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9097614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4-11-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서론
이 글을 쓴 목적
해방 직후사 연구의 반성
이 책의 내용 소개
1장. 조선 민중투쟁과 미국 조선정책의 역사(1876~1945)
1. 조선 민중의 계급투쟁과 민족운동
(1) 동학농민혁명
(2) 민중의 3·1운동
(3) 상해 임시정부와 만주 무장투쟁
(4) 노동자와 농민의 투쟁
2. 미국의 조선정책
(1) 조미 통상조약 이후
(2)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이후
3. 결론
2장 민족자주화운동을 파괴
1. 짧은 해방기간-건준과 인공의 활약
(1) 건국준비위원회
(2) 조선인민공화국
2. 조선총독부에서 미군정 지배로
(1) 정복자들의 군사통치
(2) 억압적 국가기구들
1) 사법제도
2) 남조선국립경찰.
3) 남조선국방경비대
3. 친일파를 친미파로 재조직
(1) 한민당 조직
(2) 한민당 이용
(3) 임정 지도자 귀국
(4) 임정 지도자 이용
4. 혁명적 민족주의자 탄압
(1) 조선인민공화국 부정
(2) 반탁운동 왜곡
(3) 민주주의민족전선 탄압
5. 형식적인 독립: 이승만 정권을 수립
(1) 미군정 법률 계승
(2) 미군정 정책 계승
(3) 계속해서 미국에 종속
6. 결론
3장 사회민주화운동 파괴
1. 미완성 혁명
(1) 노동자자주관리운동
(2) 인민위원회 조직
2. 반혁명적 미군 점령 정책
(1) 노동정책
(2) 토지정책
(3) 쌀정책
(4) 인민위원회 탄압
3. 조선 민중의 항쟁
(1) 9월 총파업
(2) 10월 민중항쟁
(3) 제주 4·3 민중항쟁
4. 반혁명적 이승만 정권과 민중항쟁의 계속
(1) 이승만 정권의 노동 정책과 토지 정책
(2) 여·순 항쟁
5. 결론
4장 조선을 분단
1. 분단의 기원과 직접 효과
(1) 38선은 미국 작품
(2) 조선의 민족통일 파괴
2. 남북통일에 대한 미국 정책
(1) 미소공동위원회
(2) 유엔임시위원단.
3. 조선 민족의 통일 노력
(1) 좌우합작운동
(2) 남북회담
4. 남북에 두 개의 정부를 수립
(1) 대한민국
1) 미국의 남쪽 단독정부 수립 정책
2) 5·10선거와 이승만 정권 수립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소련의 북조선 점령정책
2) 김일성정권의 수립과정
5. 이승만 정권이 분단을 강화
(1) 반공이데올로기
(2) 군사력 증강
6. 결론
결론: 혁명 파괴
1. 자주·민주·통일은 하나의 과제
2. 미군 점령 4년의 유산
프롤로그
주요사건 연표(1945-1949)
참고문헌
한글 문헌
영어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요즈음 청년 세대에게 ‘미군 점령’이라는 말은 생소할지 모른다. 그러나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이 진주하면서 식민지 조선총독부 건물에는 일장기가 내려지고 성조기가 올랐다. 한반도를 분단하고 남한을 점령한 미군은 지배의 편의를 위해 친일파를 보호하고 이용했다. 이에 따라 해방 후 가장 큰 민족적 과제였던 친일파 청산은 실패했고, 이승만을 앞세운 친일파들은 반공을 앞세워 한국의 지배 세력이 되었다.
미국 군사정부(미군정)는 이승만 정권이 수립되면서 3년의 직접 통치 기간을 끝냈다. 그런데도 미군은 미군사고문단을 남겨 1949년 6월 말까지 한국을 점령하여 형식적으로 독립한 한국 정부를 정치·경제·군사 면에서 사실상 지배했다. 그래서 미군정은 3년이고 미군 점령은 4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