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92351935
· 쪽수 : 4112쪽
· 출판일 : 2020-12-19
책 소개
목차
English summary • 4
B споре рождается истина! • 14
첫째 마당
중앙아시아에서 찾은 고리 사람(高麗人) ‐ 사마르칸드 아프라시압 벽화
Ⅰ. 가장 먼 나라에서 발견된 고리 사람(高麗人)•47
Ⅱ. 아프라시압 벽화의 고리 사람(高麗人)을 찾아서
1. 사마르칸드 가는 특급열차 아프라시압(Afrasiyab)•49
2. 현장법사의 사마르칸드 가는 길•51
3. 중앙아시아 최대의 문화도시 사마르칸드 도착•53
Ⅲ. 사마르칸드의 옛 도시 아프라시압
1. B.C. 6세기부터 존재한 고대 도시 아프라시압•55
2. 아프라시압 박물관(Afrasiyab Museum)•55
3. 아프라시압 벽화 발굴터 답사•57
4. 우즈베키스탄 과학아카데미 고고학연구소 방문•61
둘째 마당
사마르칸드 아프라시압 벽화의 세계
Ⅰ. 7세기 사마르칸드 아프라시압 벽화의 세계•65
Ⅱ. 아프라시압 남벽 벽화
1. 알바움 『아프라시압 벽화』 남벽 설명•66
2. 아프라시압 박물관 전시 설명•67
3. 남벽 벽화 검토•70
Ⅲ. 아프라시압 북벽 벽화
1. 알바움 『아프라시압 벽화』 북벽 설명•76
2. 아프라시압 박물관 전시 설명•79
3. 북벽 벽화 검토•81
Ⅳ. 아프라시압 동벽 벽화
1. 알바움 『아프라시압 벽화』 동벽 설명•88
2. 아프라시압 박물관 전시 설명•89
3. 동벽 벽화 검토•90
Ⅴ. 아프라시압 서벽 벽화
1. 알바움 『아프라시압 벽화』 서벽 설명•94
2. 아프라시압 박물관의 서벽 전시 설명•96
셋째 마당
서벽 벽화와 고리(高麗) 사절
Ⅰ. 벽화의 주제와 시기 : ㉗번 인물에 쓰인 글월(銘文) 해석
1. 발굴 당시 서벽의 현황•101
2. 벽화의 내용을 밝히는 ㉗번 인물에 쓰인 글월(銘文)•102
Ⅱ. 하단 왼쪽 그림 설명
1. ②③④ 3명의 사신은 차가니안 사절•110
2. ⑤⑥ 사절들을 안내하는 의전관•118
Ⅲ. 서벽 1층 가운데 그림 ⑦~⑰ 인물 검토
1. 서벽 1층 가운데 그림 ⑦~⑰ 인물 9명•122
2. 서벽 1층 가운데 그림 ⑮~⑰ 인물 3명•126
Ⅳ. 서벽 1층 오른쪽 그림과 고리(高麗, Kori) 사절
1. 서벽 1층 오른쪽 그림 ⑱~㉓ 인물 6명•128
2. 서벽 1층 오른쪽 그림 ㉔㉕번의 고리(高麗) 사절•133
3. 서벽 1층 오른쪽의 깃발과 방패•144
넷째 마당
아프라시압 벽화의 고리(高麗) 사절 연구사
Ⅰ. 1970년대 아프라시압 벽화의 소개와 기초 연구
1. 1976년, 아나자와 와꼬, 「아프라시압 도성 출토 벽화에 나온 조선인 사절에 대하여」 •149
2. 1976년, 김원용의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宮殿壁畵의 使節圖」와 신라 사신설•155
Ⅱ. 1980년대 아프라시압 벽화 연구
1. 1988년, 박진욱의 고구리(高句麗) 사신론•1659
2. 1988년, 고병익의 고구리(高句麗) 사신론•162
3. 1989년, 노태돈의 고구리(高句麗) 사신론•163
Ⅲ. 1990년대 아프라시압 벽화 연구
1. 1990년, 문명대의 신라 사신설•168
2. 1992년, 정수일의 고구리(高句麗) 사신론•170
3. 1997년, 방상현의 749년 고선지 설•1672
4. 1998년, 가게야마 에쯔꼬(影山悦子)의 사행(使行) 부정설•173
Ⅳ. 2000년대 아프라시압 벽화 연구
1. 2000년대 신라 사신설•173
2. 2000년대 고구리(高句麗) 사신설•175
Ⅴ. 2010년대 아프라시압 벽화 연구
1. 2010년대 복식사학계의 고구리(高句麗) 사절론•185
2. 2010년대 고구리(高句麗) 벽화 연구성과와 아프라시압 벽화•185
3. 2010년대 동양사학계의 652년설과 662년설•187
4. 2010년대 국사학계의 고구리(高句麗) 사행(使行) 부정론 등장•190
Ⅵ. 현지 학자와 유럽 학자들의 연구•192
다섯째 마당
고리 사절은 사마르칸드에 가지 않았다?
Ⅰ. 문제 제기
1. 벽화의 연대 비정과 국적 논란•203
2. 새로운 논란, ‘사행(使行)을 부정(否定)하는 설’•206
3.연구 방법•208
Ⅱ. 아프라시압 벽화의 당(唐) 그림본(模本)설 개요
1. 가게야마 에쯔꼬(影山悦子)의 고구리(高句麗) 사행(使行) 부정론•209
2. 정호섭의 중국의 세계관이 나타난 모본설•216
3. 이성제의 고구리(高句麗) 사행(使行) 부정론•218
Ⅲ. 아프라시압 벽화의 중국 모본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당 그림본(模本)의 시대(時代) 문제•222
2. 도상을 통한 당나라 모본(模本)설 비교 검토•229
Ⅳ. 전통적 소그드 도상(圖像)의 검토를 통해서 본 아프라시압 벽화
1. 5~6세기 카피르-칼라(Kafir-kala) 유적의 소그드 전통 목제조각 벽화•234
2. 8세기 판지켄트(Panjikent) 벽화•244
3. 소그드 벽화의 원류와 페르시아의 석벽 돋을새김•244
Ⅴ. 맺음말•248
여섯째 마당
고리(高麗) 사절은 655년에 사마르칸드에 갔다.
Ⅰ. 머리말•253
Ⅱ. 고구리(高句麗)의 사마르칸드(康國) 사행 부정론의 논거
1. 정호섭의 고구리(高句麗) 사절 파견 부정론•254
2. 이성제의 고구리(高句麗) 사절 파견 부정론•255
Ⅲ. 구체적인 고리(高麗) 사행(使行) 연도를 제시한 연구성과
1. 바르후만(Varkhuman, 拂呼縵) 강거도독 임명 시기에 대한 논의•259
2. 동양사학자들의 고리(高麗) 사행(使行) 연도 비정–652년설과 662년설•260
Ⅳ. 유연(柔然)과의 교류를 통해 축적한 초원로 왕래 역량 확보
1. 유연과의 외교와 연합을 위한 교섭과 왕래•271
2. 벽화와 직공도에 남은 고리(高麗)와 유연의 교류•274
3. 고리(高麗)로 집단 이주한 유연(柔然) 사람들의 활약•276
Ⅴ. 돌궐과 고리(高麗) 관계의 동태적 분석
1. 고리(高麗)와 돌궐의 관계사 요약•281
Ⅵ. 고리(高麗)와 설연타(薛延陀)의 연합 시도에 대한 재평가
1. 막북초원 새로운 강자 설연타와 고리(高麗)의 연합•288
2. 연개소문의 설연타 연합 시도 실현•290
3. 설연타의 멸망과 막북의 상황•300
Ⅶ. 고리(高麗)와 서돌궐(西突厥)의 연합 시도 가능성 검토
1. 아프라시압 벽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306
2. 641~649년 사이 고리(高麗)의 서돌궐에 대한 사절파견 가능성 검토•318
3. 651~654년 사이 고리(高麗)의 서돌궐 사행(使行) 가능성 검토•326
4. 655~657년의 고리(高麗)•당•서돌궐의 정황 검토•336
5. 이재성의 662~623년 설에 대한 검토•339
Ⅷ. 맺음말•341
일곱째 마당
역사유적을 통해서 본 고리(高麗) 사절의 사마르칸드 가는 루트
Ⅰ. 머리말
1. 사행 루트에 대한 연구사 간추림•347
2. 연구 방법•350
Ⅱ. 평양에서 대흥한령까지의 루트
1. 고리(高麗) 국내 루트 : 국내성인가? 오골성인가?•351
2. 요동성(遼東城)에서 대흥안령을 넘는 루트•354
Ⅲ. 막북(漠北)의 초원 가로지르기•362
Ⅳ. 알타이산맥을 넘는 루트
1. 몽골 알타이•367
2. 러시아 따샨따(Tashanta) → 꾸라이(Kuray)•371
3. 추야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루트•375
4. 센텔렉(Sentelek) 강 → 알레이(Aley) 강 루트•377
Ⅴ. 알타이산맥에서 사마르칸드까지의 루트
1. 알타이에서 소엽수성(素葉水城)•379
2. 소그드 지구 : 소수엽성에서 사마르칸드•383
<부록>
마르쿠스 모데의 아프라시압 벽화 해석
1. 서돌궐 카간의 의장(儀仗) 깃발과 벽화 연대•390
2.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은 대부분 서돌궐 사람이다.•394
3. 벽화 주제의 연대는 640년대 후반~651년•400
4. 결론-벽화 주제의 연대는 648~649년•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