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여자의 적은 여자다

여자의 적은 여자다

필리스 체슬러 (지은이), 정명진 (옮긴이)
부글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7개 6,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여자의 적은 여자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여자의 적은 여자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92307413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9-11-09

책 소개

'여자의 적은 여자'라는 사실은 대체로 터부시되어왔다. 이 책은 바로 그 부분을 들추고 여자들 사이의 인간관계의 어두운 면을 탐구하며, 여성들이 더 정신적으로 성숙해지기 위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직장 생활에서의 여자들, 엄마와 딸 사이, 여자 안의 공격성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여성의 미묘한 심리를 보여주는 책.

목차

제1장 여자 안의 동물성
종(種)으로서의 여자/ 여자의 공격성은 인류 보편적이다/ 가족생활 자체가 고문이다/ 자매애는 환상이다/ 소녀들은 인기 짱 소녀를 멀리한다/ 영장류 사회의 바탕은 암컷 사이의 경쟁이다/ 암컷들만의 계급조직에서 낮은 지위는 곧 불행이다/ 유인원과 인간 사이에는 비슷한 점이 많다/ ‘레미제라블’은 여자들의 잔인성을 고발한다

제2장 소녀와 십대들 사이에 벌어지는 간접적인 공격
소녀들은 소속감을 원한다/ 당신의 아이들만 지켜보고 있어도 고정관념이 깨어진다/ 소녀들이 소년들보다 더 착한 것은 아니다/ 간접적인 공격은 참으로 다양하다/ 자신이 따돌림의 표적이 되지 않으려고 다른 소녀를 따돌린다/ 한 소녀의 지위 상승은 곧 위기의 신호이다/ 똑똑한 소녀가 남을 더 잘 괴롭힌다/ 또래를 괴롭혀놓고도 그 이유를 피해자에게로 돌린다

제3장 여자들에 의한 성차별
착한 요정 대모(代母)와 사악한 왕비 계모/ 성적 경쟁을 공격적으로 벌인다/ 직장내 여자들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다/ 여자들의 성차별도 측정 가능하다/ 직장의 여성은 남자 동료를 선호한다/ 여자 성차별주의자는 커리어 우먼도 좋아하지 않고 가정주부도 좋아하지 않는다/ 여자 판사와 배심원도 여자에게 적대적이다/ 인류학 분야의 연구도 여자들의 간접 공격을 뒷받침한다/ 소문은 가부장적 윤리와 계급을 강화한다

제4장 동화와 신화, 그리스 비극에 나타나는 엄마와 딸의 관계
여자들은 서로 뺏고 빼앗긴다/ 여자들은 여자들을 교체한다/ 딸은 엄마와의 융합을 바라는 한편으로 두려워한다/ 딸을 놓아주지 않으려는 엄마/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클리템네스트라와 엘렉트라/ 창작의 단골 소재 엘렉트라/ 엄마와 딸의 관계는 아직도 제자리걸음이다

제5장 정신분석에서는 엄마와 딸의 관계를 어떻게 볼까?
소녀는 엄마의 운명을 혐오한다/ 엄마 없는 딸들/ 여자는 여자들과의 관계에 건망증을 보인다/ 여자들은 약한 여자를 보호한다/ 인위적인 모녀의 인연이 오래가지 못하는 이유/ 페미니스트들의 삶은 진정 페미니스트에 어울리는가?

제6장 ‘충분히 훌륭한’ 엄마, 그리고 ‘충분히 훌륭한’ 딸에 대한 엄마의 학대
외모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 냉정과 침묵/ 아픈 아이를 더 좋아하는 엄마의 심리/ 멀쩡한 딸을 환자 취급한다/ 구타와 채찍질/ 아들을 더 좋아하는 엄마/ 성적 행동에 대한 감시/ 근친상간을 돕는 행위/ 엄마의 시기심/ 전통적인 엄마, 성취를 일군 딸

제7장 자매들, 그리고 최고의 친구를 찾으려는 노력
스트레스가 심하고 불안정한 자매들의 관계/ 부모의 사랑은 한 자식만 키울 수 있을 정도일까?/ 그림자엄마, 그림자자매/ 친한 친구는 잠재적 배신자/ 우정은 다듬어나가는 것

제8장 직장의 여성들
일단 정상 부분이 여자들이 많아야 한다/ 성역할에 대한 공감대가 중요하다/ 현상유지를 원하는 성향이 강하다/ 직장의 여자 동료를 이해하려면 그 여자의 다른 관계들을 살펴보라/ 직장의 여자들을 가족으로 여기는 것도 성차별이다/ 전문직 여자들 일부는 여자를 혐오한다/ 성희롱을 당했다고 고발한 여자를 배척하는 여자도 있다/ 여자 사회의 권력투쟁도 치열하다/ 여자는 자신이 쓰러뜨린 그 여자에게 다시 친하게 다가간다

제9장 단체에서 활동하는 여자들
여성의 단체활동도 현상유지에 기여한다/ 여성 지도자들부터 성차별적이다/ 여자에겐 자신을 위한 경쟁은 금물이다/ 아첨은 곧 시기이다/ 여자들은 권력투쟁을 벌이는 경쟁자 모두와 친한 관계를 유지한다

제10장 심리학에 근거한 윤리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다/ 페미니스트를 위한 변명/ 자매애의 신화를 버려라/ 진실과 평화는 공존하기 어렵다/ 심리학자 페미니스트로서의 반성/ 정신이 건전한 여자들을 위한 제언

저자소개

필리스 체슬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페미니스트, 정신분석학자. 1940년 미국 브루클린의 정통 유대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바드 대학 재학 시절 만난 아프가니스탄 출신 남성과 결혼하여 카불에 갔다가 일부다처제 문화를 겪었고 이것은 페미니스트로 각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카불에서 돌아온 후 페미니스트로 살면서 여성참정권을 위해 싸운 이들의 뒤를 이어 2세대 페미니즘의 문을 열었다. 뉴욕 사회과학대학원을 거쳐 뉴욕의과대학에서 신경생리학 펠로우십을 취득했으며,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한 후 1969년에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에 뉴욕시립대학 리치먼드칼리지에 최초로 여성학 과정을 개설했고, 이후 여성학은 뉴욕시립대 산하의 모든 대학에서 정규 교육과정으로 공인되었다. 1969년에 여성심리학회(Association for Women in Psychology)를, 1974년에 전국여성건강네트워크(National Women’s Health Network)를 공동 설립했다. 『여성과 광기Women and Madness』는 필리스 체슬러의 첫 책이다. 1972년 출간 당시 『뉴욕타임스 북 리뷰』 첫 페이지에 실린 최초의 페미니스트 작품으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 300만 부 이상 팔리면서 페미니즘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카불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카불의 미국인 신부AnAmerican Bride in Kabul』(2013)는 ‘2013 전국 유대인 도서상(National Jewish Book Award)’을 수상했다. 이 밖에 『남성에 대해서About Men』(1978), 『재판정에 선 어머니들Mothers on Trial 』(1986), 『가부장Patriarchy』(1994), 『젊은 페미니스트에게 보내는 편지Letters to a Young Feminist』(1998), 『여자의 적은 여자다Woman’s Inhumanity to Woman』(2002), 『페미니즘의 죽음The Death of Feminism』(2005),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페미니스트 A Politically Incorrect Feminist』(2018), 『어느 여성 연쇄살인범에게 바치는 진혼곡Requiem for a Female Serial Killer 』(2020) 등의 책을 썼다.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뉴욕』, 『LA 타임스』, 『글로브 앤드 메일』, 『프론트 페이지』, 『이스라엘 내셔널 뉴스』, 『미들 이스트 저널』 등 영미권을 비롯한 세계 각지 언론에 페미니즘을 주제로 한 글을 기고했다. 현재 뉴욕시립대 산하 스테튼아일랜드칼리지 심리학 및 여성학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며, ‘명예살인’으로 위협받는 이슬람 여성들을 대신해 법정 진술서를 제출하고 있다.
펼치기
정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를 졸업한 뒤 중앙일보 기자로 사회부, 국제부, LA 중앙일보, 문화부 등을 거치며 20년 근무했다. 현재는 출판기획자와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칼 융 레드 북>(칼 구스타프 융) <흡수하는 정신>(마리아 몬테소리) <부채, 첫 5000년의 역사>(데이비드 그레이버), <나는 왜 내가 낯설까>(티모시 윌슨) <당신의 고정관념을 깨뜨릴 심리실험 45가지>(더글라스 무크), <상식은 어쩌다 포퓰리즘이 되었는가>(소피아 로젠펠드), <타임: 사진으로 보는 ‘타임’의 역사와 격동의 현대사>(노베르토 앤젤레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국의 진화심리학자 앤 캠벨은 여자들이 자원을 더 많이 가진 남자들을 계획적으로 선택하고, 딸보다 아들을 선호함으로써 부권사회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일을 돕고 있다고 주장한다. 진화론의 차원에서 여자들이 ‘알파’ 짝들을 선호하는 것이 남자들 사이에 경쟁의 중요한 기본 원칙들을 확고히 다져놓기 때문이다. 또 남자만 아니라 여자도 동성의 구성원들과는 좀처럼 단결하지 않으며, 대체로 보면 오히려 동성끼리 경쟁을 벌인다고 주장한다.


버뱅크는 이 조사 연구에서 나온 가장 놀라운 발견 하나가 바로 여자들의 공격이 주로 여자들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쓰고 있다. “여성이 표적이 된 사회가 124개였다. 총 137개 사회 중에서 91%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반면에 여자들의 공격이 남자를 표적으로 한 사회는 74개로, 총 137개 중 44%였다.


너새너얼 호손의 ‘주홍글씨’를 읽은 독자들 대부분은 그 작품을 성적 비도덕성과 18세기 미국인 청교도들의 위선을 고발한 것으로 기억한다. 작품 속 주인공 헤스터 프린은 사생아를 가진 죄로 재판을 받았다. 남자 치안판사는 프린에게 가슴에 주홍글씨를 달고 다니라는 판결을 내린다. 그런데 소설 속의 여자들은 그 판결이 지나치게 관대하다고 느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