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1652309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08-04-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주요참고문헌
색인
01 '성(姓)'이란 무엇인가?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성
신 유럽의 성문화(姓文化)
성명의 구성과 중간이름(미들 네임 middle name)
창성의 기본이 된 지리적 명칭
직업 성씨의 종류
서양인은 별명을 성(이름)으로 사용한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성을 물려준다
성씨가 없는 민족도 있다
인명과 관련된 미신과 주술
02 영어권의 성
지명·지형에서 시작된 성씨
O-와 Mac-은 원주민 켈트의 상징
켈트를 탄압한 잉글랜드의 '아들들'
세계 제일의 성을 자랑하는 미국인
성의 미국화 현상
이민대국에서 인공성(人工姓)이 생겨났다?
03 유럽인이 성씨
북방게르만에서 유행했던 부칭사
귀족표시였던 전치사
게르만과 라틴이 대항하는 프랑스권
로마문명을 계승한 스페인의 인명
별명전통을 계승하는 이탈리아
슬라브 세계에서 바라본 성명구성
애칭에 집착하는 러시아인
성별에 따라 바뀌는 성
서 슬라브권 인명의 특징
동 아시아적인 표기법을 사용하는 헝가리의 비밀
매매의 대상이었던 성
유태인 성의 유래와 특징
04 그리스도교도의 세례명
성서와 성인을 배경으로 한 세례명
자유롭게 이름을 짓는 사람들
'대지(大地)'에서 생긴 그리스명 '존'
산타크로스의 유래
격변화가 낳은 우스(us)투성이 로마인
로마인의 인간다운 가명
켈트 영웅담으로 시작되는 아서왕 전설
게르만 인이 가져온 인명
전통을 고집하는 서양의 인명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천하는 인명
05 동아시아의 성명
상고시대부터 이어진 일본의 성명역사
세계 굴지의 다채로운 성
신화시대부터 있었던 중국인의 성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씨 성
근친혼을 금지하는 유교정신의 붕괴
고대 중국에서 들어온 성의 종류
성관습이 없는 라미문화권
문화가 교차하는 동남아시아
중국 성 문화와 비슷한 베트남
애칭을 중요시하는 태국,성이 없는 미얀마
성이 없는 말레이시아 문화권
06 기타 지역의 성명
혼돈되는 남아시아의 성명문화
지역 색깔이 짙은 인도인의 성
이슬람권의 장대한 인명구성
유일신으로 귀의한 많은 인명들
이슬람에도 있는 지명성과 별명성
성의 개념이 희박한 아프리카
출생에 얽힌 달력식 명명법
그리스도교 세례명의 침투
태평양제도의 성명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