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2151092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07-04-01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_폴 드 만과 탈구성적 텍스트 이론
왜 드 만인가?
드 만의 비평 이론적 입지
드 만의 경력
드 만과 탈구성
이 책에 관하여
01 문학의 언어와 오독 - 맹목과 통찰
맹목과 통찰
문학과 언어 : 하나의 주석
수사학
독서의 새로운 정의
「맹목의 수사학 : 자크 데리다의 루소 읽기」
오독과 탈구성
02 수사학, 독서 그리고 탈구성 - 독서의 알레고리
독서의 알레고리
철학과 문학
알레고리와 내러티브
텍스트와 문법
『독서의 알레고리』속의 열쇠의 게기
고백
변명
03 불가능의 경험으로서 탈구성 - 이론에 대한 저항
탈구성의 경험
'이론에 대한 저항'
언어에 대한 저항
문학적 이론의 통찰
저항으로서의 이론
'이론에 대한 저항'과 의미의 사슬
'번역자의 과제'
번역자의 실패
04 탈형상, 탈외형, 자서전 - 낭만주의 수사학
낭만주의에 관한 에세이들
'탈형상화된 셸리'
탈형상
'탈외형으로서의 자서전'
자서전과 픽션
자서전과 프로소포페이아
05 정치, 철학, 영상 - 미학적 이데올로기
정치적 이론가 드 만
드 만의 정치학
문자의 물질성
텍스트에서 자유로운 것은 없다
미학적 이데올로기
독서라는 물적 사건
06 저술과 책임 - 드 만의 전시 언론 활동
드 만 스캔들
폴 드 만, 헨리 드 만, 전시 벨기에
드 만의 언론 활동
폴 드 만의 전체 저작 읽기
드 만 이후
'드 만 이후'의 세 가지 의미
드 만을 산포함 : 존슨ㆍ브룩스ㆍ스피박
기계로서의 텍스트
독서의 윤리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우리는 드 만이 독서를 탈구성하는 것을, 텍스트 속의 의미 생산자로서 독자를 염두에 두는 소박한 관점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드 만은 한 텍스트가 지닌 의미의 원천으로서 단순히 독자를 저자보다 우위에 두는 것은 아니다. 이는 관습적 문학비평의 특징인 저자- 독자의 이원성을 산출하는 독서의 자기 확신적 모델을 대체하고자 그 이원적 대립의 방향을 전도시킨 데에 불과하다.-p47 중에서
번역과 원전의 관계는 유사성이나 복제의 관계가 아니다. 번역은 모방이나 달리 말하기의 대상으로서의 의미보다는, 원전 속에서 특히 언어에 귀속되는 것과 관계한다. 이를 통해 번역은 원전을 '탈구성한다'고 드 만은 말한다. 즉, 번역은 원전의 모든 비유와 수사적 작동을 원 위치로 되돌린다.-p12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