 제국의 팽창정책으로 서유럽이 위협을 받았다는 데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두 종교 사이에 구체적인 의견교환이 결여되었다는 데 있었다. '투르크의 위협'이라는 말은 무슬림에 대해 당시 그리스도인들이 갖고 있던 편견에 가득 찬 감정적 이미지와 함께, 그 경험과 인식의 수준을 여실히 표현해 준다. - 본문 189~19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