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196560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7-05-21
책 소개
목차
책을 열며
제1부 역사에의 시선
1.빗나간 역사의식
극단의 20세기 / 잘못 세워진 나라 / <해방전후사의 인식> 비판 / 역사교과서의 현대사 인식
2.민족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자
근본주의적 사고방식 / 백두산은 언제부터 민족의 영산이었나? / 민족이라는 말의 유래 / 민족주의의 국가이념화 과정 / 민족주의의 폐해
제2부 문명사의 대전환
3.조선왕조는 왜 망하였나
문화적 민족주의 비판 / 환경 파괴와 경제 위기 / 성리학의 정치원리 / 중화제국의 국제질서 / 대전환
4.식민지수탈론 비판
역사란 무엇인가? / 국사교과서의 수탈론 / 토지수탈설이 만들어진 과정 / 만들어진 기억의 상업화
5.식민지근대화의 올바른 이해
한용운의 자유의 논리 / '영구병합'을 위한 근대의 이식 / 신분제의 해체 / 근대적 경제 성장 / 사유재산제도의 확립 / 수탈의 메커니즘
6.협력자들
제국주의의 조건 / 중인 출신의 협력자들 / 협력과 저항의 역설 / 친일 내셔널리스트 / 제국의 이등시민으로서
7.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실체
위안부와 정신대는 다르다/ 혼동의 기억이 성립하는 과정 / 기억의 집단화, 공식화 / 일본군 위안소의 역사 / 위안부들의 처지 / 그녀들은 어떻게 끌려 갔던가? / 일본군의 전쟁범죄
8.그날 나는 왜 그렇게 말하였던가
무엇이 문제인가? / 군에 의한 여성의 성 착취(1) / 군에 의한 여성의 성 약취(2) / 군에 의한 여성의 성 약취(3) / 식민지 지배라는 수준 / 남성의 가부장적 지배라는 수준 / 그날의 토론회
9.일제가 이 땅에 남긴 유산
개발의 뜻 / 물적 유산 / 제도적 유산 / 인적 자본 / 충성과 반역의 정신세계
제3부 나라세우기
10.해방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갑작스런 해방 / 도움은 어디에서? / 독립운동의 실태 /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구조 변동 / 해방의 세계사적 의의
11.분단의 원인과 책임
역사교과서의 난폭한 서술 / 해방 공간의 사회 실태 / 소용돌이의 중앙 정치 / 분단의 선구는 어느 쪽에서? / 천황제를 계승한 수령체제
12.건국의 문명사적 의의
헌법을 읽자 / 자유민주주의 국가 / 자유시장 경제체제 / 농지개혁 / 애비는 종이었다 / 소경영적 개혁 / 전통에 바탕을 둔 문명사의 전환
13.이승만 대통령 바로 알기
중상모략 / 개종과 자유민주주의 / 그의 정치적 자산/ 농지개혁과 이승만 / 1952년 부산 정치파동의 재해석 / 칼을 물고 뜀을 뛰다 / 문명개화파의 적자
14.반민특위를 되돌아 봄
반민특위의 좌절 / 분열의 근원으로서 친일파 문제 / 박흥식의 재판기록 / 역사의 아픔을 정신혁명으로
15.한국전쟁은 누가 왜 일으켰나
전쟁의 상처/ 커밍스의 수정설/ 모스크바 문서가 이야기하는 전쟁의 진실/ 일제가 북한에 남긴 군사공업/ 끝나지 않은 '나라세우기'
16.1950년대 재평가
1950년대의 암울/ 절대 가난의 역사적 업보/ 교육혁명 / 마지막 소농사회
17.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위하여
그 고집불통의 합리성 / 원조와 수입대체 공업화 / 도덕해이를 피하다 / 국제환경은 변하는데 / 그의 시대는 저물고
맺음말 : 역사로부터의 자유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다소 극단적인 이야기가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인식(해방전후사의 인식)>과 그에 입각한 현행 역사교과서를 그냥 두고서는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관념적이고 후진적인 역사의식으로는 선진국 진입에 요청되는 정신문화 영역에서의 도약을 기대하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p30 중에서
제가 보기에 이승만의 철저한 반공주의는 동시대의 다른 정치가에게서 쉽게 찾을 수 없는 매우 이례적인 현상입니다. 개인주의나 자유주의가 결여된 우리의 사상적 전통을 생각할 때 그러하다는 말이지요. 전통 성리학의 세계에서는 백성을 골고루 잘 살게함을 정치의 최고 미덕으로 간주하였습니다. 그런 연유로 전통 성리학과 공산주의는 처음부터 일정한 친화성을 가졌다고 불 수 있습니다.-p238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