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설과 카메라의 눈 (영화와 현대 소설에 나타난 영상의식)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0828262
· 쪽수 : 393쪽
· 출판일 : 2006-02-01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90828262
· 쪽수 : 393쪽
· 출판일 : 2006-02-01
책 소개
소설과 영화의 관계를 현대적 인식의 특징이라는 주제 안에서 탐구한 책이다. 영화 형식이 현대 소설 형식과 결합하게 된 기원과 발달 과정을 살폈다. 오스틴과 스탕달에서 시작된 근대적인, 혹은 사실적인 소설이 19세기를 거치며 어떻게 카메라의 눈과 같은 '구상화된(concretized)' 양식 안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서서히 발달해왔는지를 밝혀준다.
목차
- 옮긴이의 말
- 프롤로그
1부 영화적 형식의 기원
I. 구상화 형식
플로베르의 유산
세르반테스와 서사 형식
플로베르와 구상화 형식
II. 타원형의 시야
플로베르와 카메라의 눈
내적 형식의 발전 : 졸라, 로렌스, 울프
영화적 형식의 발전 : 제임스, 콘래드, 조이스
2부 현대 영화와 소설
III. 조이스와 동시대인들
조이스와 영화
카메라의 존재론
IV. 우연적 세부
V. 동작의 해부학
VI. 피상성
애니메이션과 비인간화
암울한 도상
VII. 몽타주
- 에필로그
-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인간과 사물을 동등화하는 과정은 잭슨 폴락의 액션페인팅과 존 케이지의 구상음악에서도 쉽게 관찰되지만 무엇보다 영화에서 뚜렷하다. 지난 25년 동안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장뤽 고다르, 로버트 알트만과 같은 영화감독들은 인간의 모습을 시각적 영역의 가장자리로 밀어버린 탈중심화되고 불균형적인 구성으로 드러내었다.
특히 데 시카와 로셀리니(특히 로셀리니의 '이탈리아 여행')의 작품에서 이미 포함되어 있던 경향을 한껏 발전시켜 온 안토니오니는 중심을 분산시키는 카메라의 설치를 자신만의 개성적인 창작방법으로 삼았다. 무생물을 배경의 중심에 배치하고 인간의 모습은 주변에 작고 무감각하게 배치한다. - 본문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