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창의적사고/두뇌계발
· ISBN : 9788991958876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4-03-02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창의성은 과학이다/4
1장. 창의성의 방법론, 창의성의 기술 /11
1. 창의성이 필요하다/13
1) 고전적인 문제해결방법 - 시행착오 /13
2) 창의성을 활성화해 주는 방법들의 등장 /24
2. 창의성은 과학이다 -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트리즈) /34
1) 발명의 법칙에서 창의성의 법칙으로 /34
2) 트리즈 활용과 효과 /42
3) 창의성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을까? /52
2장. 창의적 문제해결의 첫 번째 열쇠 - 시스템적 사고/55
1 문제를 보는 시스템적 사고 - 모든 것은 모든 것과 연관되어 있다 /57
1) 9개 관점의 다차원 사고 /57
2) 시스템적 상호 연관성 - 모든 것은 모든 것과 연관 되어 있다 /61
2. 시간 관점에서의 시스템적 사고 /67
1) 미래의 관점에서 시스템을 본다는 것 /67
2) 현재의 시스템을 보는 관점 /73
3) 과거의 관점에서 시스템을 본다는 것 /77
3. 문제의 시스템적 분석 /80
1) 연관 관계를 찾아라 /80
2) 문제가 최초로 발생한 시간과 공간을 찾아라 /84
4. 시스템적 사고를 위한 훈련 - 병아리를 엄마 품으로 안전하게
보내줄 방법은? /88
3장. 창의적 문제해결의 두 번째 열쇠 - 자원/91
1. 자원의 이해 - 모든 것은 활용될 수 있다 /93
1) 자원의 정의 /93
2) 자원의 종류 /101
3) 장(MATCEM)의 활용 /108
4) 물질과 장의 결합 /112
2. 자원의 활용/114
1) 자원의 분류와 활용 방법 /114
2) 자원 활용의 사례 /116
3. 자원 활용을 위한 훈련 - 유리병 검사 /120
4장. 창의적 문제해결의 세 번째 열쇠 - 이상적 해결안 /125
1. 이상적 해결안의 이해 - 문제가 스스로 해결되도록 하라! /127
1) 이상적 해결안의 정의 /127
2) 이상적 해결안을 이용한 문제해결의 효과 /134
3) 이상적 해결안과 기술 시스템의 발전 /137
2. 이상적 해결안의 활용 /140
1) 이상적 해결안과 창의적 아이디어의 발상 /140
2) 이상적 해결안과 자원 선택에 의한 다양한 아이디어의 발상 /146
3. 이상적 해결안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훈련 /150
5장. 창의적 문제해결의 네 번째 열쇠 - 모순 /155
1. 모순의 이해 -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 /157
1) 모순의 정의 /157
2) 모순의 세 가지 분류 /161
2. 모순의 해결 방법 /166
1) 물리적 모순 해결의 3가지 원리 /166
2) 40가지 발명원리 - 기술적 모순 해결의 원리 /177
3) 모순 해결 원리의 적용 방법 /194
3. 모순의 규명과 해결 훈련 /196
6장. 창의적 사고의 기술을 배운다는 것은 /201
1. 왜 트리즈인가? /203
2. 트리즈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 트리즈의 문제해결 도구들 /207
3. 트리즈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 기술 분야를 넘어서는 트리즈 /210
책속에서
1. 왜 트리즈인가?
인류는 자연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창의적인 활동을 해왔다. 도구를 사용해 사냥을 했으며, 나뭇가지를 이용해 땅을 파는 등의 활동이 그것이다. 이것은 자연 속에서 생존을 위한 인간의 문제해결 방법이었다. 동시에 보다 더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는 것 혹은 땅을 파면서 나뭇가지보다 더 쉽고, 더 깊게 땅을 팔 수 있는 도구를 생각하는 것과 같이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 왔다.
인류는 초기에는 자연을 모방하면서, 그 다음에는 자연을 응용하면서, 인공의 시스템을 만들었고, 이렇게 문명이 시작되었다. 인류가 만들어낸 인공의 시스템은 과학과 기술의 이름으로 발전해 왔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발전의 속도는 빨라졌으며, 그 변화의 성질은 가히 혁명적이 되었다. 그리고 이 모든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은 바로 인간의 창의성이다.
오랫동안 창의성은 신비의 영역이었다. 이것은 신이 주는 영감이며 뮤즈였다. 신의 선물이자, 신의 의도에 과학이 개입할 여지는 없었다. 창의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세기부터 시작된 '창의성은 유전인가? 환경인가?' 라는 논쟁 속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한편에서 창의성은 인간의 무의식의 작용이자,
발현이 되었다. 프로이트는 창의성이 무의식의 세계에서 상징적으로 만들어지는 아이디어부터 나온다고 주장했다. 또 한편에서 창의성이란 사고와 경험의 통합으로 형성되는 정신의 한 형태이며, 새로운 관점으로 형태를 바라볼 때 창의성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창의성은 심리학의 영역에서 연구되고 발전되었다.
20세기 들어와서 창의성은 이제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제 그 능력을 계발하기만 하면 누구나 창의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 처음 이 창의성은 지능의 일부였으며, 뇌의 게으름(심리적 관성이나 고정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에서의 자극과 충격을 주면 각성되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모든 창의적 행동이란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적 요인들에 의한 복합적인 상호작용이라고 주장한다.
20세기 중반에 등장한 트리즈는 심리학적 접근을 기본으로 하는 기존의 창의성의 개념과는 차별화된 배경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창의성 연구가 인간의 심리, 인간의 주관성을 강조했다면, 트리즈는 기술 시스템 발전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와 인간의 창의적인 결과물인 발명특허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과정을 일반화한 것이다.
트리즈는 자연의 법칙과 과학기술의 발전 법칙 그리고 이 세계를 인식하는 인간의 철학적 사고 방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트리즈에는 이 세계는 모순의 발견과 그 모순의 극복을 통해 발전한다는 변증법적 사고가 녹아 있다. 이 모순 극복의 방법을 자연의 법칙과 기술의 발전 법칙을 토대로 일반화하였다. 트리즈에서는 모든 사물이나 모든 문제를 독립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모든 물체, 모든 문제를 다차원의 관계 속에서 전체적으로 바라보는 시스템적 사고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한다.
트리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을 제안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는 대신 체계적인 사고의 과정을 제안한다. 이 체계화된 사고의 과정을 따라 문제를 해결한다면 충분히 창의적인 해결 방법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많은 사례와 실험으로 증명해 보였다. 이것이 지금 트리즈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유이다.
트리즈의 체계적 사고를 이루는 커다란 줄기는 시스템적 사고, 자원, 이상성과 이상적 해결안, 모순의 이해와 그 해결, 그리고 시스템 진화법칙이다. 우리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이러한 개념을 따라 사고한다면 충분히 효율적이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특히 강조할 것은 트리즈란 결코 인간의 창조적 능력과 지식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란 사실이다. 트리즈는 단지 창의성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이미 보유하고 있는 지식 활용의 효과를 높여주는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트리즈는 사고의 기술이다. 따라서 기타 다른 직업이나 학문과 마찬가지로 기초에 대한 진지한 학습과 독자적으로 과제 해결을 하는 실전훈련이 요구된다. 습관처럼 굳은 사고의 방식을 바꾸는 것은 생각처럼 쉬운 것이 아니며, 트리즈 기법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의 힘이 필요하다. 이 능력의 계발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국제트리즈협회(MATRIZ)에서는 트리즈를 기본에서부터 전문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준까지 구분하여 트리즈 전문가 Level별 훈련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트리즈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훈련하는 트리즈 전문가 1Level 프로그램은 16~24시간의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트리즈의 문제해결 도구들의 이해와 활용, 실습을 내용으로 하는 트리즈 전문가 2Level 프로그램은 40~80시간을 제안한다.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 개념과 각각의 문제해결도구들을 체계적이며 순차적으로 활용하여 실제로 현장의 실제 기술 문제를 해결하는 트리즈 전문가 3Level 교육은 80 시간 이상을 권장한다.
트리즈 전문가 4Level과 5Level은 실제 현장에서의 트리즈 활용 경험과 실적을 위주로 심사하여 결정한다. 4Level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트리즈를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특허를 취득하였거나, 실제 생산현장에 적용한 성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5Level 전문가는 트리즈 마스터로서, 트리즈의 과학적,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공적으로 결정된다. 물론 이것은 알츠슐러와 트리즈 전문가들이 트리즈를 배우고 활용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일반적인 기준이다. 중요한 것은 트리즈라는 사고의 기술은 노력 없이 쉽게 얻어지는 것이 결코 아니라는 사실이다.
창의성의 기술은 누구나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창의성이란 어느 한 순간에 얻게 되는 통찰력이나 영감이 아니라 노력과 훈련의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