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TV/라디오 > TV이론/TV비평
· ISBN : 9788992977234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2-08-30
책 소개
목차
서문
프롤로그
제1부 한류연구와 시대구분
1장 한류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
2장 한류연구의 경향
3장 역사학 방법론과 역사 시대구분
제2부 한류의 생성과정
1장 일본 드라마의 수입시기(1950년대~1980년대)
2장 일본 드라마와의 경쟁시기(1990년대)
3장 한국 드라마의 확산시기(2000년~2012년 현재)
제3부 한류의 생성요인
1장 인식적 요인: 아시아인의 한국 드라마에 대한 인식
2장 환경적 요인: 국내 드라마 시장의 환경변화
3장 산업적 요인: 아시아 시장의 산업 메커니즘
에필로그 | 애니메이션에서 드라마로, 드라마에서 K-pop으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한국과 일본 드라마가 아시아 시장에서 본격적인 경쟁관계에 돌입하게 되는 1990년대에 논의의 초점을 맞춰 한류의 생성과정을 기술한다. 왜냐하면 1990년대 이전은 일본 드라마에 의해 아시아 시장의 문화적 전이(cultural conversion)가 이루어지던 일방적인 문화의 수입시기(1950년대~1980년대)였고, 2000년 이후는 한국 드라마에 의해 아시아 시장의 문화적 전이가 이루어지는 한국 드라마의 확산시기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1990년대는 아시아 시장의 주도권이 일본 드라마에서 한국 드라마로 넘어오는 역사적 전환기, 즉 한류의 생성시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아시아 시장의 문화적 전이 과정을 서로 다른 이종(異種) 문화 간 상호 인터렉션(cross-culturalinteraction) 과정으로 보고, 이를 일본 드라마의 수입시기(1950년대~1980년대), 일본 드라마와의 경쟁시기(1990년대), 한국 드라마의 확산시기(2000년~2012년 현재)로 기술한다.
일본 드라마의 ‘수입시기’란 원거리교역(long-distance trade)을 통해 한국 드라마가 문화 간 전이의 주체인 일본 드라마를 모방하고, 동조화하는 시기를 말한다. 일본 드라마와의 ‘경쟁시기’란 한국 드라마가 원거리교역의 과정에서 문화 간 전이의 주체인 일본 드라마와 충돌을 일으키면서 드라마 트렌드의 대일 탈동조화를 이뤄내는 시장의 전환기를 말한다. 한국 드라마의 ‘확산시기’란 한국 드라마가 아시아 시장의 새로운 문화적 전이의 주체가 되는 시기, 다시 말해 일본 드라마가 한국 드라마를 모방하고, 한국 드라마에 동조하는 역(逆)모방의 시기를 일컫는다.
이 책은 또한 한류의 생성, 발전 단계인 일본 드라마와의 경쟁시기(1990년대)와 한국 드라마의 확산시기(2000년~2012년)를 대일 드라마 수출초과 시점(1999)을 기준으로 해서 그 이전을 한류의 ‘태동기, 도전기, 정착기, 확장기’, 그 이후를 ‘절정기·위기’로 하위 범주화한다.
아울러 이 책은 한국 드라마와 일본 드라마가 본격적인 경쟁관계에 돌입하게 되는 1990년대 일본 드라마와의 ‘경쟁시기’, 한류의 생성요인을 아시아인들의 한국 드라마에 대한 인식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산업적 요인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왜냐하면 드라마는 한류 중심 소재영역이고, 한류 중심 소재영역에 대한 아시아인들의 우호적인 인식이 한류 생성의 1차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 방송제도 및 정책, 제작환경과 관련된 국내 드라마 시장의 환경적 요인과 아시아 시장의 산업 메커니즘, 다시 말해 드라마의 생산과 생산 지원환경, 드라마의 생산과 소비, 유통에 관한 아시아시장의 산업적인 요인이 한류 생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