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중동의 탄생

현대 중동의 탄생

데이비드 프롬킨 (지은이), 이순호 (옮긴이)
갈라파고스
4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700원 -10% 0원
2,150원
36,550원 >
38,700원 -10% 0원
0원
3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100원 -10% 1500원 25,590원 >

책 이미지

현대 중동의 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중동의 탄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서남아시아사
· ISBN : 9788990809681
· 쪽수 : 984쪽
· 출판일 : 2015-01-12

책 소개

미국 비평가협회상과 퓰리처상 최종선발작에 빛나는 책으로, 분쟁으로 얼룩진 중동의 그늘, 그 기원을 찾아가는 현대의 고전이다. 또한 중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중동 문제의 바이블로, 현대 중동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목차

발간 20주년 기념 판본에 부쳐
지도 및 도판 목록
들어가는 말

1부 역사의 교차로에서
1. 구 유럽의 마지막 날들
2. 거대한 게임이 남긴 유산
3. 전쟁이 일어나기 전의 중동
4. 동맹이 급했던 청년튀르크당
5. 전쟁 전야의 윈스턴 처칠
6. 처칠, 터키 전함들을 압류하다
7. 오스만제국의 음모

2부 하르툼의 키치너, 장래를 준비하다
8. 키치너, 지휘권을 잡다
9. 키치너의 부관들
10. 키치너, 이슬람 공략에 나서다
11. 인도의 저항
12. 고래싸움의 새우등이 된 메카의 샤리프

3부 중동의 진창에 빠진 영국
13. 패전으로 몰고 간 터키 지휘관들
14. 영국의 터키 공격을 허용한 키치너
15. 다르다넬스 작전의 승리를 향해
16. 러시아의 속셈
17. 영국이 중동에서 원한 것
18. 운명의 해협에서
19. 전사들
20. 정치인들
21. 꺼져버린 불빛
22. 카이로 영국 정보국의 아랍부 창설
23. 아랍인들에게 해준 영국의 약속
24. 연합국에 해준 영국의 약속
25. 터키, 티그리스 강 전투에서 영국을 격파하다

4부 전복
26. 적진의 뒤에서
27. 키치너의 마지막 임무
28. 후세인의 아랍 봉기

5부 운명의 나락으로 떨어진 연합국
29. 연합국 정부들의 추락: 영국과 프랑스
30. 차르정부의 전복

6부 신세계와 약속의 땅
31. 신세계
32. 로이드 조지의 시온주의
33. 밸푸어 선언을 향해
34. 약속의 땅

7부 중동 침략
35. 예루살렘에서 크리스마스를
36.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
37. 시리아 쟁탈전

8부 승리의 떡고물
38. 갈림길
39. 트로이의 기슭에서

9부 썰물은 빠지고
40. 시간은 흘러가고
41. 배신
42. 비현실적 평화회의의 세계

10부 아시아를 덮친 폭풍우
43. 분규의 시작: 1919~1921년
44. 이집트: 1918~1919년의 겨울
45. 아프가니스탄: 1919년 봄
46. 아라비아: 1919년 봄
47. 터키: 1920년 1월
48. 시리아와 레바논: 1920년 봄과 여름
49. 동 팔레스타인(트란스요르단): 1920년
50. 팔레스타인―아랍인과 유대인: 1920년
51. 메소포타미아(이라크): 1920년
52. 페르시아(이란): 1920년

11부 러시아, 중동에 돌아오다
53. 영국 적들의 실체
54. 중동에서의 소비에트 도전
55. 모스크바의 목표
56. 부하라의 죽음

12부 1922년의 타결
57. 윈스턴 처칠, 중동문제의 주도권 잡다
58. 처칠과 팔레스타인 문제
59. 연합국의 분열
60. 그리스의 비극
61. 중동문제의 타결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데이비드 프롬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위스콘신 주 밀워키 태생의 저명한 역사가 겸 저술가. 시카고 대학교 학부와 시카고 대학교 로스쿨을 마치고 법무석사(JD)를 취득한 뒤 런던 대학교에서 준석사(PGDL)를 취득했다. 역사가로 입문하기 전에는 변호사, 개인 투자자, 정치고문 등 법조계, 재계, 정계에서 다양하게 활동했으며, 1972년에는 대통령 선거에 나선 휴버트 험프리 민주당 의원의 외교정책 고문을 역임하기도 했다. 역사가의 길로 접어든 뒤에는 《포린 어패어스》, 《뉴욕 타임스》 그 밖의 간행물들에 다수의 글을 기고한 것을 시작으로 활발한 집필 활동을 했다. 이 책 『현대 중동의 탄생A Peace to End All Peace』(1989)을 비롯해 『왕과 카우보이The King and the Cowboy: Theodore Roosevelt and Edward the Seventh, Secret Partners』(2007), 『유럽의 마지막 여름Europe’s Last Summer: Who Started the Great War in 1914』(2004), 『세상의 순리The Way of the World』(1998), 『미국인들의 시대에In the Time of the Americans: FDR, Truman, Eisenhower, Marshall, MacArthur, The Generation That Changed America’s Role in the World』(1995), 『국가들의 독립The Independence of Nations』(1981), 『정부의 문제The Question of Government: An Inquiry into the Breakdown of Modern Political Systems』(1975) 등을 저술했다. 그의 대표작이기도 한 이 책 『현대 중동의 탄생』은 《뉴욕 타임스》 편집진이 뽑은 13대 최고 도서들 중 하나에 포함되었고, 히스토리 북클럽의 우수도서로 선정되었으며, 미국 비평가협회상과 퓰리처상 최종선발 후보에도 올랐다. 또한 《월스트리트 저널》, 《파이낸셜 타임스》, 《런던 타임스》 등 세계 유수의 신문들로부터 절찬을 받은 전 세계적 베스트셀러다. 프롬킨은 보스턴 대학교에서 국제관계, 국제법, 중동정치 분야를 가르쳤으며, 이 대학의 국제관계 학과장과 국제관계 연구센터 장을 3년 동안 역임했다. 1976년부터는 미국 외교협의회 회원이다.
펼치기
이순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뉴욕 주립 대학에서 서양사를 공부하고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타타르로 가는 길』, 『문신, 금지된 패션의 역사』, 『미국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미국사』, 『발칸의 역사』, 『제국의 최전선』, 『불로만 밝혀지는 세상』, 『지중해 5,000년의 문명사』, 『바다의 제국들』, 『인류의 역사』, 『비잔티움』, 『위대한 바다』, 『발칸의 역사』, 『현대 중동의 탄생』, 『이슬람 제국의 탄생』, 『지리의 복수』, 『스페인 내전, 우리가 그곳에 있었다』, 『하버드-C.H.베크 세계사 1870~1945』(공역), 『코드걸스』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세기가 끝나가는 작금의 중동 정치는 물론 그때와는 양상이 판이해져 펄펄 끓는 용광로처럼 변했다. 이렇게 폭발 직전의 중동이 탄생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인물이 다름 아닌 1차 세계대전 전에는 무슬림 아시아에 별 관심이 없었고, 대중적 인기도는 높았으나 불신도 많이 받았던 영국의 젊은 정치인 윈스턴 처칠이었다. 이 무슨 야릇한 운명의 장난인지 처칠과 중동은 서로 간의 정치적 삶에 지속적으로 개입하게 되었고, 그것은 또 흔적을 남겼다. 현재 중동을 가로지르는 국경선들이 바로 양자의 충돌이 만들어낸 상처투성이 선들인 것이다.


독일과 전쟁이 터지고 오스만과 전쟁이 발발하기까지 100일간, 오스만제국 영토를 보전해야 한다는 기존 원칙을 포기함으로써 1세기 넘게 유지해온 영국 외교정책의 근간을 완전히 뒤바꾼 것이었다. 그리하여 튀르크와 전쟁이 발발한 지 150일째 되는 날, 애스퀴스 정보는 마침내 오스만제국의 해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영국도 영토분할에 참여하는 것이 이롭다는 관점을 갖게 되었다.


헤자즈 봉기가 일어난 직후에 발간된 《아랍 보고서》(1916년 6월 6일자) 창간호에 실린 로렌스의 글을 보면, 아랍인들은 심지어 봉기의 목적 면에서도 일치단결이 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로렌스는 대규모 부족 모임이 열리기만 하면 아랍인들은 어김없이 분쟁을 일으켰으며, 튀르크도 아랍인들의 그런 기질을 알기에 뒤로 물러 앉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이라고 썼다. 튀르크가 조치를 미룬 것은 “부족 간 투쟁으로 그들이 조만간 공중분해 될 것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라는 말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038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