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105731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7-08-3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5
서 문 13
기억과 기념의 필요성과 의미 19
사회적 기억과 기억의 정치 19
근현대사와 기억의 정치 22
한국 사회의 변동과 ‘과거’의 기억 25
과거의 기억과 기념을 둘러싼 대립과 갈등 28
대중의 과거는 누가 어떻게 기억해 줄 것인가? 36
식민지 상흔의 치유와 ‘독립’의 기념공간 39
‘8·15’의 정의(定義)와 기념 41
“독립”의 기념공간화 44
독립기념관의 구성 요소와 특성 51
7개 전시관의 특성과 변화 55
독립기념관의 건립과 역할이 주는 교훈 59
내전에서 국제전으로! 한국전쟁의 ‘기념’ 공간 65
한국전쟁 담론의 통제와 공포 66
전쟁의 기념 혹은 기억 68
국립현충원의 전시관 73
전쟁기념관의 건립과 구성 75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과 기념관 80
한국전쟁의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86
거창추모공원 및 역사교육관 89
네 번 죽은 거창의 희생자들 90
‘거창사건’ 해결법의 명암 91
거창사건 추모공원 93
거창사건 역사교육관 스케치 96
역사교육관의 내부 구성 98
반공인가? 평화와 인권인가? 102
마산의 3·15의거와 국립 3·15민주묘지의 기념관 107
1960년대의 3·15의거와 2000년대의 3·15의거 108
3·15의거의 홀로 서기와 국립3·15민주묘지 111
3·15의거를 둘러싼 기억투쟁과 기념사업 114
3·15기념관 119
3·15의거는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가? 124
권력을 바꾼 사회운동, 4·19혁명과 기념공간 129
4·19혁명의 호명과 ‘정의’의 변화 130
국립4·19민주묘지의 기원과 역사성 131
국립4·19민주묘지 내의 ‘4·19혁명 기념관’ 136
‘서대문 경무대’에서 4·19혁명기념도서관으로 137
4·19혁명의 계승과 미래 143
부산의 민주화운동을 품은 보수산 147
부산의 민주화운동과 부마민주항쟁148
부마민주항쟁의 기념에서 152
부산 민주화운동의 기념으로
부산민주공원의 장소성과 공간의 구성 155
부산민주공원의 정수(精髓), 159
민주항쟁기념관의 구성
두 번 개관한 민주항쟁기념관의 상설전시실 162
민주화운동 기념관의 창발적 운영을 고대하며 164
5·18민중항쟁의 기념사업과 미완의 ‘기념관’ 건립 169
사건의 현장과 기념의 공간 및 개념 171
망월묘역과 국립5·18민주묘지 173
국립5·18민주묘지의 5·18추모관 177
5·18기념공원과 5·18자유공원 181
전남대학교 ‘5·18기념관’ 187
20년 전의 “다짐,” 13년 전의 “약속” 191
5·18민중항쟁 기념사업의 교훈 195
기념관 건립운동의 변화와 동학 199
머리말 199
기념관과 박물관 그리고 기념의 정치 203
사건별 기념관 건립운동 시기(1980~1990년대) 207
포괄적 기념관 건립운동 시기(2000년대) 214
맺음말 225
참고문헌 229
민주주의 전당과 “희망세상” 233
‘기념관 형’ 국가 기억화 사업의 변화 233
자발적 참여의 공간에서 배제와 동원의 공간으로 237
민주주의 전당의 건립이 최고의 선택인가? 241
민주주의 전당 만들기 244
“희망세상”의 싹을 키우는 민주주의 전당 247
색인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