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창의 교육
· ISBN : 978899173154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07-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정신력 강한 아이가 성공한다
1장 자신의 강점을 잘 알면 목적의식도 강하다
01 비전을 품으면 아이의 눈빛이 달라진다
02 아이가 몰입하는 순간을 찾아라
03 아이의 장점들을 통합하여 최고의 강점으로 업그레이드하라
04 슬럼프에 빠졌을 때는 기본에 충실하라
05 약점도 긍정적인 힘이 될 수 있다
06 아이의 내면에 불길을 일으켜라
07 최고의 자신을 기대하게 만들라
2장 자신의 강점을 잘 알면 목적의식도 강하다
08 성공한 경험이 자신감을 준다
09 자신감도 자기 선택에 달려 있다
10 긍정적인 혼잣말은 자기암시를 준다
11 성공과 승리의 순간을 머릿속에 이미지로 그려라
12 최선을 계획하되 최악을 대비하라
13 챔피언처럼 자신 있게 행동하라
14 회복탄력성이 낙관주의자로 만든다
15 위대한 롤모델을 모방하라
16 탁월한 자신을 예상하라
3장 집중력 높은 아이가 성취력도 탁월하다
17 지지 않으려고 하지 말고 이기는 데 집중하라
18 순간에 완전히 몰입하라
19 과거의 실수를 마음에서 떨쳐내라
20 생각을 줄이고 자동적으로 반응하라
21 창조적인 몰입 상태로 들어가라
22 정신력을 충전하고 집중력을 높여라
23 생산적인 습관이 자신감을 살려준다
4장 긍정의 힘을 가진 아이는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24 두려움에 맞서면 실패도 뛰어넘는다
25 실패도 연습하면 극복할 수 있다
26 아이의 별명에 무한한 가능성을 실어라
27 아이의 불안한 압박감을 역이용하라
28 남의 시선이 아니라 남에게 관심을 가져라
29 비이성적인 믿음을 버려라
30 아이의 징크스도 긍정적으로 이용하라
31 훈련도 실전처럼 임하라
32 아이의 불안을 재조건화하라
5장 자기주도적인 아이가 끈기 있게 도전한다
33 탁월해지려면 시간과 수고가 필요하다
34 어떤 상황이라도 유연하게 즐겨라
35 삶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라
36 아이를 위한 최고의 멘토를 찾아라
37 목표를 두고 구체적으로 계획하라
38 좋은 스트레스가 아이를 성장시킨다
39 탁월해지려면 헌신이 필요하다
6장 정신력 강한 아이가 감정 조절을 잘한다
40 슬럼프에서 억지로 빠져나오려고 발버둥치지 마라
41 압박감 속에서도 즐거움을 찾아라
42 정직함을 귀중하게 여겨라
43 다양한 활동으로 균형을 유지하라
44 경쟁과 실력 사이의 균형을 맞추라
45 아이의 자존감을 적립하라
46 압박감으로 불안해지면 느리게 행동하라
47 압박감이 심할 때는 휘파람을 불어라
48 통제할 수 있는 것에만 집중하라
49 아이를 더 많이 웃게 하라
50 결단력을 가지고 강하게 마무리하라
옮긴이의 글_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법을 일깨워주는 책
리뷰
책속에서
몰입의 순간들을 기록하는 수첩을 만들어라
몰입의 순간은 개인마다 각기 다르다. 그래서 아들은 흥이 나야 몰입하는데, 딸은 침착해야만 몰입할 수 있다고 말하는 부모도 있다. 몰입의 순간에 들어서려면 각자 그 순간까지 이르는 길이 표시된 자신만의 지도를 만들어야 한다. 작은 수첩을 하나 마련해서 일 년 동안 아이가 몰입의 순간에 도달할 때마다 그 경험을 기록하도록 격려하자. 이때 몰입을 했던 시간과 장소까지 전부 기록해야 한다. 그 순간에 했던 생각과 느꼈던 기분도 빠뜨려서는 안 된다.
몰입의 순간들을 기록한 수첩은 여러모로 많은 도움이 되는데, 무엇보다 아이가 몰입하는 데 자신만의 특정 패턴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평소보다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도 이 수첩을 읽으면 자신의 정신력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수첩 자체는 몇 푼 나가지 않지만 몰입의 기록이 쌓여가는 무게만큼 이 수첩은 황금과 같은 가치를 지닐 것이다.
아이 자신이 주인공인 신문 기사를 쓰게 하라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업적이 보도된 신문 기사를 스크랩북에 모아둔다. 아이가 신문에 나온 적이 한 번도 없다면 아이에게 직접 자기 기사를 만들어보게 하자(아이의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
컴퓨터로 실제 신문 기사와 비슷하도록 페이지를 꾸민다. 왼쪽에는 신문기자처럼 3인칭 시점으로 아이에 관한 기사를 채우고, 오른쪽에는 그 기사에 어울리는 아이의 사진을 배치한다. 사진 하단에는 눈길을 끌 만한 설명을 단다. 컴퓨터가 없으면 종이에 직접 써도 괜찮다. 아이가 스스로 유명 인사가 된 양 자신이 보도된 기사를 보고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읽다 보면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토머스 에디슨과 짐 애벗은 낙관주의라는 빛을 밝혀서 성공으로 가는 길을 환하게 비췄다. 유리컵에 물이 반이나 찼다고 보는 사람은 낙관주의자이며, 물이 반이나 비었다고 보는 사람은 비관주의자라고 한다. 이 비유가 전형적이긴 하지만, 심리학자들은 낙관주의자와 비관주의자가 실패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설명한다고 생각한다.
낙관주의자들은 실패에 대해 소위 TUFTemporary, Unique, Flexible 전략을 따른다는 점에서 회복탄력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낙관주의자는 실패하더라도 그 실패가 ‘일시적temporary’이라고 믿는다. 낙관적인 학생은 수학 시험을 망치고 나면 시험을 보는 날은 자기 기분이 별로였지만, 다음 날은 더 좋아지리라고 믿는다. 낙관주의자는 실패를 ‘이번만unique’이라고 생각한다. 낙관적인 학생은 시험을 망치더라도 이번 시험 범위에 강하지 못했을 뿐 다음번 시험 범위에서는 다를 것이라고 믿는다. 다음 범위에서 시험을 칠 때는 자신이 잘하리라고 믿는 것이다. 낙관주의자는 실패에도 ‘융통성flexible’이 있다고 생각한다. 낙관적인 학생은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는 등 이전의 자기 태도를 바꾸면 다음에는 실패할 확률이 줄어든다고 믿는다. 가령 다음 시험에 대비해서 과외 선생님을 구하면 좋은 성적을 거두는 데 성공하리라고 믿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