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중년의 자기계발
· ISBN : 978899205574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9-06-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서장 ‘100세 시대’에 집중되는 관심과 우리의 미래
노년의 작가들이 쓴 책이 인기를 누리다
원하지 않아도 누구나 오래 사는 사회
건강한 장수 노인들을 만나고 감탄한 것
1장 장수하는 사람들의 일상생활
딸은 죽고 사위와 함께 사는 100세 여성 A씨
여든이 넘은 후 새로운 삶을 시작한 B씨
앞으로 뜨개질을 배우고 싶다는 남성 C씨
또 다른 건강한 노인들
2장 나이 드는 것이란
‘나이’라는 숫자의 의미
내가 벌써 늙은이라고?
나이 든 사람이 ‘노인’이 되는 순간
3장 가족이 노후를 책임져주던 시대는 끝났다
인생의 마지막은 스스로 준비해야 한다
‘자식들이 날 돌봐주겠지’라는 어긋난 기대
독거노인들이 부딪힐 수 있는 위험과 대비책
노인에게 가족의 의미
4장 노후 준비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인생의 마지막 단계를 위한 준비
우리가 몇 살까지 살게 될까?
인생 마무리 준비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5장 노쇠해 쓰러지게 될 때의 위기 대처법
건강한 시기와 노쇠한 시기의 차이
철저하게 쇠약 준비를 한 사례 1
철저하게 쇠약 준비를 한 사례 2
6장 방관과 불안감 대신 무엇이 필요한가
혼자서는 준비할 수 없는 것
제도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종장 고령화 시대와 ‘인생 마무리’
고령자 가족의 형태와 준비 의식
노인 문제는 우리 모두의 미래다
덧붙여―인생 마무리 준비의 구체적 예시
부록―인생 설계표를 작성할 때 참고할 항목
나가며
옮긴이 후기―나는 편안한 내 집에서 죽을 때까지 웃으며 살고 싶다
리뷰
책속에서
90세까지의 생존 비율을 비교해보면 1990년에는 여성 26.3 퍼센트, 남성 11.6퍼센트였으나 2017년에는 여성 50.2퍼센트, 남성 25.8퍼센트로 상승했다. 이제 여성 두 명 중 한 명, 남성 네명 중 한 명은 아흔 살까지 사는 시대가 되었다(그림 1 참조).
그리고 가족이 노후를 책임져줬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가족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의지할 가족이 없는 독거노인 세대, 노인 부부로만 구성된 세대가 증가했으며 자녀와 함께 사는 고령자 세대는 대부분 미혼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다. 결혼한 자녀의 가족과 생활하는 고령자는 이제 소수파가 되었다.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자기 혼자만의 힘으로 80대, 90대, 100대의 초고령기를 살아내야 하는 사람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여성인 A씨와 B씨는 젊어서부터 해왔던 예전의 성별 역할을 의식하고 집안일을 계속 수행하고 있었다. 현재도 그 능력을 발휘하여 하루 일과를 짜고 친족이나 지역 주민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남성인 C씨는 ‘건강을 위해서’, ‘아내에 대한 배려’ 로 집안일을 하고 있다. 사회 참여도 한쪽 눈이 보이지 않는 자기 체험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라는 동기 에서 시작했다.
이것을 남녀 차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무척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여성은 젊어서부터 익숙한 자기 역할의 연장선상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초고령기를 살아간다.
반면 남성은 직업을 갖고 한 가정의 가장 역할을 담당하며 집안일이나 지역활동과는 무관한 삶을 살아왔다. 그런 남성이 초고령기에 기력 넘치는 생활을 하고 싶다면, 익숙하지 않은 영역 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자신의 의식과 태도를 바꿔야 한다.
건강 유지나 사회적 교류, 삶에 위안이 되는 즐거운 활동. 삶의 기력을 북돋워주는 이런 활동들을 일과에 포함시켜 ‘습관 나이’로 사는 사람은, 달력 나이를 뛰어넘어 습관 나이로 살게 된다. 그리고 ‘나는 오늘 이 일과를 달성했으니 아직 늙지 않았다’라는 형태로 자신의 나이를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