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쓰면서도 헷갈리는 우리말 오류사전

쓰면서도 헷갈리는 우리말 오류사전

최경봉, 차재은, 박유희, 이경수 (지은이)
경당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쓰면서도 헷갈리는 우리말 오류사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쓰면서도 헷갈리는 우리말 오류사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전문사전 > 인문사회전문사전
· ISBN : 9788986377279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03-12-20

책 소개

지은이들은 언어 생활에서의 오용 사례를 제시하면서 '이렇게 써야 한다'고 권고하긴 하지만, 융통성없이 규범의 잣대만을 강조하며 가르치려 들진 않는다. 잘못된 표기와 표현을 바로 잡는 것 이외에도 잘못된 표현이므로 쓰지 말아야 한다는 일부 주장이나 기존의 뜻도 모르고 뜻풀이를 해놓은 말들에 대해서도 오류의 근거를 들어 지적하고 있다.

목차

[ㄱ]
ㄱ[기윽] / 가래떡 / 가래토시 / 가랭이 / 가리마 / 가리워지다 / 가리키다 / 가방 / 가시버시 / 가을내 / 가장 / 가정난 / 간 / 간지러 주다 / 간지럽다 / 간지럽히다 / 갈갈이 / 갈매기살 / 갈음하다 / 감색 / 감주 / 갑절 / 갓바치 / 강강수월래 / 강남콩 / 강다구 / 갖으면 / 개거품 / 개구지다 / 개기다 / 개나리봇짐 / 개발 / 개발새발 / 개숫물 / 개장국 / 개펄 / 개피 / 객적다 / 갱신 / 거치른 / 거친다 / 건강하세요 / 걸리적거리다 / 걸맞는 / 걸판지다 / 검사를 맞다 / 겉잡을 수 없이 / -게시리 / 결실을 맺다 / 결재하다 / 결혼 / 계시다 / 고맙습니다 / 곤욕스럽다 / 골덴 / 곰곰히 / 곱배기 / 교수님 / 구경당하다 / 구구절절히 / 구렛나루 / -구만 / 구원되다 / 구좌 / 굴삭기 / 굼뱅이 / 궁시렁거리다 / 귀걸이 / 귀뜸, 귀띰 / 귀지개 / 귀하 / 귓밥 / 귓속말 / 그리고 나서 / 그제서야 / 금새 / 금슬 / 금자탑 / 긋다 / 기도 / 기라성 / 기집애 / 기차길 / -길래 / 김치 담다 / 깃들다 / 까막까치 / 까맣오 / 까탈스럽다 / 깍뚜기 / 깎듯이 / 깐보다 / 깡소주 / 꺼림직하다 / 껄쩍지근하다 / 꼬라지 / 꼬시다 / 꼭둑각시 / 꼼장어 / 꽃내음 / 꽃제비 / 꾀임 / 꾸물꾸물하다 / 꾸부리다 / 꿰매다 / 끔찍히 / 끼여들다

[ㄴ]
나뭇군 / 나쁘다 / 나의 살던 고향 / 나팔 / 낙타 / 난로를 때다 / 난장이 / 날으는 / 날카롭다 / 남비 / 남사스럽다 / 남이사 / 내노라하다 / 내일 / 낸들 / 냅둬 / 넉넉치 않다 / 넌센스 / 널판지 / 넓다랗다 / 넘어 / 년도 / 노블레스 오블리제 / 놀래라 / 놀래키다 / 놋주발 / 뇌졸증 / 누룽지 / 눈꼽 / 눈쌀 / -느라고 / -는가 알아보다 / -는데 / 늘이다 / 늦깍이 / 늦으막하다 / 니 / 닐리리 / 닝닝하다 / 닝큼

[ㄷ]
[다님] / 다대기 / 다름 아니다 / 다리매 / 다싯물 / 닥달하다 / 단도리 / 단촐하다 / 닭벼슬 / 닮아 있다 / 담북장 / 당황, 당혹, 황당 / -대, -데 / 대빵 / 더 이상 / -던지 / 덤탱이, 덤테기 / 덩쿨 / 도나스 / 도루아미타불 / 도시락 / 돋구다 / 동백꽃 / 동티 / 되뇌이다 / 되요 / 될수록 / 두더쥐 / 두루뭉실하다 / 둘러리 / 둘러쌓이다 / 뒤웅박 / 뒤치닥거리 / 뒷처리 / -든다 / 들렸다 / 들어나다 / 들여마시다 / -듯 / 등물을 하다 / 등살 / 디디다 / 디립다 / 디스켙 / 따듯하다 / 딱다구리 / 딴지 걸다 / 땡기다 / 땡땡이 무늬 / 땡잡다 / 떠나보내다 / 떡볶기 / 떨거지 / 떳다 / 떼거지 / 떼다 / 떼불알 / 뗑깡 / 또 뵈요 / 똑닥똑닥 / 뙤기 / 뚱땡이 / 뜽금없다

[ㄹ]
-ㄹ께요 / -(으)ㄹ래야 / -ㄹ련지 / -ㄹ소냐 / 로마자 표기법 / 로보트 / 리바이벌

[ㅁ]
마굿간 / 마늘쫑 / 마실 오다 / 마춤 / 만두 / 만두속 / -만은 / 말아라 / 맛사지 / 망칙하다 / 맞는다 / 맞추다 / 맞춤법 / 매무시 / 매형 / 맨날 / 맹숭맹숭 / 머릿말 / 먹거리 / 멀지않아 / 멋적은 / 메꾸다 / 메어지다 / 몇 일 / 모밀국수 / 몹시 / 못쓸 짓 / 못잊어[몬니저] / 무단히 / 무데뽀 / 무등을 타다 / 무릎쓰다 / 무색 / 무소 / 무치다 / 문화어 / 문후 / 미다지 / 미싯가루 / 민초 / 밀어부치다 / 밑둥

[ㅂ]
바디클린져 / 바람피다 / 바래 / 바치다 / 박수 치다 / -박이 / 반듯이 / 만딧불이 / 반짓고리 / 발자국 소리 / 발자욱 / 밥을 앉히다 / 밧다리 / 방금, 금방 / 배기다 / 배이다 / 배추 꼬랑이 / 백미러 / 뱃지 / 버무르다 / 버커리 / 벌리다 / 벌칙금 / 벗겨지다 / 벗나무 / 베다 / 벽창호 / 변죽이 좋다 / 보란 듯이 / 복숭아뼈 / 볼륨댄스 / 봉선화 / 부딪히다 / 부비다 / 부시다 / 부조 / 부질없다 / 부침개 / 부페 / 불나비 / 불도저 / 불독 / 불이나케 / 붓기 / 비게 / 비껴가다 / 비만이다 / 비치다 / 빈대떡 / 빌어 / 빗어 주다 / 빠른 속도 / 빠리 / 빨갱이 / 빨치산 / 빼다박다 / 빽 / 뻥튀기 / 뼉다귀 / 뽀개다 / 뽄새 / 삐지다

[ㅅ]
사귀어 / 사리 / 사사 받다 / 사십구제 / 사체 / 삭히다 / 산닭 / 산림욕 / 산수갑산 / 살사리 / 살찌다 / 삼가하다 / 상자하다 / 상치 / 새끼 / 새다 / 새침떼기 / 새털 / 샛밥 / 생각 / 생각컨대 / 서더리 / 서슴치 / 서툴다 / 선릉 / 설겆이 / 설농탕 / 설레이다 / 섬찟하다 / 섭하다 / 성대 묘사 / 세로쓰기 / 세멘트 / 세종대왕 / 세째 / 센치미터 / 센타 / 셋방 / 소고기 / 소꼽장난 / 소낙비 / 소미역국 / 소반 / 소태 / 손톱깎개 / 솔직이 / 쇄다 / 수고하세요 / 수마에 할퀴다 / 수육 / 수퍼마켓 / 술구더기 / 숨박꼭질 / 숫가락 / 숫소 / 쉽상이다 / 승락 / 시간 / 시끌덤벙하다 / 시다바리 / 시라소니 / 시방 / 시커매진 / 식겁하다 / 식사하다 / 식혜 / 실강이 / 실지로 / 십장 / 싸그리 / 싸이즈 / 쌀뜬물 / 써라 / 썩히다 / 쏘세지 / 쑥맥 / 쓰레받이 / 씌어지다

[ㅇ]
아구똥하다 / 아구찜 / 아까시나무 / 아나고 / 아니꼽다 / 아니예요 / 아니오 / 아닐런지 / 아다시피 / 아무려면 / 아뿔사 / 아연질색 / 아이러니하다 / 안스럽다 / 안절부절하다 / 안타깝다 / 알맞는 / 알아맞추다 / 알으켜 주다 / 알은척, 알은체 / 알토랑 같다 / 앎 / 암록색 / 암코양이 / 애기 / 애매하다 / 애시당초 / 야단법석 / 야멸차다 / 야밤도주 / 야코죽다 / 약지 / 얇삽하다 / 어거지 / 어깨 걸다 / 어떻게 / 어른스럽다 / 어리버리하다 / 어물쩡 / 어줍잖다 / 어쨋든 / 어처구니 / 언덕빼기 / 얼리레꼴레리 / 얼룩백이 / 얼룩이 / 얼음보숭이 / 얼음이 얼다 / 얼핏 / 엄한 / 업수이여기다 / 없슴 / 엉클어지다 / 에요 / 여지껏 / 여쭈워 / 연배 / 연산홍 / 염두해 두다 / 영계 / 영글다 / 영어 공용화 / 옛부터 / 오뎅 / 오도방정 / 오돌뼈 / 오뚜기 / 오랑캐 / 오랫만에 / 오이소배기 / 오지랍 / 올 들어 / 올케언니 / 옺나무 / 와사비 / 와중에 / 왠일 / 우렁쉥이 / 우뢰 / 우연만하다 / 우연치 않다 / 운영 / 울궈내다 / 웃도리 / 웃풍 / 웨하스 / 웬지 / 윗어린 / 유도리 / 육계장 / 으례 / 으름짱 / -으므로 / 으시대다 / 으시시하다 / 응큼하다 / 이두 / 이쁘다 / 이야기 / -이오 / 이차피 / 인공기 / 인기척 소리 / 인민복 / 인사치례 / 일체와 일절 / 임마 / 임산부 / 입장 / 잇달아 / 있으시다 / 잎파리

[ㅈ]
자그만치 / 자그만하다 / 자랑스런 / 자문을 구하닫 / 자유케 하다 / 잘주름 / 잠궈 / 장본인 / 장사 / 장해 / 잦은모리 / 재원 / 재털이 / 잼잼 / 저냐 / 저희 / 점배기 / 점심 / 접수하다 / 정류장 / 정한수 / 제끼다 / 젠장할 / 조그만하다 / 조근조근 / 조리다 / 조악하다 / 조용 / 졸립다 / 주목에 값하다 / 주책이다 / 주최 / 쥬스 / 즉사하게 / 지 / 지 / 지긋이 / 지꺼리다 / 진력 / 진즉 / 진척되어지다 / 짜장면 / 짜집기 / 짤리다 / 짱 / 짱아찌 / 째다 / 째째하다 / 쫓다 / 찌계 / 찌뿌둥하다 / 찝찝하다

[ㅊ]
차돌배기 / 착찹하다 / 찰지다 / 창란젓 / 천만에 말씀 / 천정 / 초생달 / 초죽음 / 촉촉히 /총각무 / 추근대다 / 추리닝 / 추스리다 / 축제 / 축하드리다 / 출생율 / 치루다 / 칠칠맞다 / 칠흙 / 칭칭

[ㅋ]
카키색 / 칼치 / 캐롤 / 캥기다 / 커트 / 케찹 / 코리아 / 콧망울 / 콩깍지

[ㅌ]
타개지다 / 타겟 / 택견 / 터키탕 / 테입 / 템즈 강 / 토시 / 토이기 / 토장국 / 통털어 / 트기 / 트름 / 틀리다

[ㅍ]
판잣대기 / 판플렛 / 펜션 / 포승줄 / 푸르른 / 풍지박산 / 프로 / 피다 / 피란살이 / 피로 회복

[ㅎ]
하관이 빠르다 / 하릴없다 / 하마트면 / 하양색 / 하일라이트 / 학을 떼다 / 한가닥하다 / 한가하다 / 한글 / 한글 반포일 / 한데 / 한 웅큼 / 한자 / 할애하다 / 핸드폰 / 햇님 / 햇빛 / 허구헌 날 / 허방다리 / 허우대 / 허접쓰레기 / 헌데 / 헛탕 / 헷갈리다 / 현호색 / 호도 / 혼돈하다 / 홀몸 / 홀홀단신 / 화냥 / 화톳불 / 환난 / 활어 / 후덥지근하다 / 훈민정음 / 훤칠하다 / 휘둥그래지다 / 휴계실 / 흉칙스럽다 / 흐리멍텅하다 / 희노애락 / 희안하다

저자소개

최경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휘의미론, 국어사전학,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어휘의미론』,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우리말 강화(講話)』,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을 저술하였다. 같이 쓴 책으로는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글과 과학문명』,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한국어 어휘론』,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등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펼치기
차재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국어연구원 사전편찬실 편수원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 조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우리말 소리의 체계> 등이 있다.
펼치기
박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영화사를 연구하며, 서사장르의 관계망과 사회사의 맥락에서 한국영화 표상을 들여다보고 그 의미를 묻는 비평을 해왔다.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에서 영상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서사의 숲에서 한국영화를 바라보다』, 『디지털 시대의 서사와 매체』, 『아이러니와 딜레마』, 『1950년대 소설과 반어의 수사학』이 있고, 5개 대중서사장르(멜로드라마, 역사허구물, 추리물, 코미디, 환상물)에 대한 공동연구를 기획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1~5권을 펴냈다. 이외에 『한국영화 역사 속 검열제도』, 『순결과 음란: 에로티시즘의 작동방식』, 『센티멘탈 이광수』, 『민주화·탈냉전 시대, 평화와 통일의 사건사』, 『문화콘텐츠와 퍼블릭 도메인 스토리』 등의 공저가 있으며, 앨런 스피겔(Alan Spiegel)의 『소설과 카메라의 눈(Fiction and the Camera Eye)』을 공역했다.
펼치기
이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대전에서 태어났다. 1991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백석 시 연구·화자 유형을 중심으로>로 문학 석사 학위를, <한국 현대시의 반복 기법과 언술 구조?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이용악·서정주 시를 중심으로>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해 문학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불온한 상상의 축제≫, ≪한국 현대시와 반복의 미학≫,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 ≪춤추는 그림자≫, ≪다시 읽는 백석 시≫(공저), ≪이용악 전집≫(공편저), ≪최재서 평론선집≫(편저) 등이 있다. 제23회 김달진문학상, 제8회 애지문학상, 제17회 젊은평론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시와 시론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