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91404557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목차
:: 자기를 위한 글쓰기, 이를 위한 변주
1장 자서전이란 무엇인가?
:: 자서전에 대하여
:: 자서전의 역사
:: 자서전, 시대별로 누가 무엇을 썼나?
:: 왜 자서전인가
:: 자서전 그리고 고백
:: 고백이 의미하는 것
:: 자서전 쓰기 확산의 배경
:: 자서전,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글쓰기
:: 자기를 배려하는 기술
:: 노년의 정체성과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2장 노년에게 자서전이란?
:: 자기의 현재를 알게 되다
:: 노년에 자서전을 쓰는 이유
1. 살아온 경험을 이야기 하다
2. 경험이 후대에 학습되기를 바라다
3. 동경의 대상에 다가서다
4. 정체성을 표시하고, 기록하다
5. 진실을 고백하다
6. 유언을 남기다
7. 자기를 배려하다
8. 자유로운 공간, 상상의 공간이 되다
3장 자서전 쓰기가 가져온 변화
:: 현재로 과거를 들이다
:: 나를 인정받게 되다
:: 나를 영원히 남기다
되짚어보기
4장 자서전 쓰기
:: 모든 사람의 삶은 작품이다
:: 책으로 쓰면 몇 권이 되는 살아온 이야기
:: 소중하지 않은 삶은 없다
:: 자서전은 기교가 아니라 담는 내용이다
:: 살아온 발자취는 지워지지 않는다
:: 기록은 곧 세상이고 역사이다
:: 왜 그리고 무엇을 쓰는가
:: 쓰기 위한 준비
:: 메모에 살 붙이며 써 나가기
:: 마무리 하며 _ 자서전 시대와 노년
:: 자서전을 위한 몇 가지 정의
자서전을 쓰기 전에
:: 자서전 쓰기 : 시기별로 무엇을 쓸 것인가?
:: 버리지 않아야 할 몇 가지 원칙
1. 자서전은 이야기하기가 아니다.
2. 자서전은 꾸며서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3. 자서전은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자서전에 대하여
1
자서전은 노년세대라는 변곡점에서 자기를 정리하고 성찰하는, 정체성 재형성의 매체이다. 즉 노년에 접어든 현재의 자기를 알게 되고, 이해하게 되는 행위이자 궁극적으로는 자기이해를 추구하는 미디어이다. 지금까지 구체화시켜보지 못했던 나의 지난 삶을 처음으로 정리하고, 성찰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그리고 나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답을 찾아간다.
2
자서전은 과거를 현재에 재현하는 작업이다. 노년에게 있어서 과거는 이상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때의 상황이 어떠했든 현재보다 나은 과거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러한 과거를 기억의 소환을 통해 현재화 시키고, 현재로 불러와 재현시키는 작업은 지금의 자기를 과거의 자기로 되돌리는 작업일 수 있다. 그들에게 자서전에서의 기억은 아름다운 것이 대부분이다. 노년에게 자서전은 단순한 과거를 기록하는 것 이상의 의미부여가 된다.
3
자서전은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매체이다. 자서전은 마음속에만 존재하는 감추어져 있던 삶의 기억을 글을 통해 드러내는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를 고백의 형식으로 본다면 자서전에 고백하는 것이 된다. 고백함으로써 심리적으로 행복을 느끼거나 괴로움을 덜 수 있다는 점도 고백의 이유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자서전에서의 고백은 죄의 고백이 아니라 그 동안 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풀어놓는 것이다. 그리고 고백은 타인을 대상으로 진실을 털어놓는 행위이고, 타인이 받아들이고 인정해주었을 때 고백은 완성된다. 그러므로 보다 많은 타인에게 나를 드러내고 싶은 욕망도 작용된다. 나를 드러내는 행위가 자신을 드러내어 보호받거나 또는 인정받고 싶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4
자서전은 나를 재구성하는 매체이다. 환경에 따라 자연스럽게 변화를 겪는 모습과는 다른, 의지적으로 나를 재구성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나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글쓰기, 타인들 속의 주체의 형성, 나의 행동규칙들을 스스로 정하고 나를 변화시키고 변모시키며 나의 생을 작품으로 만들고자 하는 숙고된 자발적인 실천이다.
5
자서전은 대화의 상대이자 타인을 향한 말 걸기이다. 자서전은 쓰는 나와 대상으로서의 내가 공존하는 글쓰기 방식이다. 현재의 글 쓰는 내가 과거의 나를 불러내는 내적소통인 것이다. 나아가 자서전은 타인을 향한 말 걸기이다. 소외되어 단절된 노년세대는 활동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도 급속하게 제한을 받게 된다. 소통에 대한 바람과는 다르게 현실은 단절되어 있음을 자서전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이며, 마주보는 소통이 불가한 상황에서 그 대안으로서 선택된 매체가 자서전이다.
6
자서전은 나를 영원히 존재하게 하는 자유의 공간이다. 자서전에는 생애 가장 건강하고, 가장 충실했던 시기의 삶이 존재한다. 자서전을 쓰는 동안 가장 아름다운 자신, 행복한 시간과 만나는 시공간 그 이상의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자서전을 쓰는 사람들에게 과거가 지금보다 나은 시간으로 기억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리고 자서전이라는 책 안에 영원히 그 모습으로 남아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