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불교철학
· ISBN : 9788992235334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8-03-01
책 소개
목차
서장 무상·죽음의 정시(正視)
백골의 장/작열하는 죽음의 시나리오(어떻게 웃을 수 있을까?)/죽음을 무상화하다/쿠시나라(붓다의 죽음)
제1장 질주하는 다르마끼르띠
무상은 증명되지 않으면 안 된다/인도 논리학(인식론적 논리학, 쁘라마나바다) 개괄/순간적 존재성/세 개 유형의 논증
제2장 자발적 소멸(순간적 존재성 논증 유형 1)
구름과 같이/원인 없는 존재의 소멸(‘무상’의 의미 변환과 ‘논리적 필연성’의 근거)/‘부재의 장소’를 부정하다(절대적 부정)/반순간적 존재성 이론(1)/사체 없는 죽음(‘비재’로서의 죽음)/자기차이성으로서 ‘존재의 본질’
제3장 다르마끼르띠 ‘자발적 소멸(죽음)’의 철학
‘살아 있는 한 죽는다’라는 부조리/잠입하는 차이선/‘근거 없이 태어나 죽는다’라는 ‘근저없는’ 근거/한낮의 별(환히 들여다보이는 죽음)/주체의 비재화/‘차이’로서의 언어대상(아포하·배제·차이)/‘언어’의 동일성의 해체(반실재론적 논리주의)/언어에 의한 부재의 보전
제4장 다르마끼르띠 철학의 배경
시간으로서의 존재(원시불교)/깔라바딘(형이상학적 시간론자)/형이상학적 시간의 해체(중관)/‘실재시간’과 ‘자발적 소멸’(설일체유부와 경량부)/전환하는 순간적 존재성(유식론자)
제5장 존재성으로부터의 추론(순간적 존재성 논증 유형 2)
디그나가 논리학의 한계(언어게임으로서 형식적 논리)/인식론적 논리(다르마끼르띠)/논리적 필연성의 결정(본질적 관계)/‘존재’=‘효과적 작용을 하는 것’/원인총체모델(최종순간상태)/반순간적 존재성 이론(2)/두 개 차원의 인과관계/반소증거척 인식근거에 의한 논증
제6장 포스트 다르마끼르띠안에 있어서 대립
라뜨나까라샨띠의 내변충론(반소증거척 인식근거)/사상적 연대기의 역전(즈냐나스리미뜨라의 신외변충론)/즈냐나스리미뜨라의 긍정적 논증식(쁘라상가와 그 환원식)/대립하는 ‘부정적 인식’의 해석(다르못따라와 쁘라즈냐까라굽따)/즈냐나스리미뜨라의 부정적 논증식(반소증거척)/토끼의 뿔은 날카로운가, 날카롭지 않은가/사상적 연대기의 역전과 인도불교논리학의 특수성
제7장 지각된 순간적 존재(순간적 존재성 논증 유형 3)
흔들리는 불꽃/빛나는 갠지스강과 같이/반순간적 존재성 이론(3)
제8장 지각순간의 자기차이화
머물지 않는 탈중심화/‘지금, 여기’의 지근거리/아직과 이미(비재의 중심핵)/부정적 차이선을 발현하는 ‘독자상’/자기차이성/원―차이(지각차원의 아포하)/반전, 차이선을 거슬러 올라가다/회광반조(廻光返照)하는 비재의 순간/‘비재’라는 타자
제9장 ‘반순간적 존재성 논증’과 ‘신의 존재논증’에 대한 비판
우다야냐(최강의 안티 다르마끼르띠안)/우다야나의 반순간적 존재성 논증/우다야나에 의한 아포하 이론 등에 대한 비판/‘아뜨만의 존재증명’에서 ‘베다의 권위와 신의 존재증명’으로/다르마끼르띠에 의한 ‘신의 존재논증’ 비판
제10장 무상한 인식근거
이중 인식근거의 정의/붓다(무상한 인식근거)/경계선상의 다르마끼르띠/전지자 존재의 부정과 중간의 단계/샨따라끄시따에 의한 ‘전지자의 존재논증’의 가능성/요가에 있어서 일반상(순간적 존재성)의 지각화/‘모든 것을 알고 있는 전지자’의 문제
종장 미완의 무상의 철학
‘완전한 논리체계’라는 환상(불완전성 정리)/‘비재’로 역행하는 인식근거(시간의 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