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환경운동
· ISBN : 9788991075290
· 쪽수 : 607쪽
· 출판일 : 2006-06-3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 좋은 소식이라니?
1. 꿀벌처럼 돈을 벌다
사업은 혁명중 / 첫걸음 / 하느님은 환경주의자다 / 최고를 향한 질수 / 돈 필요하세요? / 말은 부드럽게, 회초리는 아프게 / 정말 좋은 일자리 / 나도 살리고 남도 살리고 / 문어발을 경계하라
2. 동의를 거부하다
포식 동물 길들이기 / 아름답고 푸르른 초호 / 돈의 가치 / 2차 산업 혁명 / 갑절의 피해 또는 갑절의 보상 / 동의를 거부하다 / 역사에 길을 묻다 / 우리 정말 큰일 났다 / 어떻게 이런 일이? / 필연을 바꿔내다 / 희망의 정의 / 혁명을 원한다고?
3. 코요테로 풀을 기르다
영원한 야성 / 꿈의 구장 / 복잡성을 재건하다 / 코요테로 풀을 기르다 / 목적을 중심으로, 장점을 기반으로 / 연어 숲 / 핵심과 회랑과 육식 동물 / 동거 / 사자와 호랑이와 곰 / 당혹스러운 복잡성
4. 흐르는 강물처럼
지구의 혈액, 물 / 가뭄을 예방하다 / 작은 것이 아름답다 / 이미 가진 자원은 낭비하지 않기 / 친환경 옥상과 퇴비 수집 변기 / 매년 500만 명의 아이들을 구하다 / 빌어먹을 댐 / 최고의 서식지 복원 방법 / 액체로 된 부 / 고장 난 게 아니면 고치지 마라 / 물 지킴이들의 행동 개시
5. 겸손한 방법으로 농사를 짓다
작은 천국 / 조금만 더 겸손하게 / 그리고 조금만 더 겸손하게 / 더 적게 써서 더 많이 생산하기 / 옛 방식을 끝났다 / 흙탕물에 뒹구는 돼지처럼 행복한...... / 닭도 권리가 있다 / 약물 한 접시 드시겠습니까? / 안전한 밥상을 위한 선택 / 가난한 사람도 취향이 있다 / 뿌린 대로 거두다 / 아무도 우리 의견을 묻지 않았다 / 병해충 종합 방제 / 문제를 일으킨 쪽이 물러서야 한다 / '아니오!'라고 말하는 용기 / 냠냠 맛있다 / 농약이 사라진 자리를 건강한 음식으로 채우다
6. 재규어의 소리를 듣다
공동체 생활 / 숲의 주인은 누구인가? / 먹을 수 있는 숲 / 숲의 거인들 / 진화를 촉진하는 산불 / 나무 사이로 들리는 북소리 / 열반에 들다 / 숲도 지키고 사업도 지키고 / 전환점
7. 알바트로스의 노래
영광의 줄무늬 / 굴과 부젓가락 / 다윗, 골리앗을 만나다 / 비만 고양이 / 고양이 잡을 개 키우기 / 해양의 핵심 / 해양의 회랑 / 이용자 친화적 관리 방식 / 해양의 육식 동물 / 육지와 바다 / 고래와 공기와 숲과 먹을거리 지키기
8. 플루토와 씨름하다
플루토의 저주 / 고삐 풀린 프로메테우스 / 똑똑한 기술 / 바퀴 달린 폭탄 / 석유 산업의 철학 변동 / 화학을 통한 웰빙 / 생태적 합리성 / 상품Goods이 아닌 불향 행위Bads를 과세하라 / 갑절의 보상 / 햇살 좋은 캘리포니아 / 고집스러운 힘
9. 주어진 틀을 깨다
뼈아픈 깨달음 / 철조망 끊는 법부터 배우기 / 거미줄을 잣는 이들 / 삶에 거는 기대 / 케랄라 모델 / 베를린부터 접수하고 그 다음엔 맨해튼 / 성장의 한계 / 학문의 재평가 / 행복을 추적하다 / 우리는 모두 지구의 선주민
닫는 글 - 한경과 경제가 사회와 함께 사는 길
옮긴이의 말 - 또 다른 세상을 만들어가는 길목에서
단체 목록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무한한 기술 발전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가뭄이나 해충에 강한 식물, 영양 성분·유통 기한·질병 저항성 등이 개선된 식품, 또는 기름기가 적은 식품을 원한다. 이런 식품을 포기하지 못하겠다는 사람들이 알아야 할 사실이 있다. 유전자 변형 기술 없이도 식품 개선은 얼마든지 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이 훨씬 더 저렴하고 안전하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인도 안프라데시에 있는 국제 반건조열대 농업연구소(ICRISAT)는 전통 기술로 가뭄에 강한 병아리콩 품종 두 가지를 개발하여 "심각한 물부족에 시달리는 빈농들의 인생을 바꿔놓았다." 이 병아리콩은 숙성 기간이 85일에서 100일밖에 안 되기 때문에 수확기 무렵에 찾아오는 가뭄을 비껴갈 수 있게 해 준다. 유난히 기후 조건이 안 좋았던 199년에도 이 심품종을 심은 농민들은 헥타르당 무려 1.7톤을 수확했고, 흉작으로 인한 대량 이농과 영양실조, 농민의 자살을 면할 수 있었다. - 본문 32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