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비자

한비자

(제왕이라면 누구나 읽어야 할 정치학 교과서)

왕굉빈 (지은이), 황효순 (엮은이)
베이직북스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비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비자 (제왕이라면 누구나 읽어야 할 정치학 교과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327962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2-10-29

책 소개

<한비자>는 중국의 역대 군주들이 현실정치에 활용한 통치술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법가사상의 원전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위대한 저서이다.

목차

서문 4
추천사 14

1장 한비와 《한비자》
1. 한비의 운명과 일생 20
한비의 재능과 책략 12
한나라의 귀공자 21
저술 활동에 몰두하다 24
인재 쟁탈전의 희생양 25
한비의 죽음 26
한비의 생애 27
2. 한비의 법가사상과 이전의 법가 사상 29
한비 이전의 법가사상 29
최초의 성문법 공표 / 법가의 시조, 이회 / 오기의 변법 / 상앙의 법 / 신불해의 술 / 신도의 세
한비 사상의 학술적 기원 45
법가사상의 집대성 / 한비와 순자 / 한비의 사상적 기반
3. 《한비자》의 처세와 지혜 52
《한비자》 책에 관한 정보 52
한비의 인성론 54
이익을 탐하여 악을 행함 / 이해관계가 곧 인간의 연결고리 / 사람의 주된 우환은 타인을 믿는 것에서 비롯된다 /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덕에 있는 것이 아니라 법에 있다.
한비의 변법적 역사관 65
변고와 법고 / 세상이 변하면 모든 일도 변한다
법, 술, 세의 집대성 70
권력의 통합을 위한 전제군주제 / 술의 실천 / 법의 엄격한 집행
한비와 마키아벨리 116
서구의 한비 / 《군주론》의 기본 내용 / 동서양의 권술
4. 《한비자》의 문학적 공로 125
논리는 골수에 사무치며, 문장으로 심장에 새긴다 125
박난문체의 창시 129
운문체의 새 지평을 열다 132

2장 한비사상의 실천과 진왕조의 흥망
1. 진의 흥기와 변법 136
진인의 흥기 136
상앙의 변법 137
상앙의 죽음 140
2. 진시황, 이사와 한비 143
승상 여불위의 기대 143
진왕 영정의 승리 147
한비의 죽음 149
3. 군주 일인독재체제의 구축 152
왕을 황제로 칭하다 152
피라미드식 통치구조 155
황제의 순행과 신격화 159
일의 경중에 관계없이 스스로 결정하다 160
4. 형벌로 세운 권위 162
잔인한 형벌 162
법의 악용과 남용 163
책을 불사르다 ― 분서 166
문인의 참변 ― 갱유 170
5. 사치와 무한한 욕망 ― 스스로의 무덤을 파다 173
700여리에 달하는 아방궁 173
신비한 무덤 ― 여산릉 175
장성, 도로정비로 인한 백성들의 원성 177
6. 진시황의 후계자 호해와 모략가 조고 181
적자 폐위를 위한 사구의 음모 181
포학무도 186
권모술수와 모략 192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201
7. 진왕조의 붕괴 206
진왕조의 패망 206
진왕조 패망의 교훈 207

3장 외도내법에서 양유음법으로 진화
1. 진나라를 답습한 한제국 212
정치제도 212
중농억상 정책 216
법을 간소화하고 형량을 완화하다 219
2. 한 초기의 황로사상에 입각한 통치 224
통치사상의 변화 224
조참과 개공 226
진평과 전숙 228
왕생과 등공 231
두태후와 황생 233
급암과 양왕손 236
도가의 통치 238
3. 표면적으로는 도가를 내부적으로는 법가를 취했던 황로학 241
황로학의 기원 241
황로학의 내용 246
황로학의 소멸 251
4. 육가, 숙손통, 가의 255
육가와 그의 저서인 《신어》 255
숙손통의 조정의례 제정 258
가의와 그의 저서인 《신서》 260
5. 양유음법 관념 체계의 확립자, 동중서 265
동중서의 생애 및 저서 265
하늘과 인간이 서로 감응하다 267
삼강오상 269
인성의 세 가지 품격 271
덕을 크게 베풀고, 형벌을 가볍게 한다 273
《춘추》를 표준으로 삼는다 275
6. 표면적으로 유가를 표방하고, 내부적으로 법가를 취함 277
유가의 흥성 277
모든 사상을 퇴출하고 유가의 사상만을 존귀히 하다 281
양유음법 통치의 확립 284
양유음법의 역사적 영향 287

4장 한비의 법치 이론과 정치사상가
1. 난세에는 형벌을 최우선으로 한다-조조 292
2. 가르침엔 엄격함이 있어야 하고, 상벌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제갈량 298
3. 존귀한 자를 벌함으로 권위를 세우고, 천한 자를 상줌으로 선함을 장려한다-갈홍 303
4. 안정된 국가는 예로 통치하고, 혼란한 국가는 법으로 통치한다-왕맹 306
5. 천하에 대한 진정한 통치는 진나라에서 유래한다-유종원 311
6. 죄를 지은 자는 마땅히 벌한다-포증 315
7. 세상이 변하면 마땅히 법도 변해야 한다-왕안석 325
8. 국가를 통일하는 것은 엄격함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주원장 329
9. 군주를 존귀하게 여기고, 관리의 직무를 명확히 하며, 상벌에 신뢰감이 있어야 한다-장거정 337

5장 제왕술의 역사
1. 예와 법의 불가피한 동침 346
2. 한신을 처형한 유방 351
3. 아버지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양광 359
4. 이세민과 현무문의 변 368
5. 여황제의 꿈을 이룬 무측천 374
6. 연회를 열어 병권을 찬탈한 조광윤 383
7. 화친을 요구하며 지위를 유지한 조구 387
8. 주익균의 남면지술 394
9. 옹정제의 황제 즉위 402
10. 건륭황제와 탐관오리 화신 411

6장 한비 사상의 현대적 의미와 의의
1. 국가의 패망 앞에 서 있던 지식인 420
2. 내일을 위해 개혁에 힘써야 하며, 스스로 개혁해야 한다-공자진 422
3. 옛 것을 변화시키면, 백성들이 행복해질 것이다-위원 426
4. 법과 이치를 중시하면, 폭력을 제거할 수 있다-증국번 430
5. 신불해와 한비의 현명함은 요순의 10배에 달한다-왕사탁 434
6. 한비 사상의 또 다른 의미를 예찬하다-엄복 443
7. 한비에게 양복을 입히다-양계초 449
8. 혁명가가 논한 법가-장태염 460
9. 법가 부흥론-상연생 & 진계천 467

7장 한비 사상의 또 다른 지혜
1. 관리학에서 나타나는 한비의 지혜 476
법, 술, 세 삼위일체의 집대성 477
현대의 관리부문에서 한비의 ‘법치’ 응용 484
2. 마케팅에 적용하는 한비의 지혜 488
짚신과 명주를 파는 노나라 상인 489
진주 상자를 사고 진주를 돌려주다 494

저자소개

왕굉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왕굉빈 교수는 1954년 하남성 낙양에서 출생했다. 하남대학 역사학부를 졸업하고, 중산대학 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하북사범대학교 역사사문화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학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역사문화학원 원장, 하북성역사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왕 교수는 중국근대사 강의와 연구업무를 계속하고 있으며, 역사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다수의 저작물을 남겼다. 그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청말기화폐의 비교연구>, <중국근대의 가치척도와 아편문제>, <독금사감>, <일본의 아편을 통한 중국침략 50년>, <청대전기의 해안방어, 그 사상과 제도>, <청말 해안방어사상과 제도연구> 등이 있으며, <역사연구>, <근대사연구>, <광명일보> 등의 학술 잡지 및 언론에 약 50여 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펼치기
황효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한양대 사학과에서 중국역사를 전공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중국경제사로 박사과정을 마쳤다. 한국과 국교가 수립되기 이전 해외한민족연구소, 동아시아경제연구원의 연구원을 시작으로 동아시아경제연구원의 연구실장을 역임했으며, 한중수교 이후 중국의 지역경제 연구에 뜻을 두고 동서문화센터에서 지역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중국지역개발연구원 원장으로 연구생활을 하면서 행자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지역경제학회에서 중국 연구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중국경제통상학부를 통해 중국전문가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2008년 중국공산주의 청년단의 외국인 고문으로 위촉되어 한중양국의 문화교류 협력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행복한 고전읽기 이사로 활동하며, 동양고전의 심오한 지혜를 전파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지역개발론>, <문화적 자원과 중국경제의 발전>, <중국중소도시의 문화적 자원 활용>이 있고, 공저로 <한국통신사업자의 중국진출방안>(한국통신)이 있으며, <경기북부 한국가구산업의 중국진출 전략>을 비롯하여, 중소기업청이 주관한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실태조사> 등 수많은 정부보고서를 작성한 바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