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90106292
· 쪽수 : 369쪽
· 출판일 : 2007-01-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순수성의 환상'에 거슬러
왜 썼는가?
평화 작업
이 글의 구성
문학 : 믿을 만한 적
1부 왜 장정일인가?
1장 장정일이 낸 길
- 치심과 두려움 : 도망 중
- 저주와 응시
- 일과 물맛 그리고 단잠
2장 '욕됨을 견디다(耐辱)' : 나, 문광훈의 경우
- 불혹(不惑)이라는 아집
- 예술: 자각된 맹목을 선택하다
3장 '타자 편의 정체성' : 이 책을 내면서
- 역사.꿈.읽기.파편 : 문제의식
- 쓰기와 읽기 그리고 다시 쓰기 l 자기 읽기로부터 삶의 읽기로 l '현실들'의 교차 l '새로운 장르'의 가능성(을 말해도 좋을까?) l 지배 저항적 서사 문화 l 부소의 문학적.문화적 의미 l 글의 목표는 삶의 재발견이자 재양식화밖의 시선 : 겨우 도달한 것
2부 역사 - 서사 - 권력 - 문화
4장 환멸 이후의 시도
- 텅빈 껍질의 노래
- 좌초한 천진성, 그 다음 l '거짓말 집필실'
- '비체계적 체계'의 방법
- 권력과 폭력의 배치 관계 l 에세이의 형식
5장 문학 : 비지배의 언어
- 가면의 망상
- 서사적 거리 l 폭력의 메커니즘과 자기 경계
- 정사正史에 대한 항소
- 역사 : '개죽음의 퍼레이드' l 역사와 이야기 l 대안 역사 또는 '역사의 역사'
- 문학 : 비대칭의 감수성
6장 서사 능력과 문화적 교양
- 고향 잃은 '위조지폐범'
- 상호 문화적 탈경계화
3부 변방의 고통과 기억
7장 '오, 둥글고, 부드럽고, 은은하고, 여린 것들이여!'
- '만리장성 밖으로'
- 중심의 미몽 l 붓과 춤
- 변방의 한 줌 소금
- 이 무도한 땅에서 다시∥삶과 꿈이 섞인 곳
8장 다른 사회와 사랑의 조합원
- 추악함을 줄이는 일
- 타자에의 참여와 시민성
보론 한국 사회에서 장정일 읽기
- 사회 갈등과 문학적 대응
- 열린 감성 : 민주주의의 내면적 근거
- 불평등 현실과 비판적 공론장∥규범적 논거의 필요와 미비 l 참여 : 감성의 상호주체적 갱신 l 작가 : 집단적 주체 l 문학적 물음의 정치 윤리성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