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91097247
· 쪽수 : 381쪽
· 출판일 : 2005-05-2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학교, 그 숨은 그림 찾기
공교육, 혁명가들의 꿈 | 학교체제의 고고학 | 국민 만들기 | 우리 근대 학교사의 네 시기
1부 우리 학교 100년의 풍경
1장 양차 세계대전 시절의 우리 학교
1. 러일전쟁부터 중일 전쟁까지
친일 국민교육의 출발 | 내선일체와 국체명징 | 전쟁 창가를 부르면서
2. 태평양전쟁을 가는 길
황국신민의 이름으로 | 히로히토의 '국민학교' | '죄의식 없는 악인' | 스파이가 된 아이들
2장 한국전쟁은 아이들의 전쟁으로
1. 해방공간의 학교 표정
해방, 그러나 변하지 않은 점령 지대 | 탈문맹화와 분단체제 | '인민'의 살해
2. 한국전쟁과 손을 잡고
교과서는 미국을 사랑했다 | 전쟁 선전물과 아이들 | 교실로 전염된 한국전쟁
2부 세계대전과 유럽의 학교
1장 아이들을 겨냥한 제1차 세계대전
1. 신의 이름을 잘못 쓰는 아이들
'마지막 수업'과 '첫 수업' | 영웅 어린이 | 전쟁놀이의 세계
2. 학교를 지배한 전쟁문화
합의된 거짓말 | 폭력을 가르치는 역사 교육 | 집단학살과 독일 교사들
2장 2차대전과 파시즘 교육체제의 출현
1. 히틀러 시절의 학교 풍경
학교가 길러낸 1천만의 나치 아이들
2. 독일군 점령 지대의 학교 풍경
비시정부의 '프랑스 학교' | 가스실로 간 아이들 | 학교농장과 배급표
부록- 시간표들의 역사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태평양전쟁 시기는 개인적 양심을 마비시키는 전체주의 시대였다. 김교신의 격분한 눈에 개인적 윤리가 "소 돼지만도 못한" 수준의 교사들은 이만규가 거의 대부분이 해당한다고 지적한 네 번째 부류일 것이다. 친일 국민의식이 팽창하면 할수록 교사의 개인적 윤리의식은 더욱 수축되었던 것인지 모른다.
그러나 학교를 떠나지 않는 경우, 교사들은 대부분 국민의식을 강화하는 군대식 학교관습에 젖게 마련이다. 그중 일본 군대의 규율을 베낀 간호당번제도라는 것이 있다. 우리 학교사에서 오래도록 애용된 국민학교 주번제도의 원조이다. - 본문 11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