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92362788
· 쪽수 : 439쪽
· 출판일 : 2010-01-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
2. 선행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제2장 연구방법론: ‘담론’과 ‘계보학’의 문제틀
제3장 전통적 규범성과 유비론적 시학
1. 조지훈의 시론
1) 시의 ‘독자성’과 ‘초월성’의 양립
2) 시의 창작 과정과 ‘카오스’의 ‘코스모스’화
3) 위계적 장르론과 ‘서정시’ 중심주의
2. 김종길의 시론
1) ‘자족적 존재’와 ‘유기적 전체’로서의 현대시
2) ‘시인의 진실’과 ‘시의 자족성’의 양립
3) 고전주의적 정신 가치와 유비적 재현의 방법
제4장 잠재적 가능성과 초월론적 시학
1. 김수영의 시론
1) ‘정치적 자유’와 ‘시적 자유’
2) 통념의 전복으로서의 시의 ‘새로움’과 ‘무의미’
3) ‘카오스모스’의 시학과 ‘내재적 초월론’
2. 김우창의 시론
1) ‘구체적 전체성’과 한국 모더니티의 특이성
2) 한국 현대시의 지형도와 ‘시와 정치’의 일체화
3) ‘기쁨과 행복의 시학’과 심미적 초월론
제5장 미적 자율성과 존재론적 시학
1. 김춘수의 시론
1) ‘시형태’론과 ‘방법’과 ‘기술’로서의 현대시
2) ‘시작법’과 ‘서술적 이미지’
3) ‘무의미시’와 ‘허무’와 ‘유희’로서의 시적 존재론
2. 김현의 시론
1) ‘분석적 해체주의’와 ‘문학사회학’
2) 선험적 범주로서의 ‘프랑스 문학’과 ‘암시의 시학’
3) ‘문화의 고고학’과 ‘분열’과 ‘긴장’으로서의 현대시학
제6장 20세기 후반 한국 현대시론의 계보
제7장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