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

(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 한중일 젊은이들의 갈등 읽기)

다카하라 모토아키 (지은이), 정호석 (옮긴이)
삼인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중일 인터넷 세대가 서로 미워하는 진짜 이유 (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 한중일 젊은이들의 갈등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91097759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07-11-05

책 소개

오늘날 한중일 세 나라 내셔널리즘의 충돌, 특히나 한중일 젊은이들이 주로 인터넷을 통해 발언하는 타국에 대한 격한 비난의 이유를 묻고 있는 책. 지은이는 ‘혐한·혐중’, ‘반일/친일’이라는 기존의 결론으로 빠지는 내셔널리즘론의 타당성이 불충분함을 지적하며, '불안형 내셔널리즘'이라는 새개념으로 이 문제를 파고든다.

목차

이 책에 부치는 글_강상중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장 고도성장에 대한 재검토와 내셔널리즘의 결합
명랑한 우경화|몸짓으로서 좌/우|세대 간 대립론의 인기|당구공 모델에서 다원성으로|모든 국가에는 내부적 대립 구도가 존재한다는 상상력|중간층의 상하 분열|고도소비사회의 양의성|동아시아에서의 압축적 재현: 개발주의|고도성장형 내셔널리즘과 개별불안형 내셔널리즘

제1장 일본적 탈공업화와 세대 간 대립의 부상-일본1
1.'전후 일본의 구조 변동'과 내셔널리즘의 관계
전후 안정사회와 일본의 내셔널리즘|세대 간 대립론에서 전후 안정사회 붕괴론으로
2.일본식 경영과 회사주의가 남긴 것
회사주의의 전후 일본|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유동적인 저임금 노동의 증가|유동 고용이라는 편의적 완충제|단카이 세대의 불행
3.총중간층화에서 탈공업화로
'총중간층화의 꿈'이라는 청구서|총중간층화와 인간소외 비판|탈공업화기의 대항문화와 공공 보전
4.사회유동화의 부작용과 청년 문제의 관계
사회유동화와 신자유주의|구조조정과 아웃소싱|글로벌한 총외부노동시장화|새로운 하층 직종과 이민노동자
5.세대 간 대립을 대신하는 내셔널리즘
중국위협론과 '잃어버린 민주주의'|인터넷 내셔널리즘과 젊은이들의 자기소외

제2장 취미화한 내셔널리즘과 목표 상실감-일본2
1.'문화'를 둘러싼 낙관론과 비관론
취미가 되어 버린 내셔널리즘|잘못된 꿈인가, 주요 산업인가| 아시아 정체성인가, 상호 대립인가
2.'일본적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꿈을 좇는 후리타'까지
민주주의로서 소비생활-전사|'취미적 차이'에 갇혀 버린 문화|착한 소비자로서 젊은이|일본적인 문화연구|미야다이 신지의 제4공간론|'춤추는 젊은이들'이라는 문제
3.고도소비사회의 뉴리치와 뉴푸어
문화 좌익: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연구|보보스와 덤피: 새로운 부유층과 하강 이동층|서비스 산업과 새로운 빈곤
4.오타쿠화하는 내셔널리즘
오타쿠가 될 수밖에 없었다|청년: 생산자인가 소비자인가?|문화 개발과 내셔널리즘

제3장 포스트 민주화 시대 청년들의 향방-한국
1.반일의 삼층 구조
2.국가주의와 저항적 민족주의의 차이
분단 개발 체제 속의 민주주의에 대한 희구|박정희와 한일기본조약|유신 체제와 민주화 투쟁|저항적 민족주의의 신화화
3.IMF 위기와 중간층 시대의 종언
IMF위기가 불러온 밖으로부터의 개혁|유동화와 가족의 해체|남북 분단과 계속되는 저항적 민족주의|386세대의 '뜨거운 정치'|'친일/반일'과의 관계
4.IT강국과 청년 실업의 사이
동북아 중심 해양 국가 구상과 위로부터의 문화 산업 개발|문화 개발과 백수|한국 청년 내셔널리즘의 다원성

제4장 사회주의에서 과잉유동사회로-중국
1.반일 데모에서 보는 중국의 중간층
일본의 중국 보도|데모 참가자의 삼층 구조|중국 중간층의 의미: 전후 일본과의 차이
2.문화대혁명에서 개혁 개방으로
사회주의와 '빈곤의 평등'|문화대혁명과 공산당의 전환|다이예 청년과 상업 매매의 발생
3.국유 기업 개혁과 개인화의 진행
역전되는 종래의 사회보장제도|국유 기업 개혁과 산업 구조의 변동|과잉 유동,과잉경쟁사회
4.경제 성장이라는 '조(躁)'와 정치적 무력감이라는 '울(鬱)'
갇혀 버린 반체제의식|정보 자유화로서의 인터넷과 내셔널리즘|정치적 무력감과 배금주의|정치운동으로서 반일의 어려움

결론 사회유동화 속의 동아시아 내셔널리즘
개발주의하의 고도성장과 민주주의, 그 어긋남|보수/혁신 대립 기반의 침식과 민주주의 기능 부전|고도소비사회화라는 공통성|성장단계론의 역전|국내 문제의 연장으로서 동아시아|사생활과 내셔널리즘의 괴리

후기
옮긴이의 글
주석

저자소개

다카하라 모토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6년 일본 가나가와 현에서 태어났다. 도쿄대학교 대학원 인문사회계 연구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자퇴했다.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이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환학생을 거쳐 한국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한국, 중국, 일본을 주도니 대상으로 하여 고도성장형 개발 체제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변해 나가는 과정과 그 결화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청년 실업과 내셔널리즘 및 애국심 고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 <글러벌리제이션과 문화 변용>, <젊은이들의 노동과 생활 세계>등이 있다.
펼치기
정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세이가쿠인대학(聖学院大学) 정치경제학부 준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일본 국적법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정보학환·학제정보학부(情報学環·学際情報学府)에서 ‘김희로 사건’에 대한 논문으로 사회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운동,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관심에 바탕하여 재일한인의 다양한 실천을 통해 일본 전후사를 재해석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어 논문으로 「貧者の想像: アントニオ·ネグリにおける ‘想像’をめぐって」(2009), 「終わらない ‘金の戦争’: 近年における ‘金嬉老事件’の文化的専有をめぐって」(2012), 「空間の変形と変身の時間: デヴィッド·ハーヴェイとアントニオ·ネグリにおける社会変革と想像」(2015)이 있으며, 주요 한국어 논고로 「‘자이니치(在日)’의 만박(万博): 1970년 일본만국박람회 당시 재일한국인만박후원회의 활동」(2017)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2007)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중일 세 나라가 각각 상이한 국내 사정을 가지고 있음에도, 오늘날 사회유동화라는 불가피한 세계적 조류는 세 나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가운데 각국의 내셔널리즘이, 국가의 발전이나 국민적 통일감을 양성하기 위해 요청되는 내셔널리즘(이른바 ‘고도성장형’ 내셔널리즘)과, 사회유동화 속에 내던져진 계층의 내셔널리즘(이른바 ‘개별불안형’ 내셔널리즘)으로 점차 분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서장 : 고도성장에 대한 재검토와 내셔널리즘의 결합」중에서


한중일 세 나라에 공통적인 것은 청년층이 처한 곤란한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서구의 경험과 마찬가지로 성장을 중시하는 체제를 변혁하는 데에는 많은 청년 실업자가 양산된다. 곧 ‘불안’이 청년층으로 가장 집중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도성장형과 개별불안형이라는 서로 다른 두 유형을 구분하지 않음으로 해서, 내셔널리즘이 불안에 몰린 청년들의 도피로가 되는 동시에 그 불안이 움트는 자신의 생활문제와 유리된 일종의 사이비 문제가 되어 버린다. 이 책의 제목으로 삼은 ‘불안형 내셔널리즘의 시대’에는 이러한 역설적인 의미가 들어 있다. ― 「후기」중에서


그의 문제의식 한가운데 놓인 것은 한중일 세 나라의 내셔널리즘을 “서로 견주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저자는 이러한 비교 작업을 위한 축으로 청년 고용의 유동화라는 문제에 주목한다. 고용 문제처럼 각 나라 내부에서 생겨나는 사회 문제를 내셔널리즘과 연결시켜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의 기본 모티프이다. ― 「이 책에 부치는 글」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