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88991591455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0-05-24
책 소개
목차
Ⅰ. 감정
*여행을 떠나기 전에 알아둘 것들
감각/정서/감정/기분/기질
1. 나는 왜 이럴까?
2. 정서적 문맹에서 마음의 지성에 이르기까지
1단계 | 정서의 마비상태_모든 관심을 외부로 집중한다
2단계 | 감각을 인식함_거리를 두고 자신을 관찰한다
3단계 | 혼란스러움_뭔가 느끼지만 이유를 알 수 없다
4단계 | 표현하기_감각을 인식하고 구별한다
5단계 | 자각_나를 이해한다
5단계 | 공감_타인을 이해한다
7단계 | 상호작용_정서를 조절할 줄 안다
3. 느끼지 않기 위한 나의 전략
4.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여라
5. 어떻게 내가 슬프거나 화난 사실을 알 수 있지?
6. 정서의 기능과 표현
두려움 / 공포 / 화 / 격분 / 슬픔 / 고통 / 역겨움 / 기쁨 / 사랑
7. 우리를 인도하는 이미지
Ⅱ. 기생감정
1. 탄성적 반응_어울리지 않는 과민반응
2. 대체감정_나에게 익숙한 정서
3. 투사_숨겨진 욕구
4. 우표수집_감정 수집하기
5. 걱정, 불안, 공포증, 공황_과거의 상황에 대한 정서들
6. 뜨거운 감자 또는 대물림_세대를 뛰어넘는 정서적 문제
7. 전염_정서적 전염현상
8. 정서의 치유방법은 정서를 받아들이는 것
9. 정서장애의 원인 찾기
10. 우울증은 갈등 위에 놓인 베일
Ⅲ. 직장생활에서 항상 자기감정을 나타낼 수 있을까?
1. 솔직하게 표현할 줄 알아야 성공한다
2.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지?
3. 기쁨이 길을 가리켜준다
4. 당신은 야망이 있는가?
5.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기
6. 팀의 관계
7. 네 가지 동사군 사이에서 균형잡기
8. 기분좋게 화내는 방법
9. 당신의 상하관계는?
10. 힘겨루기에서 벗어나기
11. 상대방의 감정에 진심으로 귀 기울여라
Ⅳ. 커플에게 도사린 함정들
1. 우리 커플의 건강진단
2. 사랑 혹은 의존?
3. 사랑을 선택하는 기준_무엇이 우리를 서로의 품에 안기도록 밀어넣는가?
애정결핍 채우기 /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 오랫동안 억눌러온 화를 분출하기 / 어린시절의 나를 치유하기 / 부모님이 실패한 것을 성공하기 / 충성 맹세 지키기 / 부모님과의 관계에 따라 사랑의 정의 도출하기
4. 원망을 쌓아가기
5. 말싸움과 힘겨루기
6. 남자와 여자의 상호보완적 놀이
7. 원한과 복수심
Ⅴ. 커플 간 사랑의 조화
1. 다른 사람의 사랑을 받아들이려면 먼저 자기 자신부터 사랑하라
2. 행복의 조건_안전감과 자신에 대한 통제력
3. 타인에 대해 판단하지 않으면서 자신을 표현하기
4. 친밀감
5.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는 사랑의 말
6. 당당하게 ‘아니오’라고 말하자
7. 불만을 표현하기
사실 / 당신의 느낌 / 당신의 욕구 / 당신의 요구 / 상대를 위한 동기부여
8. 자기중심적 해석과 진실의 씨앗
9. 공감하며 듣고 정서를 공유하기
10. 사랑 그리고 섹스? 사랑 또는 섹스?
11. 욕망과 쾌락
12. 성실? 외도?
Ⅵ. 우리 누구에게나 부모가 있다
1. 나를 기쁘게 해주겠다는 엄마와 맞서기 혹은 부모의 온갖 간섭에 대항하기
2. 당신은 자유롭게 웃고 춤출 수 있나?
3. 억제된 정서를 해방시키기
4. 부모를 벌하기 위한 삶
5. 내안의 어린아이 치유하기
6.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언젠가는 죽는다
Ⅶ. 정서를 관리하는 몇 가지 방법
1. 나는 호흡한다
2. 나는 외부에 관심을 집중한다
3. 나는 나 자신을 분리한다
4. 나는 긴장을 푼다
5. 나는 명상한다
결론
책속에서
도대체 나는 왜 이럴까?
1단계 정서의 마비상태 | 모든 관심을 외부로 집중한다
알도는 아무 것도 느끼지 않는다. 그의 정서는 마비되어 있다. 마취 주사를 맞은 사람 같다. 그는 ‘방탄막 속에’ 있다. 벽 하나가 그와 그의 실제 감정 사이를 가로막아 둘을 분리하고 있다. 어떠한 정서도 그의 의식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심지어 특별한 감각조차 없다. 알도는 생각하고, 추상적 개념을 다룰 줄 안다. 그는 모든 일에 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어떠한 정서적 영향도 받지 않고 상황을 직시한다.
그렇다면 알도는 뛰어난 자기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는 걸까? 실상은 거부 혹은 억제일 뿐이다. 하지만 알도 자신은 모든 일을 냉정하게 바라볼 수 있다고 확신한다. 자기 자신을 마취시키는 사람은 자신이 ‘강하다’는 인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사람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과도 분리되어 있다.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지?
다른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직장에서 자의식을 갖는 것은 연대감과 자유를 준다. 자의식의 개념은 자기 자신의 몸, 감각, 정서, 감정, 생각, 가치를 의식하고, 자신의 과거와 미래를 의식하고, 다른 사람들 가운데서 그리고 세상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의식하고, 자신의 행동, 생각, 감정이 미치는 영향을 의식하고, 자아와 타인간의 상호의존성을 의식하는 것을 포괄한다.
자의식은 무엇보다도 먼저 가기 몸을 의식하는 것, 자신의 태도와 자세가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의식하는 것이다.
사랑 혹은 의존?
“그 사람은 나를 사랑할까?” 리비아는 불안한 마음으로 자문해본다. 이러한 질문은 자신감, 내적 안전감, 자기애가 부족한 모든 남녀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다. 기이하게도 이들은 다른 사람에 대한 자신의 감정에 대해 스스로 묻기 전에,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품고 있는 사랑에 대해 묻는다. 사실은 “나는 그 사람을 사랑하는 걸까?”, “나는 그 사람에게 베풀며 하나의 관계를 만들어나갈 준비가 되어 있는가?”, “내가 이 관계에서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들이야말로 커플의 미래를 위해서 더욱 중요하고 적절한 질문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