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교육
· ISBN : 9788993325744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4-08-01
책 소개
목차
서문 11
서론 19
1. 다시 생각하는 기독교 고등교육 41
2. 샬롬을 위한 가르침: 기독교 대학교육의 목적 53
3. 20세기 말 기독교 대학의 사명 83
4. 신앙과 학문의 통합 바로 그 생각 101
5. 인간에 대한 성경적으로 신실한 심리학 모델 121
6. 신앙과 학문 사이의 연결점 153
7. 우리가 교육해야 하는 세계 191
8. 공평한 학문에 대한 사례 215
9. 포스트모던 문화 속에서의 기독교 대학 프로젝트 233
10. 정의를 위한 가르침: 학생들을 행동하도록 경향지우는 형성에 관하여 277
11. 자서전: 기독교 고등교육 20년에 대한 나의 성찰 313
12. 학문과 기독교적 확신은 혼합될 수 있는가?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 345
13. 기독교 학문에 대한 아브라함 카이퍼의 견해 391
14. 특정주의적 관점: 편견인가 아니면 접근방법인가? 437
15. 종교적 기반 위에 세워진 대학에서 학문의 자유 465
16. 다원주의 사회에서 사회를 위한 기독교 학문 487
17. '우리의 손이 행한 일'이 기독교 대학에서 설 자리가 있는가? 507
18. 기독교 고등교육에 대한 개혁주의적 관점은 무엇인가? 529
19. 담대함으로의 부름: 「신앙과 이성」(Fides et Ratio)에 대한 반응 549
주 562
참고 문헌 576
저자 후기 583
인명 색인 592
역자 후기 595
책속에서
월터스토프에게 샬롬은 비전 이상이다. 그것은 지금 여기 에서, 타락한 세상 가운데서, 아픔과 고통과 상처가 가득한 사회에 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주어진 명령이다. 샬롬은 우리에게 창조세계 의 잠재가능성을 계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포로 된 자들을 자유케" 하기 위해 기도하고 분투하라고 명령한다. 월터스토프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특별히 후자이다.
기독교 학문은 단지 세상을 이해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은 소망 에 의해 형성되고, 샬롬에 대한 성경적 내러티브에 의해 틀이 잡힌, 사회의 불의에 대한 통찰력 있는 비판을 진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월터스토프는 공적인 학문의 장에서 그리스도인의 목소리가 사회구조와 그 역동성에 대해서, 부를 추구하는 우상숭배에 대해서, 세계의 주변부에 대한 우리의 무관심과 적대 행위에 대해서 치유의 말을 제시할 것을 주장한다. 학문은 정의를 실천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투쟁한다.
월터스토프에게 기독교 고등교육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바로 지금 여기에 있는 세상 속에서 어떤 특정한 삶의 방식을 위해 살아가도록 활력을 불어넣는 것, 즉 그들이 샬롬을 위해 투쟁하도록 용기를 북돋아주는 것이다.



















