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8899132981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8-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 문굿이 전승되는 마을 월포
1) 월포의 유래 15
2) 월포의 사회문화적 배경 17
2. 월포농악의 유래와 전승 배경
1) 월포농악의 유래 23
2) 전승계보와 역대 명인들 25
3) 야유농악(夜遊農樂) 문서 30
4) 정초의 당제와 농악 전승 36
5) 월포농악 보존회 42
3. 월포농악의 연행양상과 가락
1) 월포농악의 구성과 복색 49
2) 월포농악의 연행양상 54
(1) 당산굿 55
(2) 샘굿 63
(3) 제굿 64
(4) 문굿 70
(5) 마당밟이 78
(6) 판굿 81
3) 월포농악의 가락 91
4. 월포농악의 특징
1) 월포농악의 현장성 118
2) 월포농악의 음악적 특징 119
_ 부록
사진자료 138
정이동 상쇠의 자필가락보 163
책속에서
월포농악은 남해안지역의 대표적인 농악이다. 1994년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된 것도, 이런 대표성이 고려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경연대회에서 입상을 하고 방송과 학자들의 관심이 끊이지 않은 것도 월포농악에 대한 평가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월포농악은 토속성과 전통성이 두드러지고 예술적 짜임새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공연화된 일반 농악들과 달리 정월의 세시풍속 속에서 연행되고 있고, 주민들이 정성을 다해 전승하고 있어서 살아 있는 민속이라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 책을 위해 2007년 11월과 2008년 2월에 현지작업을 실시했다. 특히 2008년 2월 9일~10일(음력 정월 3일~4일)에는 당산제의 준비와 진행, 농악의 실연 과정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촬영했다. 이 과정에서 자부심과 애정을 갖고 민속문화를 전승하고 있는 주민들을 만날 수 있었다. 현지작업을 통해 파악한 전승배경과 연행양상을 종합적으로 기록하고자 했다.
_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