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두산 국경연구

백두산 국경연구

서길수 (지은이)
여유당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두산 국경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두산 국경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2351119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09-05-25

목차

책머리에 ? 12

첫째 마당 백두산과 역사적 국경

Ⅰ. 옛 조선.삼국시대의 백두산과 국경 ? 23

1. 옛 조선(朝鮮)의 단군과 태백산 ? 27
2. 한나라 점령기의 이름, 백두산=불함산(不咸山) ? 27
3. 고구려의 시조 추모(鄒牟)와 대백산(大白山)?태백산(太白山) ? 28
4. 고구려 때 삼국지와 위서(魏書)의 기록, 백두산=개마대산(蓋馬大山)?도태산(徒太山) ? 31
1) 삼국지와 후한서의 기록, 백두산=개마대산(蓋馬大山)
2) 위서와 수서의 기록, 백두산=도태산(徒太山)?백산(白山)
5. 신라에도 대(태)백산이 있었다 ? 34
6. '백두산'이란 낱말을 가장 먼저 기록한 책 '『삼국유사』' ? 35

Ⅱ. 고려시대의 백두산 ? 39

1. 고려-요 시대의 백두산 ? 39
1) 고려시대 최초의 '백두산' 기록 -991년 성종 10년
2) 최초의 '장백산(長白山)' -『요사(遼史)』
3) 윤관의 선춘령(先春嶺) 국경비
2. 고려-금 시대의 백두산 ? 50
3. 고려-원 시대의 백두산 ? 56

Ⅲ. 조선-명나라 시기의 백두산과 국경 ? 59

1. 조선-명나라 시기의 백두산 명칭 : 백산, 백두산, 장백산 ? 60
2. 조선 왕조의 백두산에 대한 인식 ? 67
3. 조선 초 백두산과 명나라와 관계 기록 ? 74
1) 태종 때 명나라가 백두산 북쪽에 사사(寺社)를 수축하였다.
2) 세종 때 명나라 관군이 백두산 동쪽에서 조선에 식량 지원을 요청하였다.
3) 명나라 매 사냥 사신에게 곡식 수송
4) 조선-명나라의 백두산
4. 조선 초 이후 여진과 백두산 ? 81
1) 조선 초 여진에 대한 명나라와의 외교전
2) 4군 6진의 개척
3) 4군 6진 이후의 조선-여진 관계와 백두산

Ⅳ. 조선-청나라 시기의 백두산과 국경 ? 90

1. 청나라와 백두산?90
2. 백두산 정계비의 설립 배경 ? 93
3. 목극등과 접반사 일행의 15일 일정 ? 95
4. 압록강 근원과 목극등 ? 104
5. 정계비 설치와 토문강 문제 ? 110
1) 경계비 설치의 전말
2) 명나라 『요동지(遼東志)』- 토문은 송화강이다.
3) 목극등의 행로 검토를 통해서 본 토문강
4) 한.청 간 국경회담과 토문강

Ⅴ.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사건(1908)과 청?일 간도협약(1909) ? 135

1. 1908년(광서 34년) 청나라의 백두산 전면 조사 동기와 진행 과정 ? 137
1) 전면 조사의 동기
2) 조사 진행 과정과 결과물
2. 1908년 청나라가 날조한 한?청 국경 ? 145
1) 백두산정계비(穆石)와 십자정계비(十字界碑) 날조
2) 흙무지?돌무지는 각라오목눌(覺羅吳木訥)이 쌓았다는 날조
3) 차령산맥 주변 산과 강의 작명과 역사 왜곡
4) 청나라가 날조한 압록강 쪽 국경
5) 청나라가 날조한 두만강 상류 국경
6) 한?청 국경회담에서 대립된 '홍토수가 청의 발상지(發祥地)'라는 날조
3.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와 역사 왜곡의 계승 ? 179
4. 1909년 간도협약 체결 과정과 내용 ? 184
1) 간도협약 채결 과정
2) 간도협약 내용
5. '간도 문제'의 발생과 간도협약에 관한 국제법적 논의 ? 188
1) '간도 문제'의 발생
2) 간도협약의 국제법적 논의

둘째 마당 1960년대 조?중 국경조약에 대한 분석 연구

Ⅰ. 조.중 국경조약의 체결 배경과 과정 ? 135

1. 중.국경조약 체결 배경 ? 195
2. 조.중 국경조약 체결 과정 ? 197
1) 조.중 국경 문제에 대한 회담기요(會談紀要)
2) 조.중 국경조약
3) 조.중 국경에 관한 의정서

Ⅱ. 조.중 국경조약 분석(1) - 백두산 국경 ? 203

1. 백두산 국경지도 제작 ? 207
1) 정확한 좌표 값 산출
2) GPS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지도에 표시
3) 오차 수정 및 지도 작성
2. 천지를 양분하는 국경 분석 ? 211
3. 천지에서 압록강까지의 국경 분석 ? 213
1) 1호 국경 푯말
2) 2호 국경 푯말
3) 3호 국경 푯말
4) 4호 국경 푯말
5) 5호 국경 푯말까지의 국경
4. 천지에서 두만강까지의 국경 분석 ? 222
1) 7호 국경 푯말
2) 8호 국경 푯말
3) 9호 국경 푯말
4) 10~13호 국경 푯말
5) 14호 국경 푯말
6) 15~18호 국경 푯말
7) 19~20호 국경 푯말
8) 21호 국경 푯말

Ⅲ. 조.중 국경조약 분석(2) - 압록강과 두만강의 국경 ? 237

1. 압록강과 두만강 국경 안에 있는 섬과 모래섬의 귀속 ? 237
1) 국경 강 기슭에 있는 섬과 모래섬에 대한 「국경조약」과 「의정서」의 규정
2) 압록강과 두만강의 섬과 모래섬에 대한 계량 분석
2. 압록강?바다 국경선 ? 245
3. 서해의 해상 분계선과 자유항행구역 ? 250
4. 압록강과 두만강의 공유와 공동 관리 ? 253
5. 국경의 유지 보호와 관리에 관한 협정 ? 256
1) 덧붙인 지도에 대한 규정
2) 국경 경계 푯말의 관리에 관한 규정
3) 백두산 동쪽 산림지역에 관한 특별 시설
4) 「의정서」17조 : 강에 길을 고치거나 설치를 할 때의 조치
5) 「의정서」18조 : 연합검사에 관한 규정

Ⅳ. 1964년 「의정서」이후(1964~2003) 체결된 국경업무 조약 분석 ? 261

1. 두만강 국경수역 경계선 획정 협정 ? 261
1) 조?중?러 간 두만강 국경수역 경계선 획정 협정
2) 조?중?러 간 두만강 국경 교차지점에 관한 의정서
2. 상호 왕래 및 보안에 관한 협정 ? 266
1) 조?중 간 국경철도에 관한 협정(1976 체결, 1977년 발효)
2) 조?중 간 국경 통과지점 및 그 관리제도에 관한 협정
3. 압록강과 두만강의 공동 이용에 관한 협정 ? 270
1) 수력발전소 - 조?중 압록강 수풍 수력발전공사(中朝鴨綠江水豊水電公司)
2) 양어사업 - 조?중 간 수풍호 어족자원 공동 보호증식 및 이용에 관한 의정서
3) 뗏목을 통한 목재 운송
4. 두만강 경제개발 ? 275
Ⅴ. 국경조약에 대한 논의와 역사적 의미 ? 276

1. 한국의 '6?25 참전 대가, 백두산 천지 할양설' 발생과 전개 과정 ? 276
1) 교과서에 나온 백두산의 국경
2) 1980년대 백두산 문제의 대두
3) 1983년 한국 국회의 백두산 영유권에 관한 결의안 제출과 백두산 할양설의 일반화
4) 학계의 백두산 천지 할양설
5) '6?25 참전 대가, 백두산 천지 할양설'의 현황
2. 한국에서의 조?중 국경조약 연구와 인식 ? 289
1) 간접자료(다른 나라 지도와 현장 답사)를 통해서 알려진 조?중 국경조약
2) 조?중 국경조약의 발굴과 직접자료를 통한 새로운 연구의 시작
3. 조?중 국경조약에 대한 평가 ? 304
1) 1712년 청나라의 정계비와 조?중 국경조약의 영토 득실
2) 1909년 간도협약과 조?중 국경조약의 영토 득실
3) 조?중 국경조약에 관한 학계의 평가
셋째 마당 새로운 국경사의 전개
- 중국의 다민족 통일국가론과 역사상 강역이론

Ⅰ. 1980년대 이전 중국의 강역이론과 주은래의 중국-조선 관계론 ? 320

1. 현재 중국의 영토를 중심으로 한 강역이론 ? 320
2. 주은래의 중국-조선 관계론 ? 321

Ⅱ. 1980년 이후 중국의 새로운 역사 만들기와 국경 문제 ? 325

1. 다민족 통일국가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장 ? 325
2. 1980년대 국경 연구기관 및 티베트 연구기관 설립 ? 327
1983년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 설립
1986년 티베트 전문 연구기관, 중국장학연구중심(中國藏學硏究中心) 설립
3. 1990년 이후 동북 국경의 귀속에 대한 본격적인 작업 ? 330
1990년대 북부 국경(몽골)의 귀속에 대한 본격적인 작업
중국 동북지역 국경 문제의 본격적 연구
동북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 실시(2002~2007)
4.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중국 상고사 만들기 장기계획 ? 331
하.상.주 단대공정(夏?商?周 斷代工程) (1996~2000)
중국고대문명탐원공정(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2000~2005)
2차 중화문명탐원공정과 요하문명론(遼河文明論) (2006~2010)
5. 2000년대 서북 국경 귀속을 위한 신강항목(新疆項目) (2005~현재) ? 333

Ⅲ. 중국의 한?중 국경사 연구의 새로운 잣대(paradigm) - 역사상 강역 ? 335

1. 다민족 통일국가와 역사적 강역 ? 335
2. 양소전(楊昭全)?손옥매(孫玉梅)의 『중조 국경사(中朝邊界史)』와 역사적 강역 ? 340
1) 『중조 국경사(中朝邊界史)』의 연구 과정과 내용
2) 원고(遠古)시대 중국 동북과 조선반도의 관계
3) 전국~남북조 시기의 중?조 국경
4) 수~금 시기의 중?조 국경
5) 원~청 초기 중?조 국경
3. 한.중 국경사의 새 잣대 - 역사적 강역 ? 354

Ⅳ. 한국 학계의 역사적 영토이론 정립을 통한 대응논리 개발 시급 ? 356

1. 고려시대 역사적 강역에 대한 논의 ? 357
2. 조선시대 역사적 강역에 대한 논의 ? 359
3. 한국의 국경 문제 의식과 대응전략 ? 362

넷째 마당 부 록

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조약(번역문/원문) ? 373
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대표단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대표단의 조?중 국경 문제에 관한 회담기록(번역문/원문) ? 385
Ⅲ.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조?중 국경에
관한 의정서(번역문/원문) ? 394
Ⅳ. 섬(島嶼)과 모래섬(沙洲) 귀속(歸屬) 일람표 ? 439

Ⅴ. 주은래 총리의 조선-중국 관계 담화(번역문/원문) ? 462

저자소개

서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서경대학교에서 30년 넘게 경제사를 강의하고, ‘고구리(高句麗)연구회’를 창립하여 고구리사 연구에 힘썼으며, 세계에스페란토협회 임원을 맡아 140개국을 여행하였다. 『고구리 축성법 연구』,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백두산 국경 연구』, 『동북공정백서』,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같은 30권의 책, 「공자의 경제사상」, 「이자사 연구」 같은 경제사 논문 22편,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 현황과 보존 방향」 같은 고구리사 논문 80여 편을 썼다. 1983년 불교에 입문하여, 1990년부터 ‘늘 놓치지 않고 보는’ 공부를 하다가, 2009년 정년퇴직하자 모든 것을 내려놓고 강원도 산사에 들어가 3년간 산문을 나오지 않고 관법과 염불 수행을 했다. 2012년 하산하여 현재 ‘맑은나라불교연구소’를 세워 계속 닦아 나가며, 틈나는 대로 정토 관련 집필을 하고, 불교 강좌를 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