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98967534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25-08-20
목차
서 불교는 대단히 참신한 철학이다
불교라는 지성 / 이단으로부터 세계종교로 / 근대합리주의의 한계 / 자기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다 / 자기탐구의 여행으로
제1장 존재에 대하여 – 본체 없는 현상의 생성
있다는 것 / 변하지 않는 자신은 있는가 / ‘자기 자신을 보존하는 것’ / 불교의 정통 – 설일체유부 /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 – 5위75법 / 색법의 내용 / 마음의 성립 – 심왕과 심소유법 / 사물도 마음도 아닌 것 – 심불상응법 / 변화·생멸이 없는 세계 -무위법 / 사물이 처음부터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연기의 세계관 / 인·연·과의 관계 / ‘삼세실유, 법체항유’ / 실체 없이 현상뿐 – 대승불교의 존재론
제2장 언어에 대하여 – 그 해체와 창조
불교는 언어철학이다 / 문자·단어·문장 / 언어는 마음인가 사물인가 / 세계를 어떻게 분절하는가 / ‘소’라는 일반자는 실재하는가 / 언어는 ‘타자의 부정’에 지나지 않는다 / 오감의 흐름에 언어를 세운다 / 사물의 세계뿐 / 사적 세계관 – 유식의 사상 / 언어의 불가사의한 힘 / 언어가 세계를 만든다 / ‘나는 (~을) 본다’는 성립하지 않는다 / 운동은 가능한가 / 언어를 해체하는 용수 /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다 / 불립문자·교외별전 / ‘아(阿)’ - 밀교의 언어우주
제3장 마음에 대하여 – 심층심리의 내면에 있는 것
의식 하의 세계 / 유식사상에서 마음의 위상 / 자아에 대한 집착 – 말나식 / 마음의 근저에 있는 광대한 저장고 – 아뢰야식 / 의식 위와 의식 아래의 교섭 / 마음속에 내재하는 신 / 제9식 – 여래장사상 /본각이라는 말 / 진여문과 생멸문 / 마음속의 ‘십계호구(十界互具)’ / 만다라와 마음의 통합 / 화엄십중유식의 심오한 뜻 / 공해의 십주심사상 / 마음 근저의 진실
제4장 자연에 대하여 – 자기와 환경의 철학
환경문제 해결의 길 / 한 사람 한 사람의 팔식 / 환경도 자기이다 / ‘삼세간 융합의 십신불’ - 화엄사상의 불신관 / 천태사상의 초목국토관 / ‘초목국토 실개성불’의 논리 / 풀도 나무도 그대로 부처다 / 자기는 닫혀 진 존재가 아니다 / 모두 부처의 몸이다 – 공해의 자연관 / 심층 생태학과 불교 / 타자에 대한 사랑의 실천 / 불교의 가능성
제5장 절대자에 대하여 – 절대무의 종교철학
포스트 모던 속의 절대자 / 힉의 종교다원주의 / 석존의 깨달음 / 인격적인 절대자 / 아미타불이란 / 법화경의 핵심 / 삼세시방다불설 / 삼신으로서의 불 / 대승불교의 우주관 / 상대와 절대는 하나 / 중중무진의 구조 / 절대자의 자기부정이라는 의미 / 개체는 개체에 대하여 개체인 것 / 누구라도 성불하는 세계 / 관용의 이유 / 종교·종문간의 대화를
제6장 관계에 대하여 – 그 무한구조의 논리
관계가 성립하는 기반 / 당시 사회체제 비판 / ‘이것이 있을 때 저것이 있다’ - 초기의 연기사상 / 의식 위와 의식 아래의 상호 교섭 속의 세계 – 유식학파 / ‘무자성이기 때문에 공’ - 중관파 / 중중무진의 연기 – 화엄사상 / 관계 구조의 분석 / ‘하나가 없으면 열은 성립할 수 없다’ - 향상문 / 유연한 시점 – 향하문 / 상즉의 논리 / 십현문의 내용 / 육상원융의 연기관 / 하나의 서까래 없이 집은 없다 / 기와 등도 하나의 서까래 / 화려한 윤리구조 / 관계주의적 세계관
제7장 시간에 대하여 – 절대 현재의 시간론
세계라는 말 / 화살의 역설과 중론 / 덕산과 점심 / ‘영원한 지금’ - 도겐의 시간론 / “피고 피는 상주, 지고 지는 상주” - 천태본각 법문 / 자기는 세계에 놓여있다 / 찰나멸이라는 것 / 무시무종의 찰나멸 상속 / 시간의 시원과 지금 / 절대현재의 진실 / 공해의 시간론 / 시간적 인과관계는 가능한가 / 승의제를 칭양하는 입장 - 중론 / 인과를 가설로 보는 입장 – 유식 / 십세의 법 – 화엄사상의 시간론 / 지금 여기를 살다 / 하루를 사용하다
결 ‘철학으로서의 불교’에의 일시점
독특한 ‘지’의 방식 / 자기와 세계에 관한 진실과 진리 / 이성에 대한 과신의 문제 / 타자문제로서의 환경문제 / 새로운 질서에로의 실마리 / 자기는 타자의 전체라는 철학 / 함께 느끼다 / 종교와 윤리 · 도덕의 차이 / 일본불교의 과제
후기
대표역자 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