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90618160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6-01-31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동래온천을 가서
1부 한일 목욕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1. 조선의 목욕문화
입욕과 목욕
한증 - 또 하나의 목욕법
조선에 온 일본인의 한증 체험기
조선의 한증과 일본의 돌石욕탕
2. 입욕 풍습과 나체에 대한 가치관
에도의 붐비는 공중목욕탕
서구 사람들의 눈에 비친 혼욕풍습
농어산촌에서 사용한 임시 욕장
고대에서부터 발달한 온천지
온천 입욕법-에도시대의 아리마有馬온천 기행에서
혼욕 풍습을 둘러싼 일본의 나체에 대한 가치관
조선의 나체관에 대하여
한국인은 왜 앞을 가리지 않는가?
3. 바다를 건너간 일본의 ‘탕집’
부산의 ‘일본인 거류지’
거류지에 상륙한 ‘탕집’
조선인이 본 일본의 입욕 풍습
욕실 시설의 변화도 서구의 영향을 받다
일본식 공중목욕탕의 증가
입욕의 장려
공진共振하는 한일의 신체에 관한 가치관
욕장에서 일어난 민족차별
해방 후의 공중목욕탕
2부 동래온천 이야기
1. 동래온천의 역사를 찾아서
동래온천의 현재
온천사 연구의 고전 - ‘부산 온천에 관한 연구’
동래온천의 유래
체계화 된 온천 치료법
온천 발견에 관한 전설
동래온천에 온 ‘왜인’들
2. 개항기의 동래온천
대마도 영주의 동래온천 방문
통행권의 확대
일본인이 본 동래온천
일본여관 ‘봉래관蓬萊館’의 개업
옛 사진에서 알 수 있는 것
경변철도의 개통
3. 조선 최고의 온천지가 되다
온천가의 발전
철도 자본에 의한 개발
인천 ‘대조탕’과 해수욕
근대 서구의 목욕문화와 위생사상의 영향
조선 제일의 온천가로
어느 일본인 온천객의 하루
‘슬픈’ 눈빛
현존하는 일본인 별장
황족을 접대한 온천
일본 통치기의 건조물을 어떻게 보존하고 활용할 것인가
4. 조선인과 동래온천
조선인이 경영하는 온천여관
온천장에 있던 독립운동 아지트
온천지의 경영권을 둘러싼 토착민들의 반발
3부 한국의 온천을 찾아서
조선반도의 온천
해운대 온천
부곡온천-재일동포가 만든 ‘부곡 하와이’
온천에 ‘궁’이 있었던 온양온천
명승지에 있는 동해 백암온천
대규모 온천지, 유성온천
아사카와 타쿠미淺川巧와 계룡산의 가마터
한국과 일본의 온천 교류
맺음말
천하의 명산 금강산에…!
금강산 온천
동아시아가 이어지는 꿈
다시 만납시다
후기를 대신하여
역자 후기
부록 1. 일본 통치기의 조선 ‘온천 리스트’
부록 2. 현재 북한의 온천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다케쿠니 토모야스竹國友康
1949년 효고 현에서 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