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88992486279
· 쪽수 : 455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옮긴이 서문
출간에 부쳐
머리말
서론
1. 강대국의 발자취는 찾아볼 수 있다
2. 중국 개혁의 대비(對比)
3. 이 프로젝트의 몇 가지 출발점
제1장 황무지 개척자--포르투갈과 스페인
Ⅰ. 포르투갈
Ⅱ. 스페인
1. 스페인의 통일
2.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
3. 처음으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한 마젤란
4. ‘금·은 깔때기’ 신세가 되다
2장 해상의 마차부--네덜란드
Ⅰ. 네덜란드의 ‘사업 밑천’--청어
Ⅱ. “해상의 마차부”라는 월계관
Ⅲ. 건국의 여정
Ⅳ. 가장 먼저 근대 시장경제 체제의 열매를 수확하다
제3장 산업혁명의 선봉--영국
Ⅰ. 입헌군주제의 확립
Ⅱ. 영국의 초보적 굴기
Ⅲ. 제1차 산업혁명
1. 가장 앞서 나아간 면방직업
2. 핵심적 역할을 한 증기기관
3. 근대 과학의 기초를 다진 사람--뉴턴
4. 세계 과학기술 중심의 이동
5. 자유무역의 경제 이론
제4장 민주 투사--프랑스
Ⅰ. 봉건 왕조의 멸망
Ⅱ. <인권선언>
Ⅲ. 세 번째의 세계 과학 중심
제5장. 두 차례 세계대전의 발원지--독일
Ⅰ. 제1제국
Ⅱ. 제2제국
1. 독일 혁명
2. 철혈 재상 비스마르크와 독일 통일
Ⅲ. 교육과 과학
1. 교육 방면
2. 네 번째 과학 기술 중심국
Ⅳ. 세계의 패권을 다투다
제6장 탈아입구(脫亞入歐)--일본
Ⅰ. 메이지(明治) 유신
1. 도쿠가와(德川) 막부(幕府)의 종결
2. 메이지 유신의 정책과 그 실시
3. 식산흥업을 강력하게 추진하다
4. 최초의 헌법--<대일본제국 헌법>
Ⅱ. 부국강병의 행진곡--타국 침략
제7장. 두 번의 굴기와 두 번의 쇠락--소련(러시아)
Ⅰ. 제1차 굴기와 쇠락
1. 차르 표트르 대제 시기
2. 여제 예카테리나 2세 시기
3. 제1차 쇠락
Ⅱ. 제2차 굴기
1. 차르의 마지막 시기
2. 레닌 집정 시기
3. 스탈린 집정 시기
Ⅲ. 두 번째 쇠락
1. 흐루쇼프 집정 시기
2. 브레즈네프 집정 시기
3. 고르바초프 집정 시기
제8장 강력한 권력--미국
Ⅰ. 건국에서부터 세계 최강대국이 되기까지
1. 독립전쟁
2. 미국의 첫 번째 헌법--<아메리카 합중국 헌법>
3. 건국 초기의 국정 방침과 공업 발전
4. 남북전쟁
5. 서부 대개척
6. 미국의 과학기술 창조와 공업 발전
7. 미국이 신속하게 굴기한 원인
Ⅱ. 진보 운동
1. 독점의 폐단
2. 개혁 진행 시기
3. 번영과 혁신--강대한 미국
Ⅲ. 경제 대공황과 루스벨트의 뉴딜--세계 강대국의 확립
1. 대공황
2. 루스벨트의 뉴딜
3. 복잡하게 급변한 세계 정세
4. 전후의 미국 경제는 여전히 활력이 넘쳤다
제9장 부흥--중국
Ⅰ. 청나라의 부패 무능과 멸망
1. 이전의 성적
2. 아편전쟁
3. 서양에게 배우다
4. 학습 성적의 평가-학생이 스승을 이기다
5. 두 번째로 서양을 배우다
6. 신해혁명
Ⅱ. 신민주주의 혁명의 승리
1. 중국공산당 설립 초기
2. 총대에서 정권이 나온다
3. 항일 전쟁 시기
4. 해방 전쟁 시기
Ⅲ. 신중국의 수립
1. 신중국의 낡은 기초
2. 회복과 재건
Ⅳ. 계획경제와 시행착오투성이의 세월
1. 반우파(反右派) 투쟁과 대약진
2. ‘문화대혁명’
3. ‘문화대혁명’이 끝났을 때의 경제·사회 상황
Ⅴ. 개혁·개방의 중국
1. 실천은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다
2. 농민·농촌·농업의 개혁
3. 도시 경제 체제의 개혁에 관해
Ⅵ.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수립
1.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확립
2. 개혁 과정에서의 교육과 과학기술 발전
3. 성적이 뛰어나, 세계가 경탄하다
제10장. 역사의 결론--강대국이 되는 길의 네 가지 요소
Ⅰ. 뛰어난 국가 리더십
Ⅱ. 사회의 장기적 안정
Ⅲ. 일류 수준의 핵심 과학기술
Ⅳ. 적정한 민주주의와 공평성
1. 민주주의에 관해
2. 공평성에 관해
3. 민주주의와 공평성의 관계에 관해
제11장. 사위일체(四位一體)의 네 가지 요소
1. 무엇 때문에 네 가지 요소를 채택했는가?
2. 네 가지 요소들은 상호 독립적이며, 서로 포용하지 않는다
3. 네 가지 요소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면서도 상호 촉진한다
4. 네 가지 요소들을 확립하기 위한 몇 가지 고려 사항
5. 세계 강대국과 네 가지 요소의 필요충분조건
제12장. 중국의 현황과 주요 문제들
Ⅰ. 개혁·개방의 성과
Ⅱ. 존재하는 주요 문제들
제13장 요소 비교--중국 개혁 발전의 취약점
Ⅰ. ‘뛰어난 국가 리더십’의 비교
1. 포르투갈과 스페인
2. 네덜란드
3. 영국
4. 미국이 강대국이 되는 과정에서 보여준 국가의 뛰어난 행동
5. 부정적인 사례
6. 중국
Ⅱ. ‘사회의 장기적 안정’의 실현
Ⅲ. ‘일류 수준의 핵심 과학기술’ 창조를 위한 경쟁
1. 기존의 경제 발전 모델은 계속되기 어렵다
2. 중국과 미국의 과학기술 창조의 발전 비교
3. 과학기술 창조를 위한 체제 개혁을 가속화하여, 중국 과학기술 창조의 새로운 국면을 열자
Ⅳ. 얕보아서는 안 되는 ‘적정한 민주주의와 공평성’
1. 정권 흥망의 주기율(週期律)
2. 소련의 민심 이반과 당·국가의 멸망
3. 미국의 민주주의 상황
Ⅴ. 자유와 창조의 관계
1. 창조 종사자에게 요구되는 특질
2. 중국인의 지능
3. 자유와 창조에 관해
제14장. 요소의 실용적 전망--중국이 개혁을 발전시키기 위한 의견과 건의
Ⅰ. 개혁의 목표
Ⅱ. 개혁 구상의 설계 원칙과 그 기초
1. 원칙
2. 기초
Ⅲ. 개혁에 대한 구상
1. 개혁의 총체적 구상에 관해
2. 구체적인 개혁의 구상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