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9149319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9-01-05
목차
프롤로그 - 스스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길
혈당 측정, 혈당 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혈당 측정만 자주 해도 눈에 띄게 좋아지는 건강
혈당 측정의 경제적 가치
이상 혈당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
이상 혈당의 원인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1개월, 내 몸을 위해 집중하는 시간
혈당 관리 워크북 활용 가이드
집중적인 혈당 관리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
혈당 관리 워크북 작성 예
혈당 관리 워크북 각 항목에 대하여
제1장 가장 먼저 혈당 상태를 파악하자
1. 자가 혈당 측정기를 사용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2. 혈당 측정을 자주 하는가
3. 혈당의 추이를 점검했는가
4. 하루 동안 일정한 혈당 패턴이 만들어지는가
5. 새벽 시간의 혈당 추이를 점검했는가
6. 오후 4시경부터 저녁 식전 사이 혈당에 이상은 없는가
7. 아침 공복 혈당에 이상은 없는가
8. 아침과 점심 사이의 혈당에 이상이 나타났다면
9. 식후 혈당의 이상
10. 저혈당이 있었는가
11. 저혈당일 때 어떻게 조치했는가
제2장 운동·휴식과 혈당
12. 식후 산책을 빠뜨렸는가
13. 따로 운동을 했는가
14. 운동이 지나쳤는가
15. 하루 중 언제 운동했는가
16. 휴식은 충분한가
제3장 음식과 혈당
17. 간식이 적절했는가
18. 가공식품을 섭취했는가
19. 음식 섭취량이 모자랐는가
20. 식사 내용이 달라졌는가
21. 음식 조리법에 변화가 있는가
22. 육류 섭취가 많았는가
23. 식이섬유는 충분히 섭취했는가
24. 술을 마셨는가
제4장 인슐린과 혈당
25. 인슐린 용량이 많았는가
26. 인슐린 용량이 적었는가
27. 기저 인슐린은 하루 두 번, 또는 저녁에 사용하는가
28. 혼합형 인슐린을 사용하는가
29. 속효성 인슐린을 사용하는가
30. 주사 타이밍은 적절했는가
31. 인슐린 펜을 사용하는가
32. 사용하고 있는 인슐린이 변질됐는가
33. 인슐린 주사 부위에 운동이 집중되었는가
제5장 항인슐린 호르몬과 혈당
34. 스트레스를 받았는가
35. 커피를 많이 마셨는가
36. 담배를 피우는가
37. 스테로이드제를 복용, 또는 투여받았는가
38.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있는가
39. 생리 주기를 고려했는가
40. 성장기인가, 잘 시간인가, 운동의 영향인가
제6장 몸의 이상과 혈당
41. 감기에 걸렸는가
42. 소화 기능에는 이상이 없는가
43. 장에 탈이 났는가
44. 간 기능에 이상이 있는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음식과 혈당
인슐린 분비 기능에 이상이 없다면, 음식을 먹고 나면 부교감신경의 작용이 활발해져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섭취한 음식에서 얻어진 당을 인슐린이 세포 내로 끌고 들어감으로써 혈당을 조절한다. 그런데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만큼 음식을 제한하면 음식을 섭취하고도 부교감신경이 작용하는 게 아니라 교감신경이 작용한다. 교감신경의 작용이 활발해지면 혈당이 올라간다.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당이 모자란다고 판단되어 간에 저장되어 있는 당을 혈액 내로 꺼내는 것이다.(146쪽)
인슐린과 혈당
중간형 인슐린이 들어 있는 혼합형 인슐린을 포함하여, 중간형 인슐린 등의 기저 인슐린을 하루 두 번 사용하면 24시간 가까이 작용하는 약효 시간이 겹치면서 필요하지 않은 시간대에 약효가 강하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저혈당이 많아지고, 저혈당이 되지 않기 위한 저혈당 반동 현상으로 고혈당도 많아져, 결국 하루종일 혈당이 매우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혈당을 예측하기 어려워 이상 혈당에 대처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혈당이 불안정하고 대처하기 어렵다는 것은 그만큼 급작스럽게 혈당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또 저녁에 사용하는 기저 인슐린 때문에 새벽 저혈당이 빈번하게 발생한다.(177쪽)
가장 먼저 혈당 상태를 파악하자
혈당 측정기에 나타난 숫자는 그 순간만의 혈당만을 얘기해줄 뿐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만약 혈당 측정기에 보여지는 숫자만으로 이후 행동에 대한 결정을 한다면 잘못된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혈당이 260mg/dl 정도 되면 쉽게 인슐린을 추가 주사하려고 하지만, 어떤 경우, 그 전 인슐린의 작용에 의해 혈당이 급하게 내려가던 중에 측정된 결과가 260mg/dl이었다면 추가 주사 대신 혈당이 더 내려가기까지 기다렸다가 저혈당이 되기 전 100mg/dl대 중후반에서 간식을 해야 한다. 지금 나타난 혈당 수치만 보지 말고 반드시 혈당의 추이를 보도록 하자.(중략) 혈당 측정을 통해 혈당 상태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하루 7~8회 이상의 혈당 측정을 통해 앞서 측정한 혈당 수치와 현재의 혈당 수치를 비교해봐야 한다.(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