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외국에세이
· ISBN : 9788989824398
· 쪽수 : 1116쪽
· 출판일 : 2006-08-16
책 소개
목차
제1장
출생 / 집 / 정원 풍경과 자연에 대한 어린이적 감정 / 아버지의 수집물들 / 집의 개축 / 고향 도시 프랑크푸르트 / 시청사와 역사 / 프랑크푸르트 연시 / 악사재판 / 시골축제 / 아버지의 서고 / 프랑크푸르트의 화가들 / 리스본의 지진 / 첫 수업 / 소년기의 시와 첫 자기비판 / 읽을거리들 / 천연두 / 할아버지의 정원과 그의 예언능력 / 이모들 / 종교적 각성
제2장
7년 전쟁 / 인형극 / 동화 들려주기 / <신 파리스> / 거친 아이들 / 소년기에 대한 성찰 / 아버지의 사회적 입장 / 프랑크푸르트의 친지들과 수집가들 / 클롭슈토크의 <메시아>에 대한 논쟁
제3장
프랑스군의 숙영과 토랑 백작 / 아버지의 우울증 / 프랑스 숙영군들 사이에서의 아이들의 생활 / 토랑 백작과 화가들 / 소년 괴테와 화가들 / 프랑스 연극 / 드로느와 누이동생 / 베르겐 전투 / 아버지의 토랑 백작 모욕 / 토랑 백작과 통역관의 대화 / 프랑스 양식의 드라마 시도 / 토랑 백작이 입수한 그림들 / 토랑 백작의 철수
제4장
그림 수업 / 음악 수업 / 자연과학에 대한 최초의 관심 / 아버지의 누에치기 / 동판화 표백작업 / 영어 수업 / 6개 언어로 된 소설 / 알브레히트 교장에게서의 헤브라이어 수업 / 성서 비판 / 구약성서의 족장의 세계 / 자연적이며 개방적인 종교 / 요셉의 이야기 / 청소년기의 시 / 설교 받아 적기 / 법률학과의 첫 접촉 / 검술과 승마 수업 / 프랑크푸르트 청년들과의 교제 / 직공 및 보석공들과의 관계 / 예술에 대하 통찰과 직물공장 / 정원 돌보기와 포도주 만들기 / 프랑크푸르트 인사들과 그들의 영향ㅡ폰 올렌슐라거 / 폰 라이네크 / 휘스겐 / 문학적 명성에의 기대
제5장
필라데스와 그의 친구들 / 부탁받은 연애시 / 그레첸 / 부탁받은 경조사시 / 그레첸 및 새로운 친구들과의 잦은 만남 / 새 친구에 대한 옹호 / 장신구점에서의 그레첸 / 임박한 로마 왕 선출 / 프랑크푸르트에 모인 독일 사절들 그레첸과의 대화 / 요제프 2세 로마 왕에 선출 / 황제의 프랑크푸르트 입성 / 그레첸 집에서의 밤 / 대관식 날 / 대관식 행사들 / 대관식의 민중축제들 / 밤의 조명과 그레첸과의 시내 산책 / 범행과 심문 / 절망과 근심 / 고립과 마음의 병
제6장
가정교사 / 그레첸과의 내적인 결별 / 철학의 역사 / 숲속에서 자연과의 대화 / 세계를 파악하는 눈과 자연 그리기 / 가족의 상황 / 여동생 코르넬리아 / 제비뽑아 애인 정하기 놀이 / 호른 / 라틴어 독본 / 프랑크푸르트를 떠나고픈 욕망 / 라이프치히 행 / 라이프치히의 모습 / 법학을 공부할 것인가, 문학을 공부할 것인가 / 대학에서의 수업 / 라이프치히 식 옷차림 / 라이프치히 식 언어 / 문학 전공을 말리는 교수들 / 자여과학에 대한 흥미 / 예술가적 척도의 결여와 작품들의 소각
제7장
18세기 독일문학과 풍자 / 문학이론 / 귄터 / 셴코프 집에서의 슐로서와의 만남 / 고트셰트 방문 / 식탁에서의 문학적 대화 / 빌란트 / 대중철학 / 자연종교 / 성서 비판 / 교훈적 산문 / 문학과 공공적 정치적 삶과의 관계 / 리이프치히에서의 서정시 창작과 엔헨과의 사랑 / <사랑에 빠진 자의 기분> / <공범자> / 신교의 문제점 / 가톨릭의 성례행사 / 종교적 삶의 회상 / 표본이 되지 못한 겔러트와 프리드리히 대왕 / 베리시 / 풍자적인 경조사시 / 삶의 체험의 문제
제8장
외저와 그의 그림 수업 / 레싱의 <라오콘> / 철학적인 구두공 / 드레스덴 화랑 / 예술가의 눈으로 보는 자연 / 브라이트코프 / 슈토크에게서의 동판화 교습 / 라이프치히의 동료들(헤르만, 그뢰닝, 호른) / 랑거의 종교적 영향 / 프랑크푸르트로의 귀향 / 긴장 속의 가족 / 클레텐베르크 부인 / 연금술적-범지학적 서적들 / 화학실험 / 라이프치히 생활의 회상 / 동판화 제작 / 아르놀트의 <교회와 이단의 역사> / 종교적인 세계신화
제9장
삶을 통해 배우려는 소망 / 아버지와의 긴장관계 / 스트라스부르 대성당의 모습 / 점심식탁 친구들 /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의 학업 / 라파엘 기법의 벽장식화 / 마리 앙투아네트의 통과여행 / 잘츠만 / 스트라스부르 시민들의 사교 / 융(슈틸링) / 레르제 / 두려움을 이겨내려는 자기훈련 / 스트라스부르의 상황 / 변덕스런 루이의 기사 / 스트라스부르 대성당 / 무도수업 / 무도선생의 딸들 / 루신데의 질투와 저주
제10장
근대 독일 작가들의 본질과 영향, 클롭슈토크 / 글라임 / 헤르더와의 만남과 그 영향 / 감사와 배은에 대한 성찰 / <괴츠>와 <파우스트> 창작 시작 / 차베른과 자르브뤼켄으로의 여행 / 광산과 공업 / 고대의 폐허지 / <웨이크필드의 목사> / 목사와 그의 가족, 프리데리케 / 변장 / <신 멜루지네>
제11장
밤에 말을 타고 제젠하임으로 달려감 / 시골의 축제 / 근심과 후회 / 프리데리케와의 소풍 / 스트라스부르에서의 프리데리케 / 학위논문 준비 / 학위논문 토론 / 셰플린 / 프랑스어 / 프랑스문학 / 프랑스 연극 / 프랑스 계몽주의 철학 / 셰익스피어 / 렌츠 / 상부 알자스로의 여행 / 프리데리케와의 관계의 위기 / 만하임 고대미술관
제12장
하프연주 소년과의 귀향, 슐로서 형제 / 메르크와 다름슈타트의 모임 / 논문 '독일 건축술에 대하여' / 전체와 부분으로서의 성서 / 성서의 두 가지 의문 / 하만 / 작가와 출판인들, 클롭슈토크의 <학자공화국> / 프리데리케와의 결별과 참담한 후회의 시기 / 방랑과 스케이트 타기 / 베츨라르의 제국고등법원 / '기사의 식탁' 놀이 / 문학의 사회적 국민적 조류 / 에다와 호메로스 / 신랑(케스트너)과 로테 / 예술살렘 / 기센의 회프너 교수 방문 / 「프랑크푸르트 학예보」 / 슐로서와 코르넬리아의 약혼 / 베츨라르를 떠남
제13장
란 강 여행 / 라 로슈 가족 / 풍경 그리기와 예술적 자연관찰 / 변호사 실습 / 1770년대 시민적 드라마와 독일의 연극무대 / <괴츠 폰 베를리힝겐>의 성립, 개작과 영향 / 베르테르적 정서 / 삶의 고통을 노래한 영국문학 / 자살에 대한 성찰 / 예루살렘의 죽음 / <베르테르>의 성립 / <베르테르>의 영향 / 유스투스 뫼저
제14장
질풍노도 집단과 렌츠 / 바그너 / 클링거 / 라바터 / 지식과 신앙 / 바제도 / 엠스로의 여행 / 라인 강 여행 / 야코비 형제 / 쾰른 대성당과 야바하의 집 / 스피노자의 <윤리학> / 뒤셀도르프와 엘버펠트 / 무조건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 드라마 <마호메트>의 구상
제15장
형제교단에의 접근 / 신교 죄 이론과의 대립 / 영원한 유대인들 / 프로메테우스 드라마 / 크네벨의 방문과 카를 아우구스트와의 만남 / 궁정근무에 대한 찬반 / 바이마르와의 관계에 찬성하는 클레텐베르크 양 / <신과 영웅과 빌란트> / 클레텐베르크 부인의 죽음과 바그너의 <프로메테우스와 그의 비평가들> / 프랑킆르트의 클롭슈토크 / 치머만과 그의 딸들 / 직업에 대한 모호한 구상 / 제비뽑아 애인 정하기 놀이에서의 파트너 / <클라비고> / 이탈리아 여행 계획과 결혼 생각
제16장
스피노자와 그의 영향 / 창작적 재능 / 저작관 침해자 / 유대인 골목 화재진압 작업 / 어머니의 외투를 입고 스케이트 타기 / 릴리와의 첫 만남 / 융(슈틸링)의 프랑크푸르트 도착, 실패한 안과수술, 융의 종교 및 도덕관
제17장
릴리와 교제집단 / 오펜바흐의 봄 / 아버지 및 서기와의 법률업무 / 생일기념 희곡 <그녀는 오지 않는다> / 밤하늘 아래의 자유 / 약혼을 주선한 델프 부인 / 직업과 가정상황을 고려한 미래 구상 / 독일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 / 후텐이 피르크하이머에게 보낸 정신의 고상함에 대한 편지 /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적 상황
제18장
운율과 리듬, 크니텔 시 / <한스부르스트의 결혼식> / 슈톨베르크 백작 형제의 방문 / 슈톨베르크 백작 형제와의 스위스 여행 / 카를스루에로의 여행과 바이마르의 카를 아우구스트 공작과의 재회 / 에멘딩겐의 여동생 코르넬리아 방문 / 릴리와의 결별을 촉구하는 코르넬리아 / 취리히의 라바터 방문과 그의 <인상학> / 보드머 방문 / 취리히 호수와 릴리 생각 / 마리아 아인지델른 교회 방문 / 리기 등반 / 우르제른 계곡
제19장
성 고트하르트 순례자수도원 / 릴리 생각 / 슈톨베르크 형제의 노친 / 욕에 대한 스위스인들의 분노 / 라바터 / 천재와 천재적 행동 / 슈톨베르크 백작 형제에 대한 라바터의 인상학적 묘사 / 릴리와의 재회와 고통스런 상황 / <에그몬트> 작업
제20장
화가 게오르크 멜히오르 크라우스의 방문 / 초자연적 요소 / 에그몬트 백작 / 프랑크푸르트를 떠나기로 결심 / 바이마르 공작 부부와의 재회 / 바이마르 행 마차를 기다리며 <에그몬트> 작업 / 이탈리아 여행 계획 / 하이델베르크에서
책속에서
내 마음은 사랑을 했지만 그 대상은 떨어져 나갔고, 삶을 살았지만 그 삶은 내게 고통이 되었다. 한 친구가 여러분들을 교육시키려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인다면 결코 즐거운 감정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 여자가 여러분들과 즐겁게 놀려는 것처럼 보이면서 여러분들을 교육시킨다면 그녀는 마치 기쁨을 가져오는 성스런 천사처럼 숭배 받을 것이다. 그러나 내게서 아름다움의 개념을 불러일으켰던 그 모습은 멀리 사라져 버렸다. 그 모습은 참나무 그늘 아래에 있는 나를 자주 찾아왔지만 나는 그것을 붙잡아둘 수 없었다. 나는 그것과 비슷한 어떤 것을 넓은 세상에서 찾아보려는 강한 충동을 느꼈다. - 본문 363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