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91221307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7-10-27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1. 경복궁이 지나온 길
한양 천도와 창건
법궁시대
공궐기의 경복궁
폐허 위에 다시 세운 경복궁
일제강점기의 경복궁
경복궁 옛 모습 되살리기
2. 경복궁으로 가는 길
도성
사대문과 큰길, 저자
육조거리
궁성
3. 새로 보는 경복궁
광화문
흥례문 일곽
근정전 일곽
사정전 일곽
궐내각사
경회루
강녕전 일곽
교태전 일곽
동궁 일원
자경전 일곽
향원정과 건청궁
집옥재 일원
때를 기다리는 전각들
태원전 일원
신무문을 나서면
부록
전통건축 엿보기
편액
경복궁 연표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궁궐 조영의 시작은 천리를 이 땅에 구현하겠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조선은 고려와 달리 성리학으로 무장한 개혁적 인물들이 개국했다. 그들은 성리학의 이상을 실현하는 견인차인 임금이 천하의 중심이라는 것을 궁궐 구조물 곳곳에 상징으로 나타냈다. 눈만 뜨면 시야로 들어오는 경복궁의 온갖 길상 문양, 일화문.월화문.건춘문.영추문 등 사대문은 물론이고 일월오봉도.사신상과 십이지신상.단청.전각의 배치 등 거의 모든 표현과 구조가 천리와 지리에 묻어나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p.26「한양 천도와 창건」중에서
광화문은 경복궁이 조선의 법궁이라는 사실을 한눈에 보여준다. 다른 궁의 문들은 낮은 기단에 삼문형식이다. 그러나 경복궁의 사대문(광화문, 건춘문, 영추문, 신무문)은 석축을 높게 쌓고 중앙에 홍예문을 터서 문루를 얹은, 성곽문과 같은 구조다. 다른 궁의 문이 규모 있는 시설의 대문 정도라면 경복궁 사대문은 궐문이다. ……광화문은 태조 4년 9월에 세워졌다. 창건 때의 이름은 남문(南門)이었다는 것 말고는 밝혀진 게 없고, 세종의 부탁을 받은 집현전 학사들이 광화문이라 지었다. ‘광화(光化)’는 『서경』의 ‘光被四表 化及萬方(빛이 사방을 덮고, 가르침이 만방에 미침)’에서 따온 말이다. ‘光天化日(밝은 세상과 안정된 시대)’의 줄임말로도 본다. 어둡고 혼란한 시대를 마감하고 밝고 안정된 정치로 태평성대를 열겠다는 통치자의 염원을 담은 것이다. - p.114 「광화문」중에서
근정전의 처마는 활등처럼 굽은 완벽한 호상(弧狀)이다. 거의 눈에 띄지 않을 만큼의 각도 차이를 두고 일정하게 서까래를 배열했기 때문이다. 치밀한 계산 아래 정연한 변화를 준 서까래는 깔끔한 곡선을 이루며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도리에 걸린 서까래는 위아래, 내민 머리의 위치가 모두 다르다. 호선을 이룬 이 궤적을 계속 따라가면 반대쪽 추녀와 만난다. 곧 하늘에 커다란 타원이 크려지는 것이다. 조정, 행각, 기단을 네모꼴로 조직하여 지상세계[地方]를 형상화했다면 지붕은 원의 속성을 부여하여 하늘[天圓]을 나타낸 것이다. 근정전의 구조는 천원지방, 곧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인식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다. - p.151 「근정전 일곽」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