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89988441
· 쪽수 : 285쪽
· 출판일 : 2007-08-3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일본의 해외 식민 정책과 농업 이민
1. 또 하나의 침략 전략, 농업 이민
2. 한국 지배 완성을 위한 국책 이민
(1) 식민 정책의 배경
2) 한국 강점 이전의 농업 이민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기간지 이민 사업
(1) 동척 이민론
(2) 이민 사업의 전개
4. 불이흥업주식회사의 미간지 이민 사업
(1) 집단 농업 이민론
(2) 이민 사업의 전개
5. 소작쟁의와 이민 반대 투쟁
6. 이민 사업 실패와 한국 농촌 사회 구조 왜곡
제2장 후지이 간타로의 호남 지역 진출과 농장 경영
1. 상업 자본가, 후지이 간타로
2. 한국 진출과 상업 활동
(1) 오사카의 미곡상
(2) 상업 활동
3. 토지 매수와 농장 설립
(1) 토지 시찰
(2) 전북농장 설립
4. 임익수리조합 사업
5. 소작제 농장 경영
6. 실업가의 임무 실현
제3장 마스토미 야스자에몽의 농장 경영과 한국 인식
1. 한국의 은인인가?
2. 토지 매수 출장소 설치 및 소작제 농장 경영
3. 복음 전도자로의 위장
4. 조선총독부 방침의 식민지 교육
5. 식민지 지주로서의 농장 경영
6. 국민훈장의 허구성
제4장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수탈과 궁삼면
1. 토지 소유권 분쟁
2.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수탈
(1) 궁삼면의 토지와 농민
(2) 경저리의 토지 수탈
(3) 경선궁장토
(4) 임시제실유및국유재산조사국과 궁삼면
(5) 동척의 토지 매수
(6) 동척의 토지 소유권 획득
3.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경영
(1) 동척의 궁삼면 토지 경영
(2) 3?1운동과 토지회수운동
(3) 궁삼면 농민회와 토지회수운동동맹
(4) 토지회수운동의 전개
(5) 토지 문제의 일시적 '해소'
제5장 도쿠다양행의 토지 수탈과 하의도
1. 토지회수운동의 배경
2. 궁방의 민유지 약탈과 농민의 저항
3. 우콘 곤자에몽의 토지 매수와 '화해 조서'
4. 도쿠다 양행의 토지 매수와 유상구입운동
5. 하의도 농민조합과 토지회수운동
6. 하의도 농민운동의 의의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척의 이민 사업은 기간지에 농업 이민을 정착시킴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위한 인적 기반을 확보하는 한편, 일본식 농법을 식민지에 보급시켜 농업 생산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일본 국내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하려는 '기간지 이민'이었다. 하지만 동척의 '기간지 이민'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실패의 원인으로 최초 입안 단계부터의 무리한 이민 계획 수립과 이민 수용지의 부족 등의 요인도 들 수 있으나, 무엇보다도 이민 수용지의 확보 과정에서 비옥한 국유지와 기간지를 강제 수용하는 과정에서 소작권을 빼앗긴 한국 농민의 격렬한 이민 반대 투쟁에 직면했기 때문이다.-p40-41 중에서
일본의 조선 침략 이후 조선의 각 개항장에 진출한 일본인 상업 자본가는 소작제 농장 경영을 통한 고율의 토지 수익률을 확인하고, 미곡 반출로 상업 이윤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차츰 자기자본의 투자 대상으로서 토지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p22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